[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함선)] [include(틀:냉전/소련 수상함)] ||
[[파일:external/www.wehrmacht-history.com/z20-destroyer-2.jpg|width=100%]] || || {{{#cc3333 '''Der Zerstörer 1936'''}}} || [* 상단 사진의 함선은 1936년형 구축함 Z20 카를 갈스터이다.] [목차]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해군 [[크릭스마리네]]가 운용한 [[구축함]]이다. Z17 디터 폰 로이터부터 Z43까지 총 24척이 취역하였으며[* 이 24척은 건조 후 취역한 모든 함선의 숫자를 다 합친 것이지, 건조가 진행된 함선의 숫자가 아니다.][* 함급 자체는 Z50까지 계획되어 있었으나 Z48부터는 아예 건조가 진행되지 않았다. 또 후술하겠지만 건조계획 취소로 인해 Z40, Z41, Z42은 결번으로 남았으며, Z44, Z45, Z46, 그리고 Z47은 건조는 시작했지만 완공되지 못했다.], 크게 1936년형, 1936년형 A형, 1936년형 B형, 그리고 1936년형 C형까지 총 4가지 세부함급이 존재한다. 다만 이 함급들과의 차이가 큰 관계로 해외에서는 아에 이 네 함급을 세부함급이 아니라 별도의 함급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1936년형 구축함들은 후계함으로 예정되었던 [[1938년형 구축함]] 프로젝트가 취소되는 바람에 대전기 내내 크릭스마리네의 주력 구축함 역할을 수행했다. == 1936년형 구축함의 계열형 == === 1936년형 구축함 === [[파일:external/oi41.tinypic.com/j81650.jpg]] 1936년형 구축함의 초도 건조 버전이다. Z17 디터 폰 로이터[* [[스캐퍼플로 독일 대양함대 자침 사건]] 당시 독일 대양함대에 자침명령을 내렸던 제독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부터 Z22 안톤 슈미트 사이의 함번/함명을 받은 함선들은 전부 해당 함급 소속. 그런데 사실상 이름만 1936년형이지 세부 사항이나 외형 등은 선대함 [[1934년형 구축함]]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는 것이 함정이다. 참고로 이 계열 함선들은 함포 구경이 12,8cm에 불과했던데가 그마저도 이후 함급들과 다르게 2연장화를 한 것도 아니라서 화력면에서는 영 아니었다고 한다. 이들 "오리지널" 1936년형 구축함들은 Z17 디터 폰 로이터부터[* 왜 Z1이 아니라 Z17부터 시작하냐고 물을 수 있는데 크릭스마리네는 새로운 구축함의 함명르 붙일 때 Z 뒤에 오는 숫자를 초기화시키지 않고 Z(n번째 구축함) 형식으로 명명했다. 참고로 Z1부터 Z16은 전부 [[1934년형 구축함]]들의 함명이다.] 부터 Z22 안톤 슈미트까지 까지 총 6척이 건조되었는데, Z20 카를 갈스터만 제외하고 '''5척이 노르웨이 침공에서 한번에 날아가 버렸다.''' 어쨌든 자매함들 중에서 혼자서 유일하게 살아남았던 Z20 카를 갈스터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소련에 배상함으로 넘어갔으며, '''프로치니(Прочный)'''라는 이름을 부여받고 소련 해군 소속으로 활동했다. |||| 제원(Z17 ~ 19 / Z20 ~ 22) || ||기준 배수량||2,411톤|| ||만재 배수량||3,415톤|| ||길이||123.0 m / 125.1 m|| ||폭||11.8 m|| ||흘수||4.5 m|| ||동력원||와트너 보일러 6기 [br]2축 데쉬마그 증기터빈(70,000 hp)|| ||최고속도||38.5 kn|| ||항속거리||19노트로 2,050해리|| ||승조원||313 ~ 330명|| ||<|5><:>무장||주포 12.8 cm SK C/34 단장 포탑 5기 || ||부포 3.7 cm SK C/30 2연장 포탑 2기 || ||대공포 2.0 cm C/38 단장 포탑 6기 ||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16발) || ||4 DCT (18발) 기뢰 60발 || === 1936년 A형 구축함 === [[파일:external/oi44.tinypic.com/205b7mr.jpg]] 항해중인 Z39. [[미국 해군]] 소속이었던 시절 찍힌 사진인 관계로 [[성조기]]가 계양되어 있다. Z23부터( Z35와 Z36은 제외)[* 이 둘은 후술하겠지만 1936년형 B형 함급의 함선이다.] Z39까지의 함선들은 전부 이 함급이다. 또한 1936A형 구축함은 2종류가 있는데 나르비크(Narvik)급과 사소한 개량을 거친 모프(Mob)급이 있다. 도합 15척이 건조되었고 (나르비크 8척, 모프 7척) 그 중 6척(나르비크 4척, 모프급 2척) 이 대전 중 손실되었다. 이후 Z23, Z25, Z31은 프랑스에게, Z29는 영국을 거쳐 미국에게, Z38은 영국에게, Z30은 노르웨이를 거쳐 영국에게, Z33은 소련에게,[* 소련 해군에서는 '''프라보르니(Проворный)'''라는 이름을 부여받고 운용되었다.] Z34[* 연합국에 배상함으로 넘어간 1936년형 A형들 중 상태가 독보적으로 좋지 않았던 관계로 1946년 자침되었다.]는 미국에게, 그리고 Z39는 영국과 미국을 거쳐 최종적으로 프랑스에게 넘어갔다고 한다. 스펙상으로 보자면 나르비크급은 1936년형 구축함에서 주포탑을 5문에서 4문으로 1문 줄인 대신 주포 구경이 12,8cm 에서 14,9cm로 업건되며 전체적인 화력이 증기하였으며, 모프급은 나르비크급의 전방 주포탑 2개를 합친 뒤 주포를 2연장화시켜 사거리를 증가시켰다. --그런데 돈이 없어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후방 주포 2문은 끝내 연장화시키지 않았다-- 참고로 2연장화 개량은 크릭스마리네 측에서도 유용하다고 평가했는지 Z23등 일부 나르비크급들은 추가적인 개량을 통해 2연장화 포탑을 탑재하였다. 하지만 정작 이들의 후계함급인 1936년형 B형 구축함들은 연장포를 버리고 다시 단장포 형식으로 복귀한다. 또한 이 함급을 시작으로 독일 해군은 구축함을 명명할 때 더 이상 인명을 붙이지 않고 Z(숫자) 형식으로만 명명시켰다. |||| 제원(나르비크(Z23, Z24 / Z25 ~ 27 / Z28 / Z29, Z30)) || ||기준 배수량||2,603톤 / 2,543톤 / 2,569톤 / 2,569톤|| ||만재 배수량||3,605톤 / 3,543톤 / 3,519톤 / 3,691톤|| ||길이||127.0 m|| ||폭||12.0 m|| ||흘수||3.92 ~ 4.62 m|| ||동력원||와트너 보일러 6기 [br]2축 데쉬마그 증기터빈(70,000 hp)|| ||최고속도||36 knots|| ||<|3>항속거리||19노트로 2,500해리(Z23 ~ 27)|| ||/ 19노트로 2,900해리(Z28)|| ||/ 19노트로 2,950해리(Z29, Z30)|| ||승조원||320 ~ 332명|| ||<|5><:>무장||주포 14.9 cm Tbts KC/36 단장 포탑 4기 || ||부포 3.7 cm SK C/30 2연장 포탑 2기 || ||대공포 2.0 cm C/38 단장 포탑 5기 ||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30발) || ||4 DCT (30발) 기뢰 60발 || |||| 제원(모프(Z31 ~ 39)) || ||기준 배수량||2,657톤|| ||만재 배수량||3,691톤|| ||길이||127.0 m|| ||폭||12.0 m|| ||흘수||3.92 m|| ||동력원||와트너 보일러 6기 [br]2축 데쉬마그 증기터빈(70,000 hp)|| ||최고속도||36 knots|| ||항속거리||19노트로 2,950해리|| ||승조원||332명|| ||<|5><:>무장(Z31)||주포 14.9 cm Tbts KC/36 단장 포탑 4기 || ||부포 3.7 cm SK C/30 2연장 포탑 2기 || ||대공포 2.0 cm C/38 4연장 포탑 2기 [br] 대공포 2.0 cm C/38 단장 포탑 2기 ||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30발) || ||4 DCT (30발) 기뢰 60발 || ||<|5><:>무장(Z32)||주포 14.9 cm Tbts KC/36 단장 포탑 3기 [br] 주포 14.9 cm Tbts KC/36 2연장 포탑 1기 || ||부포 3.7 cm SK C/30 2연장 포탑 2기 || ||대공포 2.0 cm C/38 4연장 포탑 1기 [br] 대공포 2.0 cm C/38 단장 포탑 2기 ||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30발) || ||4 DCT (30발) 기뢰 60발 || ||<|5><:>무장(Z33 ~ 39)||주포 14.9 cm Tbts KC/36 단장 포탑 3기 [br] 주포 14.9 cm Tbts KC/36 2연장 포탑 1기 || ||부포 3.7 cm SK C/30 2연장 포탑 2기 || ||대공포 2.0 cm C/38 4연장 포탑 2기 [br] 대공포 2.0 cm C/38 단장 포탑 4기 ||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30발) || ||4 DCT (30발) 기뢰 60발 || === 1936년 B형 구축함 === Z35, Z36 그리고 Z40부터 Z45까지의 함선들이 이 함급에 속한다. Z35와 Z36은 새로 기뢰설치 작업을 하다가 기상악화로 방향을 잘못 잡아 아군 기뢰지역에 접근해서 격침당하고 말았다. 또한 명명법이 좀 특이한데 Z35와 Z36만 1936년형 B형이고 이어지는 Z37, Z38, 그리고 Z39는 1936년형 A형의 함명이다. Z40부터 Z42까지 3척은 모조리 건조 중 취소되어 실제로 건조되지 않았으며, 결번으로 남았다. 그 외에 완성된 Z43은 종전 직전 자침했고 Z44는 건조되던 중 폭격으로 격침, Z45는 미완공 상태로 스크랩되었다. |||| 제원(Z35, Z36 / Z43 ~ 45) || ||기준 배수량||2,519톤|| ||만재 배수량||3,542톤|| ||길이||127.0 m|| ||폭||12.0 m|| ||흘수||3.54 m|| ||동력원||와트너 보일러 6기 [br]2축 데쉬마그 증기터빈(70,000 hp)|| ||최고속도||36 knots|| ||<|2>항속거리||19노트로 2,600해리|| ||/ 19노트로 2,950해리|| ||승조원||335명|| ||<|5><:>무장(Z35, Z36)||주포 12.8 cm SK C/34 단장 포탑 5기 || ||부포 3.7 cm FlaK M/42 2연장 포탑 2기 || ||대공포 2.0 cm C/38 4연장 포탑 3기 [br] 대공포 2.0 cm C/38 단장 포탑 2기 ||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30발) || ||4 DCT (30발) 기뢰 60발 || ||<|5><:>무장(Z43 ~ 45)||주포 12.8 cm SK C/34 단장 포탑 5기 || ||부포 3.7 cm FlaK M/42 2연장 포탑 2기 || ||대공포 2.0 cm C/38 4연장 포탑 3기 [br] 대공포 2.0 cm C/38 2연장 포탑 2기 ||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30발) || ||4 DCT (30발) 기뢰 60발 || === 1936년 C형 구축함 === Z46부터 Z50까지의 함선들은 전부 이 함급에 속한다. 이 함급의 가장 큰 차별점으로는 모든 함선이 설계 단계에서부터 12,8cm 2연장 포탑을 총 3문 탑재해 총합 6문의 주포를 탑재하도록 계획되었다. 이들은 초도함 Z46을 시작으로 1943년부터 건조가 개시되었으나 1944년 건조가 중단되었고 종전까지 단 한 척도 완성되지 못했다. 그나마 건조가 조금이나마나 진행된 Z46과 Z47은[* 그마저도 계속되는 연합국의 조선소 폭격과 전략물자 수급의 어려움 때문에 거의 티스푼 공사 수준이었다고 한다.] 연합국이 접수한 다음 폭약으로 날려 버렸고, 나머지 3척(Z48, 49, 50)은 건조를 시작하지조차 못했다. |||| 제원(Z46, Z47) || ||기준 배수량||3,071톤|| ||만재 배수량||3,683톤|| ||길이||126.2 m|| ||폭||12.2 m|| ||흘수||3.88 m|| ||동력원||와트너 보일러 6기 [br]2축 데쉬마그 증기터빈(70,000 hp)|| ||최고속도||37.5 knots|| ||항속거리||19노트로 2,500해리|| ||승조원||335명|| ||<|5><:>무장||주포 12.8 cm KM 41 2연장 포탑 3기 || ||부포 3.7 cm Flak M/42 2연장 포탑 3기 || ||대공포 2.0 cm C/38 2연장 포탑 3기 ||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30발) || ||4 DCT (30발) 기뢰 60발 || == 미디어에서의 등장 == [Youtube(OYEW8Eu-8UU)] 영화 [[레드 테일스]]에서 1척이 등장하지만 [[P-51 머스탱]]의 기총(...) 공격으로 폭침당한다. ~~이런 건 원래 폭탄으로 처분해야 하는거 아닌가?~~ 당연하지만 현실성은 내다 버린 장면이다.[* 대구경 기관포로 어뢰를 유폭시키는 걸 제외하고 기총이나 기관포로 구축함급 함선을 폭침시킬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전무하다. 게다가 저 어뢰 유폭이라는 것도 기관포의 구경이 어느 정도는 되어야 가능한 전법인데 이 영화에서는 그냥 기총이면 다 해결된다.] 이 영화의 오류가 한둘이 아니라지만... 게다가 등장하는 구축함의 모형은 1936년형도 아니고 순양함급 덩치인 완전히 다른 배이다. [[파일:external/thedailybouncedotnet.files.wordpress.com/post-540077471-0-14478300-1478708849.jpg]] [[파일:external/thedailybouncedotnet.files.wordpress.com/post-540077471-0-97469200-1478708858.jpg]] [[월드 오브 워쉽]] 독일 구축함 트리에서 1936년 A 나르비크형 구축함과 1936년 C형 구축함이 각각 1번함인 Z23, Z46이 8, 9티어 구축함으로 나온다. [[전함소녀]]에서 [[Z17(전함소녀)|Z17]], [[Z18(전함소녀)|Z18]], [[Z21(전함소녀)|Z21]], [[Z22(전함소녀)|Z22]], [[Z24(전함소녀)|Z24]], [[Z28(전함소녀)|Z28]], [[Z31(전함소녀)|Z31]], [[Z46(전함소녀)|Z46]]이 등장한다. 31, 17, 18, 21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들은 현재까진 그저 컬렉션용. [[벽람항로]]에서는 [[Z20(벽람항로)|Z20]], [[Z21(벽람항로)|Z21]], [[Z23(벽람항로)|Z23]], [[Z25]], [[Z26]], [[Z35]], [[Z46(벽람항로)|Z46]]이 나온다. [[워 썬더]]의 [[워썬더 해상 독일|독일 해상 트리]]에 Z20이 나온다. 동형함들중 유일하게 혼자 생존한 뒤 전후 소련 해군에서 운용했던 전적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소련 해군 트리로 출시될 것이라고 믿었지만 예상을 깨고 독일 트리에 포함되었다. 이후 Z20은 판매가 종료되고 배틀패스 보상으로 Z25가 출시되었다. 정규 트리에는 Z22, Z32, Z43이 2랭크와 3랭크로 출시되었다. ||[[파일:WFC_Ships_Z21.png|width=400]]||[[파일:Z37.png|width=400]]||[[파일:Z46.jpg|width=400]]|| || Z21 || Z37 || Z46 || [[워쉽 플릿 커맨드]]에서 [[워쉽 플릿 커맨드/구축함 #s-5.3|Z21]]과 [[워쉽 플릿 커맨드/구축함#★★★★ - Z37|Z37]]이 4성급의 구축함으로 등장하고, [[워쉽 플릿 커맨드/구축함#★★★★★ - Z46|Z46]]이 5성급의 구축함으로 나온다. [[코만도스 2 맨 오브 커리지]]에서는 'Z39'가 '미션 3 - 하얀 죽음' 편에서 등장한다. == 참고 == [[http://www.navypedia.org/ships/germany/ger_dd_1936.htm]] [[http://www.navypedia.org/ships/germany/ger_dd_1936a.htm]] [[http://www.navypedia.org/ships/germany/ger_dd_1936a_mob.htm]] [[http://www.navypedia.org/ships/germany/ger_dd_1936b.htm]] [[http://www.navypedia.org/ships/germany/ger_dd_1936c.htm]] [[분류:구축함]] [[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 [[분류:193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