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이즈원의 일본 정규 1집, rd1=Twelve, other2=래퍼 빈지노의 정규 1집, rd2=12(빈지노))] [include(틀:정수, n1=11, n2=12, n3=13)] [목차] '''12''' = [[2]]^^[[4|2]]^^×[[3]] == 개요 == [[11]]보다 크고 [[13]]보다 작은 [[자연수]]. 두 쌍둥이 [[소수(수론)|소수]] 사이의 자연수며 [[합성수]]로, [[소인수분해]]하면 [[2]]^^[[4|2]]^^×[[3]]이다. == 수학적 특징 == * [[약수(수학)|약수]]는 [[1]], [[2]], [[3]], [[4]], [[6]], 12로 총 6개이며, 진약수의 합은 [[16]]이므로 12는 [[과잉수]]다. * 가장 작은 [[과잉수]]로, 다음 과잉수는 [[18]]이다. * '''[[4]] 이하의 모든 자연수의 [[최소공배수]]다.''' 약수가 많기 때문에 수학적 편의성이 상당하며, 이런 편의성 때문에 시간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12진법]]이 생겨난 것도 그런 이유. 다만 1년이 12달인 것은 지구와 달의 공전주기에 의한 근사 수치로 수 체계와는 관련이 없는 우연이다. * [[3]]번째 [[오각수]]로, 앞 오각수는 [[5]], 다음 오각수는 [[22]]이다. * 연속하는 두 자연수의 곱이다. ([[3]]×[[4]]) * 첫번째 완전수와 첫번째 소수의 곱이다. ([[6]]×[[2]]) * 연속하는 두 소수의 합이다. ([[5]]+[[7]]) * [[6]], [[11]]의 약수의 합이다. * 11번째 [[하샤드 수]]로, 앞 수는 [[10]], 다음 수는 [[18]]이다. (1+2=3) * 1!×2!×3! = 12이다. == 날짜 == * [[연도]]: [[12년]], [[기원전 12년]], [[2012년]] * [[12월]] * [[1월 2일]] == 과학 == * 원자 또는 분자의 상대적인 질량을 나타낼 때 [[화학식량]]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탄소]]-12([math(\rm^{12}C)]) 원자 1개의 질량을 12로 나타낸 것을 기준으로 한다.[* 해당 내용은 [[화학1]]에서 처음으로 다룬다.] * [[마그네슘]]의 원자 번호다. == 교통 == === 버스 === * [[서울 버스 마포11, 마포12|서울 버스 마포12]] * [[서울 버스 영등포12]] * [[강화 버스 12]] * [[거제 버스 12]] * [[경기광주 버스 12]] * [[경주 버스 12]] * [[광주 버스 수완12|광주 버스 12]] * [[광명 버스 12]] * [[구미 버스 12]] * [[군포 버스 12]] * [[김천 버스 12]] * [[김해 버스 12]] * [[부산 버스 12]] * [[세종 버스 12]] * [[시흥 버스 12]] * [[양산 버스 12]], --양산 버스 12-1-- * [[용인 버스 12]] * [[울산 버스 12]] * [[의왕 버스 12]] * [[의정부 버스 12]] * [[인천 버스 12]] * [[인천 버스 인천e음12]] * [[전주 버스 동서학12|전주 버스 12]] * [[천안 버스 12]] * [[청주 버스 12]] * [[춘천 버스 12]] * [[파주 버스 12]] * [[포천 버스 12]] * [[창원 버스 10번대 노선|창원 버스 12]] === 지하철 === * 개정 전 [[건대입구역]]의 2호선 역 번호[* 현재는 212번] * 개정 전 [[불광역]]의 3호선 역 번호[* 현재는 322번] * 개정 전 [[창동역]]의 4호선 역 번호[* 현재는 412번] * 개정 전 [[가천대역]][* 당시에는 경원대역]의 역 번호[* 현재는 K223번] === 도로 === * [[무안광주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의 노선번호이다. * [[12번 국도]][* 구 12번 국도는 [[1132번 지방도]]로 바뀌었다.] * [[일본 12번 국도]] == 스포츠 == * [[축구]]에서 12는 "12번째 선수"며, 팀을 응원하는 [[서포터즈]]를 의미한다. 그래서 축구선수들은 등번호로 12번을 암묵적으로 사용하지 않거나, 처음부터 사용할 수 없도록 구단차원에서 [[영구결번/스포츠|영구결번]]을 하기도 한다. 그런 고로 서포터들은 유니폼의 등번호로 12번을 사용하기도 한다. 국대한정 [[티에리 앙리]]와 [[이영표]]가 선호하는 등번호다.[* 티에리 앙리가 원래 선호하는 번호이기도 하다. 그는 [[마르코 반 바스텐]]을 동경하여 그의 번호였던 12번을 선호했는데, 아스날에서는 12번의 주인이 이미 있었기에 14번을 달았다고 한다.] * 과거에는 11번까지의 주전 선수들의 번호가 지정되면서 후보 골키퍼가 받았고 지금도 후보 골키퍼들이 받곤 한다.[* 그 외에도 팀내 조커 역할을 수행하는 선수가 받는 경우도 있다.] 단, 예전과 달리 현재는 백업 골키퍼가 아닌 다른 선수가 12번을 받는 경우도 많다.[* 이 때문인지 [[FIFA 시리즈]](최근작 23 기준)에서 커리어 모드 진행시 AI가 골키퍼를 영입할 경우 1번 이외에 달 수 있는 가장 작은 번호가 12번이다. FIFA 온라인 2 엔진 시절인 06~10시절엔 오히려 1번 이외 다른 한 자리수 번호도 달았었지만 이후에는 개선이 되어 골키퍼를 사면 1번을 우선적으로 달며 2~11번까지는 달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12번이 골키퍼가 달 수 있는 가장 작은 두 자리수 번호가 되었다.]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는 후보 골키퍼에게 주는 등번호다. 다만 [[줄리우 세자르]]의 경우에는 2014년 조국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이 등번호를 달고도 주전을 꿰찼었다. 또, [[마르셀루]] 역시 클럽에서나 국대에서나 이 등번호를 단다. * [[야구]]에서 [[포수]]가 가장 선호하는 등번호. 이유는 야구의 수비 포지션에서 [[투수]]를 뜻하는 포지션 번호인 1과 포수의 2가 결합하여 [[배터리]]를 이룬다는 뜻에서 가장 선호한다고. 실제로 12번을 달고 활약하는 포수들이 많은 편이다. [[김동수(야구)|김동수]]가 신인 시절 12번을 달고 뛰었고[* 그가 원래 달고 싶었던 번호는 2번이었지만 하필이면 당시 그 번호를 달았던 사람이 대선배이자 팀 감독이었던 [[백인천]]이라서 12번으로 바꿔 달았다. 백인천이 감독에서 물러난 후부터 줄곧 2번을 달았다.] 김동수와 [[조인성(야구)|조인성]]의 백업 포수로 오랫동안 뛰었던 [[김정민(포수)|김정민]]이 12번을 오랫동안 달았다. * [[야구선수]] [[임창용]]도 일본 [[야쿠르트 스왈로즈]] 소속일 때 12번을 달고 마무리 투수로 활약했다. 국가대표로 출전했던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와 [[2014 아시안게임]],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도 12번이었으며, 국내 복귀 후 [[삼성 라이온즈]] 소속 땐 [[37|소속 당시 번호]]를 썼지만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논란|물의]]로 인해 방출된 후 [[기아 타이거즈]]로 돌아와서는 은퇴할 때 까지 야쿠르트 시절 12번을 달고 은퇴 --당--했다. * KBO 리그에서 [[투수]]는 주자가 없다면 공을 받은 이후 12초 안에 투구를 해야 하는 12초 룰이라는 규정이 있다. * 농구에서는 한 쿼터에 10분씩 경기하지만 [[NBA]]에서는 12분씩 경기를 한다. * 스페인의 테니스 스타 라파엘 나달은 [[프랑스 오픈]]에서 무려 12회를 우승했다. * 미식축구리그 [[NFL]]의 [[GOAT]]인 [[톰 브래디]]의 등번호이기도 하다.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시절부터 [[탬파베이 버커니어스]] 시절까지 줄곧 이 등번호를 착용했다. 톰 브래디 외에도 [[조 네이머스]], [[밥 그리시]], [[로저 스타우벅]], [[테리 브래드쇼]], 캔 스태블러, [[짐 켈리(미식축구 선수)|짐 켈리]], 랜달 커닝햄, [[앤드류 럭]], [[애런 로저스]] 등 NFL 역사에 어느정도 자취를 남긴 명 쿼터백들의 등번호이기도 하다.[* 이들 중 톰 브래디, 조 네이머스, 밥 그리시, 로저 스타우벅, 짐 켈리는 각각 가장 오래 몸 담았던 구단의 등번호 12번 영구 결번자이며 애런 로저스 역시 은퇴 후에 가장 오래 몸담았던 구단인 [[그린베이 패커스]]의 영구 결번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볼링]]에서, 한 경기에서 나올 수 있는 최대 프레임은 12프레임이다. 기본 10프레임이지만, 마지막 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를 치고 11프레임에서도 스트라이크를 치면 12프레임까지 경기하게 된다. 12프레임에서는 스트라이크가 나오면 그냥 게임이 종료된다. * WKBL에서의 12번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우리WON]] : [[노현지]]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 [[김나연(농구선수)|김나연]] * [[청주 KB 스타즈|KB 스타즈]] : [[양지수]] * [[부산 BNK 썸|BNK 썸]] : [[고세림]] * 배구에서의 12번 * [[대전 KGC인삼공사|KGC인삼공사]] : [[한송이(배구선수)|한송이]]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한국도로공사]] : [[문정원(배구선수)|문정원]]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현대건설]] : [[이다현]] *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기업은행]] : [[박민지(배구선수)|박민지]]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 : [[박현주(배구선수)|박현주]] *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페퍼저축은행]] : [[박경현(배구선수)|박경현]] * [[NBA]]의 [[마이클 조던]]은 [[1990년]] [[발렌타인 데이]]날 [[올랜도 매직]] 원정 경기에서 23번 유니폼이 도난당하자 부랴부랴 12번 유니폼을 입고 뛴 적이 있었다. == 군사 == * [[산탄총]]이 12게이지 [[산탄]]을 사용하면 대부분 총기 이름에 12가 붙는다.[* 여기서 '12게이지'는 1/12파운드 납 구슬의 지름을 의미한다.] * [[대한민국 육군]] [[제12보병사단]](을지부대) == 문화재 == * [[대한민국의 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 [[대한민국의 보물]] 제12호: 하남 동사지 5층석탑 * [[대한민국의 사적]] 제12호: 공주 [[공산성]]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2호: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과 교사 == 기타 == [[12진법]] 문서 참조. * [[ㅌ]]은 [[한글 자모]]의 열두 번째 글자이다. * 1년은 총 12달로 구성되어 있다. * 동양에서 칭하는 [[십이지]]는 1년에 하나씩 12가지 동물을 주기로 12년마다 반복된다. * 하루 중 [[오전]]과 [[오후]]는 각각 12시까지다. 이로 인해 [[시계]]는 보통 시간을 24시간법보다는 12시간법으로 표기한다. * [[유튜브]]에서 동영상 하나당 인식할 수 있는 최대한의 길이가 12시간이다. * 12배수의 나이 차이를(12살, 24살, 36살...) [[띠동갑]]이라고 한다. 즉, [[십이지]]와 관련있는 단어이다. * 미국에서는 [[구구단]]을 12단까지 외운다. 그래서 미국 구구단을 ‘십이십이단’이라고 부른다. * [[신 구미호]]에 나오는 여우검의 갯수. * [[십이야]]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 [[12대 중과실]] * 12[[음계]] * [[황도 12궁]] * [[올림포스 12신]] * [[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 * [[WBSC 프리미어 12]] * [[12사도]] * [[십이천]] * [[울트라 세븐]] 中 [[환상의 12화]] * [[원탁의 기사]][* 사실 총 인원수는 13명이지만 기사인 동시에 기사단의 주군인 [[아서 왕]]을 제외하면 12명이다.] * [[샤를마뉴의 12기사]] * [[칼 이야기]]의 [[완성형 변체도]] * [[파이널 판타지 XI]] [[아두린의 마경]]의 [[아두린 12가문]] * [[페어리 테일(만화)|페어리 테일]]의 [[스프리건 12]] * [[키예프 루스]]를 이루었던 [[동슬라브]] 부족들은 12개의 부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게다가 분열 이후의 나라들 역시 열 두 국가들이었다. * 미국 남부로 납치되어 12년간을 노예로 산 솔로몬 노섭의 실화를 그린 [[노예 12년]]. * 1피트(약 30.5cm)는 12인치이다. * [[연필]] 1 다스는 12개로 구성되어 있다. * 위의 사실을 포괄하는 내용으로 12는 2의 제곱과 3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때문에 2, 3, 4, 6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아주 편한 수다. (바리에이션은 [[24]]). 5로 나뉘는 장점까지 가지는 수는 60이다. * 일본에는 십이十二라는 성이 존재한다. [[성우]]인 [[쥬니 료코]]도 있다. * 몇몇 [[애니메이션]]이나 [[미연시]]에서는 [[히로인]]이 12명으로 고정되어 있는 물건이 많이 있으며, 모두는 아니지만 특정 달에 생일인 히로인도 꼭 1명씩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위와 관련된 작품으로는 [[도키메키 메모리얼]], [[센티멘탈 그래피티]], [[스카드 잼 정령석의 구애]], [[시스터 프린세스]], [[천사의 꼬리]], [[매리지 로얄]] 등이 있다. *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의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는 [[러브 라이브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12인조로 구성되어있다. * [[투하트]]에서 [[멀티]]의 모델형번 분류. HMX-12 * [[스타크래프트]]에서 1부대 기준의 유닛수이자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최대 유닛 수[* 스타2에서는 255기의 유닛까지 동시에 선택 가능하다.]이다. * [[스타크래프트 2]]에서 밝혀진 [[사라 케리건]]의 사이오닉 등급. 원래는 10등급까지이다. 즉, 12등급은 '''케리건만을 위해 만들어진 등급'''이란 소리다. 더불어 케리건은 원시 칼날여왕이 되면서 진짜로 측정 불가능이 됐다고 한다. 제작자에 의하면 억지로 정하면 15등급 정도. 여담으로 이로 인해 유명해진 대사가 있는데, '''"12등급 사이오닉파가 감지되었습니다. 칼날 여왕이 돌아왔습니다."''' *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의 등장 캐릭터 [[트웰브]] * 컴퓨터 키보드에는 F1에서 F12까지 12개의 기능키가 있다. * [[성경]] 역시 구약, 신약 포함하여 12라는 숫자와 관계가 많다.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판관기]]의 12판관, [[예수]]의 제자 [[12사도]] 등. 이는 [[요한 묵시록]]에 따르면 하느님의 계획과 섭리를 의미한다. * 의외로 12가 [[만렙]]인 게임이 많다. [[비트매니아 IIDX]],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DJMAX TECHNIKA 3]],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등등. * 서울 은평구 불광의 전통이자 상징이다. * 월드 패밀리 잉글리쉬(Disney's World of English, 약칭 DWE, 옛 [[디즈니]] 영어교실)는 프로그램이 12번까지 있다. * 12색상환도 있다.({{{#ff0000 빨강}}}, {{{#ff8000 주황}}}, {{{#ffff00 노랑}}}, {{{#80ff00 연두}}}, {{{#00ff00 초록}}}, {{{#00ff80 춘록}}}, {{{#00ffff 청록}}}, {{{#0080ff 청색}}}, {{{#0000ff 파랑}}}, {{{#8000ff 보라}}}, {{{#ff00ff 자색}}}, {{{#ff0080 자주}}}) * 인간의 뇌신경은 12쌍이다. * [[기초자치단체]], [[광역자치단체]]장은 최대 12년까지 연임할 수 있다. 연임 제한이 3선이기 때문이다. * [[TOEFL]] 리딩의 한 개 지문에서 나올 수 있는 최소의 문제 수. * 구 [[TOEIC]]에서 Part 6의 문항 수가 12개였다. * [[빈지노]]의 5월 31일 발매된 정규 앨범의 이름이 [[12(빈지노)|12]]이다. * 원래 [[서울 지하철]]의 계획은 12호선까지였으나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해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까지만 만들어졌다. * [[미래일기]]의 일기 종류[* 커플일기의 존재로 갯수는 13개.][* 게임판에서는 [[키리사키 아자미]]라는 13번째 소유자가 등장한다.] *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시리우스 블랙]]의 집 주소인 '''[[그리몰드 광장 12번지]]'''는 머글들한테 보이지 않는다. 11번지 다음에 13번지로 나온다.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모 라이트 노벨]] 독자들에겐 충격과 공포의 숫자일지도. * 애니매이션의 1쿨은 보통 12화다. * [[워싱턴주]]는 12명의 선거인단을 배정한다. * [[포켓몬스터]] [[버터플]]의 [[전국도감]] 번호다. * [[전화기]]의 버튼은 기본적으로 12개다.(0~9, [[*]], [[##]])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은 총 12학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우즈베키스탄]] 국기의 별들은 12개며 12개의 주를 상징한다. 또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아랍 문자, 페르시아 문자로 '알라'를 쓸 수 있다. [[https://www.google.co.kr/search?ei=cL8LYI7GF9W6mAXIooaACA&q=uzbek+flag+allah&oq=uzbek+flag+allah&gs_lcp=ChNtb2JpbGUtZ3dzLXdpei1zZXJwEAM6AggpOggIKRCxAxCDAToLCC4QyQMQkQIQkwI6BQguEJECOgIIADoCCC46CAgAEMcBEKMCOgQIABBDOggIABDHARCvAToHCC4QQxCTAjoFCAAQyQM6BggAEBYQHjoJCAAQyQMQFhAeOgUIIRCgAVCKHFi1R2CQSmgAcAB4AYABpAOIAeIdkgEKMC4xMi4zLjEuMpgBAKABAbABD8ABAQ&sclient=mobile-gws-wiz-serp#imgrc=WWCgEsXkXEdh0M|#]] * [[1대 100]]에서 [[1대 100/1인 우승자#s-6.3|1인 우승자가 많이 푼 문제 수이다.]] * [[복면가왕]]에서 [[우리 동네 음악대장|레전드]]가 본 경연에서 부른 곡수다. * [[도에이 오에도선]]과 관련이 많다. * 그룹 [[EXO]]의 원래 멤버 수는 12명이였다. * 그룹 [[이달의 소녀]]의 원래 멤버 수가 12명이다. * [[프로듀스 48]]의 최종 데뷔조인 [[IZ*ONE]]의 멤버 수가 12명이다. * 인간이 판 가장 깊은 굴은 12km이다.[* 정확히는 12.37km.] * [[청하]]의 노래 중에는 '[[벌써 12시]]' 라는 노래가 있다. * [[이차 전지#s-2.1|자동차 배터리]]를 포함한 다수의 [[배터리 팩]]에서는 12의 배수 전압(12V, 24V, 36V, 48V 등)을 사용한다. 12는 다양한 배터리 셀[* 예를 들어 알카라인 전지는 1.5V, 납축전지는 2V, 니켈수소 전지는 1.2V로 모두 자연수를 곱하여 12로 만들 수 있는 수이다. 단, 리튬이온 전지의 경우 셀당 전압이 3.7V로 정확히 12V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3개(11.1V) 또는 4개(14.4V)를 직렬하여 대신한다.] 전압의 공배수이기 때문. * [[재커리 테일러]]는 [[미국]]의 12대 대통령이다. * [[전두환]]은 [[대한민국]]의 11,12대 대통령이다. * [[이슬람]] [[시아파]] 중 12이맘이 있으며, 시아파에서 많은 신자들의 수를 차지하고 있다. * 12를 [[수어]]로 표현할 때 손 모양이 [[뻐큐]]와 같다. * [[태국어]]로는 씹성(sìp săung)이라고 한다. * 아동 가수 [[오연준]]의 정규 1집 앨범의 제목이기도 하다. 그 외의 앨범은 전부 디지털 싱글로 발매되었다. * [[스타크래프트]]의 유닛 [[골리앗(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골리앗]](공대지)의 히트 데미지다.[* 원래 10으로 설정 되었다가 최종 패치 때 12로 상향 후 확정되었다.] 또한 [[뮤탈리스크]]의 풀업 히트 데미지도 12(9+3)다. * [[영어]]에서는 ~teen을 붙여 표현하는 13~19와는 달리 11, 12는 Eleven^^(일레븐)^^/Twelve^^(트웰브)^^라는 별도의 어휘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11과 12의 [[어원]]이 ~teen 계열의 숫자와 다르기 때문이다.[* 11은 ain(one) + lif(leave) => endleofan => eleven으로 변했고, 12는 two + lif => twalif => twelf => twelve로 변했다.] 참고로 서수는 v가 f로 바뀐 twelfth이다. [[독일어]] 역시 10계열의 숫자들에는 끝에 ~"zehn"(독일어로 "zehn"은 10을 의미하기도 한다)이 붙지만 11은 "elf"^^(엘프)^^, 12는 "zwölf"(=zwoelf)^^(츠뵐프)^^라고 쓴다.[* 비슷하게 [[룩셈부르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아이슬란드어]] 등 [[게르만어파]]의 서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에는 이러한 원리들을 볼 수 있다.] * 12는 고대로부터 완벽함과 우주의 질서를 상징한다고 알려져 왔다. 그래서 우리 생활 주변을 살펴보면 [[12진법|12와 관련된 것들]]을 많이 볼 수 있다. * 이론상 한 사람이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최대 숫자로 이보다 더 크면 그룹으로 나누어서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성경]]에서 고대 [[이스라엘]] 연합이 12지파의 부족연맹 비슷한 체제로 운영된 것이나 [[예수]]가 12명 수제자를 거느리고 다닌 것으로 유명하며, 이것이 이후 관리단위의 최소치로서 인식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군대]]에서 분대 단위의 최대치가 12명인 것, 주식의 종목 관리를 12개로 끊는 것 등이 대표적. [[스타크래프트]] 1에서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유닛의 최대 개수가 12개였던 것도 분대 단위 12명에서 비롯되었다.] 다만 이 12개의 법칙은 해당 분야의 사정에 조금만 밝아도 얼마든지 뛰어넘을 수 있는 제한이기에[* 실제로 250명의 법칙이라는 것이 존재하며, 주식 종목 관리 기준으로 보면 피터 린치의 경우 [[리즈 시절]]에는 1000개가 넘는 종목을 보유하기도 했었다.] 그냥 상징적인 의미로 보는 것이 좋다. 애초에 매니지먼트 능력이라는 게 선천적인 요소와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한계치가 많이 달라지는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 * [[시비]]라는 단어를 쓸 때 발음이 같은 이 숫자가 쓰이기도 한다.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윤리와 사상]]의 과목 코드는 12이다. * [[마인크래프트]]에서 동굴 거미의 체력이다. * 숫자 놀이의 일종인 [[고마치잔]]에서, +와 -만을 사용하는 정답은 '''12가지'''이다. * 어떤 일이 자주 나타나거나 자주 하는 것을 '하루에도 12번'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 일반적으로 [[평균율]]에서는 한 [[옥타브]]에 12가지 음을 쓴다. * [[12살.]]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노래 [[이분의 일 1/2 (ONE-HALF)]]--이건 분수인데-- * [[Grand Theft Auto San Andreas]]의 주인공인 CJ는 치킨집이나 피자집에서 음식을 12그릇을 주문해서 먹으면 폭식으로 구토를 한다. * [[천자문]]의 12번 한자로 기울 측([[昃]])이다. * [[유희왕]]에서 몬스터의 기본 최대 레벨은 12다. * [[사카모토 류이치]]의 12집 [[12(사카모토 류이치)|12]]. [[분류:과잉수]][[분류:연속하는 두 자연수의 곱]][[분류:연속하는 두 소수의 합]][[분류:하샤드 수]][[분류:오각수]][[분류: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