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include(틀: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목차] [clearfix] == 개요 ==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의 조별 리그 이후 준결승을 정리하는 페이지. 정신을 차리고 살펴보니 준결승전에 진출한 팀은 개최국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라이벌]]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유럽]]의 유일한 생존팀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그리고 [[복병]] 또는 도깨비팀이라 칭할 수 있는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이었다. 대진은 아르헨티나와 미국, 그리고 유고슬라비아와우루과이로 결정되었다. == 1경기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6 vs 1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 || 경기장 ||<-2>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br][[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 경기일 ||<-2> 1930년 7월 26일 14:45[br](1930년 7월 27일 03:15) || || 주심 ||<-2> 장 랑제뉘 (벨기에) || || 국가 ||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br][[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30]] || || 점수 || '''6''' || 1 || || 득점 || [[루이스 몬티]] (20')[br]알레한드로 스코펠리 (56')[br][[기예르모 스타빌레]] (69', 87')[br][[카를로스 페우셀레]] (80', 85') || [[짐 브라운(축구)|짐 브라운]] (89')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20%, #99CCFF 20%, #99CCFF 40%, #FFFFFF 40%, #FFFFFF 60%, #99CCFF 60%, #99CCFF 80%, #FFFFFF 80%)"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0]]]] {{{#666666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666666 '''아르헨티나 선발 명단'''}}}]]}}} {{{#666666 [[축구/포메이션#s-3.1|{{{#666666 '''2-3-5'''}}}]]}}}[br]{{{#666666 '''감독: [[프란시스코 올라사르|{{{#666666 '''프란시스코 올라사르'''}}}]], 후안 트라무톨라'''}}}}}} || ||<-30> GK[br]후안 보타소 || ||<-15> FB[br]호세 델라토레 ||<-15> FB[br][[페르난도 파테르노스테르]] || ||<-10> HB[br]후안 에바리스토 ||<-10> HB[br][[루이스 몬티]]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20' ||<-10> HB[br]로돌포 오를란디니 || ||<-6> FW[br][[카를로스 페우셀레]]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80', 85' ||<-6> FW[br]알레한드로 스코펠리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56' ||<-6> FW[br][[기예르모 스타빌레]]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69', 87' ||<-6> FW[br][[마누엘 페레이라]]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6> FW[br]마리오 에바리스토 || ||<-30> || ||<-6> FW[br]바트 맥기 ||<-6> FW[br][[톰 플로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6> FW[br][[버트 파테노드]] ||<-6> FW[br][[빌리 곤살베스]] ||<-6> FW[br][[짐 브라운(축구)|짐 브라운]]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89' || ||<-10> HB[br]앤드류 올드 ||<-10> HB[br]랄프 트레이시 {{{#red '''▼'''}}} 19' ||<-10> HB[br][[지미 갤러거]] || ||<-15> FB[br][[조지 무어하우스]] ||<-15> FB[br]우드 || ||<-30> GK[br][[지미 더글러스]] {{{#red '''▼'''}}}[* 후반에 부상으로 빠졌다.] || ||<-30>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height=20]]]]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5a77c7 '''미국 선발 명단'''}}}]] [[축구/포메이션#s-3.1|{{{#5a77c7 '''2-3-5'''}}}]][br]{{{#5a77c7 '''감독: [[로버트 밀라|{{{#5a77c7 '''로버트 밀라'''}}}]]'''}}} || 겨울비[* [[남반구]]는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다. 7월이면 우리는 [[여름]]이지만 [[브라질]], [[호주]],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남반구]]의 나라들은 [[겨울]]이다. 이전 본선경기에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의 경기에는 눈까지 왔다.]가 내려 질척해진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열린 이 경기의 처음 양상은 비등하게 돌아갔다. 하지만 전반 19분,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의 센터 하프였던 랄프 트레이시가 다리 부상으로 인해 피치 밖으로 나간 사이 [[루이스 몬티]]가 선제골을 집어넣어 버렸다. 트레이시는 다리 골절로 인해 시합을 더 이상 뛸 수 없었고, 여러 악재가 겹쳤지만 미국은 전반전을 잘 마쳤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악몽의 시작이었다. 스코펠리에게 후반 11분에 골을 허용한 후 얼마 되지 않아 미국의 [[골키퍼]] [[지미 더글러스]]마저 [[무릎]]에 부상을 입었다.[* 전에는 어깨로 서술이 되어 있었지만 [[더 가디언|가디언지]]과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트 등에서 무릎 부상으로 서술하여 수정하였다.] 그 이외에도 미국의 주포 [[버트 파테노드]]마저 배에 부상을 입었고 이런 식의 부상이 계속되다보니 미국은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에게 이후 4골을 허용하며 급격히 망가지기 시작했다. [[짐 브라운(축구)|짐 브라운]]이 1골을 보태 영패를 면했다는 것이 그나마 위안거리. 여담으로 미국 하프백 앤드류 올드가 후반 24분께 부상을 당했다.[* 기록에 의하면 올드는 이 부상으로 [[치아]] 4개를 잃었다고 한다.] 그런데 올드를 치료하러 갔던 팀 닥터(또는 코치)가 실수로 피치에 [[클로로포름]]을 떨어뜨렸다가 그 증기를 자기가 흡입하는(...) 바람에 치료는커녕 오히려 팀 닥터가 기절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올드는 치료받지 못하고 잠시 머무르다가 알아서 다시 경기를 뛰었다. 또 다른 설로는 트레이너의 손에 묻은 클로로포름이 올드의 눈에 조금 튀는 바람에 치료는커녕 잠시 눈 한 쪽이 안 보이는 채로 뛰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 2경기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1 vs 6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 || 경기장 ||<-2>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br][[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 || 경기일 ||<-2> 1930년 7월 27일 14:45[br](1930년 7월 28일 03:15) || || 주심 ||<-2> 지우베르투 헤구 (브라질) || || 국가 ||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br][[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width=30]]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br][[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 점수 || 1 || '''6''' || || 득점 || [[조르제 부야디노비치]] (4') || '''[[페드로 세아]]''' (18', 67', 72')[br]후안 안셀모 (20', 31')[br]빅토리아노 이리아르테 (61') || ||<-30>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height=20]]]]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유고슬라비아 선발 명단'''}}}]] [[축구/포메이션#s-3.1|{{{#ffffff '''2-3-5'''}}}]][br]{{{#ffffff '''감독: 보슈코 시모노비치'''}}} || ||<-30> GK[br][[밀로반 약시치]] || ||<-15> FB[br][[밀루틴 이브코비치]]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15> FB[br][[드라고슬라프 미하일로비치]] || ||<-10> HB[br][[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10> HB[br][[류비사 스테파노비치]] ||<-10> HB[br]몸실로 조키치 || ||<-6> FW[br][[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6> FW[br][[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 ||<-6> FW[br][[이반 베크]] ||<-6> FW[br][[조르제 부야디노비치]]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4' ||<-6> FW[br][[브라니슬라프 세쿨리치]] || ||<-30> || ||<-6> FW[br]빅토리아노 이리아르테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61' ||<-6> FW[br][[페드로 세아]]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18', 67', 72' ||<-6> FW[br]후안 안셀모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18]] 20', 31' ||<-6> FW[br][[엑토르 스카로네]] ||<-6> FW[br]파블로 도라도 || ||<-10> HB[br][[알바로 헤스티도]] ||<-10> HB[br][[로렌소 페르난데스]] ||<-10> HB[br][[호세 레안드로 안드라데|호세 안드라데]] || ||<-15> FB[br][[에르네스토 마스체로니]] ||<-15> FB[br][[호세 나사치]]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30> GK[br]엔리케 바예스테로스 || ||<-30>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우루과이 국기.svg|height=20]]]]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000000 '''우루과이 선발 명단'''}}}]] [[축구/포메이션#s-3.1|{{{#000000 '''2-3-5'''}}}]][br]{{{#000000 '''감독: [[알베르토 수피시|{{{#000000 알베르토 수피시}}}]]'''}}} || 경기의 처음 분위기는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가 가져갔다. 4분 만에 [[조르제 부야디노비치|부야디노비치]]가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티르나니치]]의 크로스를 받아 선제골을 넣은 것이다. 여기까지는 분위기가 좋았는데 9분에 부야디노비치가 다시 한 골을 넣었지만 브라질 출신의 주심 아우메이다[* 혹시 기억하는가?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의 경기에서 경기를 7분 일찍 끝냈던 그 심판이다]가 골로 인정하지 않았다. 취소 사유는 [[오프사이드]]. 유고슬라비아는 이기고 있는 상황이었지만 진이 빠지기 시작했다.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어? 뭐야! 아~ 씨X 거의 다 들어간 건데 미치겠다!!]]~~ 게다가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에서 안셀모와 이리아르테가 기록한 3번째, 4번째 골마저 (유고슬라비아 입장에서는) 억울하게 골이 들어가자 경기를 치를 의욕이 사라지고 말았다. 결국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는 유고슬라비아를 6대 1로 처참하게 뭉개버렸고 결승에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 부딪히게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우루과의 인사이드-레프트 [[페드로 세아]]는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이렇게 4강전 경기는 종료되었고, 아무리 초대 월드컵이라지만 국가대항전에서는 어지간해서 나오기 힘든 '''6대1'''이라는 스코어가 '''4강전'''에서 '''나란히''' 나오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그나마 차이점이라고 해봐야 미국은 여섯 골을 먹고 나중에 한 골을 만회한 반면, 유고슬라비아는 먼저 한 골을 넣고 그 뒤에 여섯 골을 먹었다는 정도이다.] 사실 이 대회 당시에 타 대륙에서 온 팀은 비행기가 아닌 배를 이용해서 남미에 도착했다. 배 안에 있는 시간이 보름이 넘어 장난이 아닌 멀미에 시달린 데다가, 그에 따른 체력 안배 및 시차 적응이 상대적으로 어려웠다. 그 상태에서 조별 리그를 간신히 통과한 팀이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과 유고슬라비아이고, 이들은 각각 사실상 홈그라운드인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 개최국인 우루과이를 상대해야 했다. 전력의 차이도 있었으니 완전히 각개격파되는 것이 그렇게까지 이상한 일은 아니었던 셈이다. == 3, 4위에 대한 논란 == 초대 월드컵에서는 3위 결정전이 없었다.[* 3, 4위전이 처음 생긴 대회는 다음 대회인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 이탈리아 월드컵]]이다.] 그래서 3, 4위에 대한 논란이 생기지 않을 것도 같은데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1930년 월드컵의 3위는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이라 인정한다. 이는 피파 기술 위원회에서 1986년 월드컵까지의 성적을 종합해 놓은 자료에서도 미국 3위,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를 4위로 기록했었고, 현재 사용하는 방식에서도 미국이 유고슬라비아를 근소하게 앞서기 때문이다.[* 골득실을 비교해보면 미국은 본선 1라운드 13개국 조별리그에서 6득점에 무실점으로 +6, 유고슬라비아는 6득점에 1실점으로 +5이다] 불확실한 출처이기는 하지만 1984년의 [[FIFA]] 게시판에는 비공식적으로 3, 4위전을 치렀고 유고슬라비아가 3대1로 이겼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하지만 날짜가 맞지 않아 신빙성이 떨어진다. 그 외에도 하이데르 자와드(Hyder Jawad)라는 사람이 2009년에 쓴 책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측에서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와의 경기에 불만을 품고 예정되어 있던 3, 4위전을 걷어차버렸다는 설도 제기되었다. 유고슬라비아의 후신인 [[세르비아]] 내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장도 나온다. 미국과 유고슬라비아 모두 각각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에게 나란히 6대 1이란 스코어로 완패하기는 했지만 '''결론적으로 우루과이가 우승했으므로''' 우승팀에게 패배한 유고슬라비아를 3위로 인정하는게 맞다는 것. 그래서 세르비아 당국에서는 이 주장을 뒷받침하게 위해 뒤늦게나마 2010년에 자체적으로 동메달을 만들어서 당시 뛰었던 선수단에게 헌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주장 역시 세르비아에서만 나온 거라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다. == 결승 진출팀 == *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이후 정보는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결승]]에서 기재. [각주] [[분류: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