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1번 국도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국도, rd1=일본 11번 국도)] [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도)]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도]] 중 하나. [[제주시]] 이도동과 [[서귀포시]] 영천동을 남북으로 이으며, [[한라산]]의 바로 동쪽을 지나간다. 원래는 11번 [[국도]]였으나, 제주도가 제주특별자치도로 바뀌면서 제주도에 있던 '''모든 국도가 지방도로 강등'''[*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251조 제3항][* 도로의 격이 강등된 것이 아닌 제주특별자치도법상 자치권 보장을 위한 법제. 국도의 경우 중앙정부가 관리한다.]되어 1131번 지방도로 바뀌었다. == 역사 == 도로를 건설한 시작만 따지면 일제강점기까지 올라간다. 본래는 [[임도]]로 한라산의 목재를 운송하기 위한 간이도로였다. 이후 60년대에 국토건설단을 투입하여 다시 시작하여 완공하였다. 국토건설단이라고 하면 거창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병역기피]]자나 [[조직폭력배]], [[노숙자]]들만 모은 집단이다. 건설 당시 워낙 과정이 험난해서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간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민주화 이후로는 성판악로 등 다른 이름으로 개칭하자는 주장이 있다. 그런데 도로명 개칭 조건은 도로명 사용 인구의 1/5 이상이 제안, 1/2 이상이 찬성해야 변경이 가능한데 이 부분에서 막히고 있다. 유배지이면서 변두리였던 제주도를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지로 바꿔놓은 것이 [[박정희]]이기 때문이다. 4.3사건과는 연관된 자유당과 단절되고 제주도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박정희 정부에 대한 우호도는 제주도에서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박근혜 탄핵]] 이후 박정희에 대한 여론이 나빠지면서 516도로 비석이 스프레이로 테러당하기도 하는 등 이름을 바꾸려는 움직임은 계속되고 있다. 다만, 516비석 스프레이 사건 때 인근지역 주민들이 순식간에 동사무소에 신고해서 복구하기도 했고, 개명 서명운동 도중 어떤 주민이 '혹시 육지사람이세요?'라는 질문을 하자 [[스파이|서명을 받던 사람중 하나]]가 어버버버하면서 서명하려던 주민들이 순식간에 집으로 귀가하는 일화가 있다. 초기 가칭인 한라산 횡단도로라고 했다가는 [[1100도로]]와 가까운 쪽 사람들이 99% 반대한다. 성판악 등산 코스도 박정희가 끼어있기 때문에[* 지금은 철거된 성판악 휴게소도 [[http://www.jnu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3444|박정희]]와 연관이 깊다.] 그닥 적합하지 않다. 5·16도로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제1횡단도로라고도 한다. 유래는 [[5.16 군사정변]]의 주체인 [[박정희 정부]]가 건설하여 516도로라고 불린 것. 실제 박정희에게 '516도로"라고 휘호를 받아서 만든 비석이 남아있다. 이후 [[도로명주소]] 사업에서도 '516로'라는 이름을 받았다. 비슷한 이름인 516번 지방도와는 아무 연관이 없다. 현지인들에게는 '1131번 지방도'라는 명칭보다는 '516도로'라는 명칭이 더 익숙하다. 오히려 '1131번 지방도'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 == 주변 지역 == [[1135번 지방도]]가 대규모로 정비되기 이전까지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잇는 가장 빠른 도로로서 다수인이 이용해 왔고 현재도 제주 舊시가지와 서귀포시 舊시가지의 연결에서는 1135번 지방도보다 우위에 있어 교통량이 많다. [[한라산]] [[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을 통과하는 구간에서는 나무들이 도로를 터널처럼 둘러싼 소위 '숲터널'[* 해당 도로가 어디서부터인지는 그 경계가 모호하지만, 양방향 모두 가다보면 '숲터널'이라고 적힌 조그만한 표지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광경이 장관을 이루기 때문에 [[드라이브]] 코스로서 명성을 날리는 도로이기도 하다.[* 낮에 직접 가 본 사람은 알겠지만 저 곳을 통과할 때는 나무에 그늘져서 이전보다 확연히 어두워진 것을 볼 수 있다.] 한라산 언덕 동쪽을 타고 올라가는 구간은 [[고개]]로 되어 있고 한라산 국립공원을 지나간다. 고개 정상에 성판악 휴게소가 있고 [[제주 버스 281|시내버스]]를 타고 여기에서 내린 뒤 한라산에 오르는 코스가 애용된다. 과거에는 성판악휴게소 주차장의 용량이 등산객을 모두 수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해서 성판악휴게소 주변 도로는 매일 같이 [[불법주차|불법 주차]]로 몸살을 앓았었다. 안 그래도 운전하기 까다로운 도로 양측으로 세워진 차량이 쭉 늘어서기 때문에 이 구간을 운전하여 지나갈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결국 관련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된 결과 2020년 말에 도로변 규제봉이 설치되고 제주국제대학교 부지에 환승 주차장이 설치되었지만, 정작 이 주차장은 이용률이 적고 탐방로에서 더 가까운 마방목지 주차장으로 몰리는 모습을 보인다. [[http://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172515|#]] [[제주대학교]]나 제주대학교 근처에 있는 [[한국폴리텍Ⅰ대학]] 제주캠퍼스, [[제주국제대학교]],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거치는 도로이다. 참고로 서귀포에서 아침 (7시 30분 ~ 8시 30분)시간대에 [[제주 버스 281|281번 버스]]를 이용하려는 경우 학생들이 통학하는 시간이라 대부분 입석으로 이용해야 한다. == 차로 현황 == * 왕복 6차로: 제주시 이도동 광양사거리 ~ 아라동 산천단검문소 * 왕복 4차로: 서귀포시 남원읍 수악교 ~ 동홍동 비석거리교차로 * 왕복 2차로: 제주시 아라동 산천단검문소 ~ 서귀포시 남원읍 수악교 == 위험성 == 산간도로는 1100도로처럼 왕복 2차선에 커브도 많아 선형은 좋지 않다. 노면상태나 선형은 [[태백산맥]] 관통하는 강원도나 경상북도 고갯길들에 비하면 훨씬 낫지만, 기상상황이 유독 심하게 발목을 잡고[* 예를 들면 약 10~50미터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짙은 안개], 미친듯이 달리는 현지인들[* 승용차든 1톤 트럭이든 매한가지다.]과 택시들[* 우스갯소리지만 몇몇 현지인들은 앞 차가 느리게 간다 싶으면 번호판을 확인해본다. 렌터카인가 아닌가.(...) 보통 관광객들이 이 도로가 익숙하지 않아서 자주 서행하기에 나오는 말이다.], 내륙에서 [[와인딩]]하러 와서 미친듯이 달리는 사람들 때문에 운전 난이도가 있는 편인데, 편하게 가려면 평화로나 번영로를 이용해 다른 도로로 우회하는 게 낫다. 하루에 1회 이상은 사고 현장을 목격할 수 있을 정도이며 '''사고가 너무 흔해서 기사 하나 나지 않는다.(...)''' 그리고 겨울철만 되면 눈이 잘 쌓이지 않는 도시에서의 주행이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산 근처의 상황은 잘 모르는 관계로 도시에서 산중으로 들어가자마자 쌓인 눈을 대체할 방안(체인) 등도 없이 주행하다가 미끄러져 차가 뒤집히는 일도 허다하다. 그리고 날이 어두워지면 노루 로드킬 사고가 많이 난다.[* 제주도에는 1톤 트럭들도, 일반 승용차들도 국산이나 수입 안 가리고 찌그러지거나 부서져도 큰 지장 없으면 그냥 신경도 안쓰는 편인지 차들이 크랙이 좀 있는 편인데 이런 로드킬도 한 몫 하는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281번 버스도 기본 수십 분 정체되는 일이 흔하다. 검문소에서 통제를 시행할 때 형편이 닿으면 [[제주 버스 281|버스]]를 이용하자. 그 외에도 이 도로가 귀신 도로라는 별명을 붙었다는 것이 [[KBS 2TV]]의 [[생방송 아침이 좋다]]에도 소개되었다. 제주도에서 제일 악명높은 도로라는 기록을 가질 정도로 보이는 만큼,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까지 위협할 요인으로 작용되기도 한다. 소문이지만, 음주운전을 하는 상태로 1131번 지방도(516 도로)와 1100도로를 타면 필시 사고가 나서 이 도로로 진입하는 구간에서는 검문하지 않는다는 소문이 있는데, 당연하지만, 소문은 소문일 뿐 음주운전은 절대로 하지 말자. '''맨정신에도 위험한 도로이다. 이 도로를 매일 다니면서도 비교적 안전한 편인 281번 버스도 사고가 다섯 번이나 났다.'''[* 그 영향으로 281번 버스를 이용할 시 대부분의 기사들이 안전벨트를 매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021년 4월 6일에 이 도로를 타고 내려온 대형 트럭이 브레이크 파열로 제주대 사거리에서 버스 2대와 1톤 트럭 한 대를 추돌하는 대형 사고로 인해 [[배수진|'''4.5t 이상의 대형 화물차의 516도로와 1100도로 통행이 전면 금지되었다.''']] 현재 제주시 방향 내리막길 구간은 50km/h 구간단속을 시행하고 있다. 사실 도로 선형은 화천, 양구같은 산간 오지보다는 좋은 편이지만 통행량과 운전자들의 숙련도가 문제다. == 구간 == === 516로 === * -○ 식의 하위 번호가 붙은 것은 -10에까지 이른 것부터 기재함. * 홀수번이 서쪽, 짝수번이 동쪽이다. ||<-7> '''남쪽 기점 ([[일주동로]] 8532)''' || ||<-2> '''소재지''' || '''법정동'''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24><-2>'''[[서귀포시|{{{#0275d8 서[br]귀[br]포[br]시}}}]]''' ||<|2> '''동홍동''' || 비석거리교차로 || 0번 || [[일주동로]][br]([[1132번 지방도]])[br][[정방연로]][br][[태평로(서귀포)|태평로]] ||<|38> '''1131번 지방도''' || || || 20번 || [[동홍남로]] || ||<|15> '''토평동''' || || 40번 || [[동홍북로]] || || 답다니 || 70번 || 72번길 || || || 100번 || 97번길 || || || 110번 || 110[br](~[[검은여로]] 237) || || || 130번 || [[토평남로]]87번길 || || 토평사거리 || 160번 || [[중산간동로]][br]([[1136번 지방도]]) || || || 185번 || [[토평로]]19번길 || || 뒷빌레 || 205번 || [[토평북로]]70번길(서)[br]206(동) || || || 245번 || [[토평서로]](서) || || || 280번 || 277번길[br][[토평로]]19번길(동) || || || 315번 || [[토평로]](동) || || || 340번 || [[토평공단로]](서) || || || 350번 || 353 || || || 360번 || 361번길 || || || 380번 || 381 || ||<|7> '''상효동''' || 영천교차로 || 400번 || [[중산간동로]] 7386(동)[br][* 2013년에 신설되었으나, 8년이 지난 2021년에도 개별 도로명이 없다.] || || || 440번 || 436번길 || || 법호천[br]온성학교 || 460번 || [[배낭골로]](서)[br][[하신상로]]427번길(동) || || 상효입구[br]교차로 || 470번 || [[하신상로]](동) || || 돈내코입구[br]교차로 || 500번 || [[돈내코로]](서)[br]492 || || 하례입구 || 575번 || [[하례광장로]](동) || || 입석동 || 760번 || [[산록남로]](서)[br]([[1115번 지방도]]) || ||<|2> ||<|2> '''남[br]원[br]읍''' || '''하례리''' || 서성로입구[br]교차로 || 790번 || [[서성로(서귀포)|서성로]](동)[br]([[1119번 지방도]]) || || '''신례리''' || 수악교 || 760번 || || || || '''조[br]천[br]읍''' || '''교래리''' || 성판악입구교차로 || 1865번 || || ||<|11><-2>'''[[제주시|{{{#0275d8 제[br]주[br]시}}}]]''' || '''봉개동''' || 516도로[br]교차로 || || [[비자림로]] || || '''용강동''' || 한라생태숲 || 2600번 || || || '''영평동''' || 제주[br][[골프장|컨트리클럽]] || 2700번 || || ||<|8> '''아라1동''' || 양지공원 || 2810번 || || || 상청연수원 || 2830번 || || || 첨단과학기술[br]단지교차로 || 2840번 || [[첨단로]] || || 제주의료원 || 3015번 || 산천단남길 || || 산록도로[br]입구교차로 || 3030번 || [[산록북로]][br]([[1117번 지방도]]) || || 제주의료원 || 3045번 || 산천단동길 || || 춘강복지법인 || 3100번 || 선돌목동길 || || 제주대사거리 || 3160번 || [[한북로]](서)[br][[제주대학로]](동)[br]중앙로(북)[br](1131번 지방도) || ||<-7> '''북쪽 종점 (제주대사거리, 중앙로와 직결)''' || 2009년까지는 새주소로는 5.16도로였고, 제주대사거리~성판악(제주시 동지역 구간), 서성로사거리~비석거리교차로(서귀포시 동지역 구간)까지였지만, 새주소 개편 이후 516로라는 도로명이 쓰였다. (당시 읍면지역은 새주소가 없었다.) === 중앙로 === 번호순(1~770번)대로 탑동부터 제주대학교 입구 교차로까지 구간이다. 제주시내권의 남북 교통을 담당하여 교통체증이 심한 곳이다. 또한, 아라초등학교 사거리에서 광양사거리까지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시행되는 구간이라 유턴이 금지된다. 자가용 도로구간도 좁아지니 자가용 운전자는 주의해야 한다. 이 구간은 주변에 학교[* [[아라초등학교]], 제주여자중.고등학교, [[아라중학교]], 제주영지학교, [[탐라중학교]],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 [[제주제일중학교]], 남광초등학교]가 매우 많고, 학생들이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여 버스노선도 매우 많다. 특히, [[제주시청]]과 4차선인 중앙로사거리의 경우, 휴일에도 교통체증이 심하며, 유동인구가 많다. 이 때문에 제주도에서는 중앙로를 대체할 남북 간선도로를 만들기 위해 물색하고 있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도]][[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교통]][[분류:5.16 군사정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