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Z2AC의 코스)] [include(틀:EZ2AC 독립 문서 코스)] [목차] == 설명 == ||<-5> || ||<-5>{{{+2 '''10키 연구소'''}}} || ||<|4> LEVEL[br]'''{{{#840,#gold {{{#!html ?}}}}}}'''[br]{{{-3 EZ2AC : NT}}} || '''1''' ||<|4> Random || 10key || ???? || || '''2''' || 10key || ???? || || '''3''' || 10key || ???? || || '''4''' || 10key || ???? || || 플레이 가능 버전 || 서바이벌 게이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12px; background:dimgray; font-size: 0.8em;" [[EZ2AC : NIGHT TRAVELER/7키 코스|{{{#fff '''NT'''}}}]]}}}[* NT 1.9 업데이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12px; background:#40e0d0; font-size: 0.8em;" [[EZ2AC : TIME TRAVELER/7키 코스|{{{#fff '''TT'''}}}]]}}}[* TT 1.3 업데이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12px; background:#2080A0; font-size: 0.8em;" [[EZ2AC -FINAL-/7키 코스|{{{#fff '''FN'''}}}]]}}}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12px; background:#2857AF; font-size: 0.8em;" [[EZ2AC : FINAL EX/7키 코스|{{{#fff '''FNEX'''}}}]]}}} || * [[EZ2AC]]의 랜덤 코스 중 하나이다. EZ2AC NT 1.9 업데이트/TT 1.3 업데이트에서 처음 선보였다. 채널의 컨셉은 10키 패턴을 연구하는 연구소. 그래서인지 정상적인 패턴은 연구 성공, 비정상적인 패턴은 연구 실패라고 부르기도 한다. NT 1.85/TT 1.2까지 10키를 제외한 모든 모드의 코스에 랜덤 코스가 추가되었으며, 이 코스를 마지막으로 모든 코스의 랜덤 코스가 생성되었다. 공통적으로 스크롤이 같은 속도로 고정되어 있으며, 게이지 총량을 엄청나게 높게 잡아두었다. 대략 10키 매니악 게이지의 5배가량 수준. 게이지 총량이 엄청나게 높기 때문에 노트를 맞춰도 거의 차지 않는 극악의 회복량을 가지고 있다. 대신 감소량도 상당히 적으며, 후술할 [[You were the one]] 등의 예외도 있다. * [[FOX-B]]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서 [[https://twitter.com/FOXB_/status/929139746248392704|10키 연구소 코스를 정배치로 플레이할 것을 강력히 권장했다.]]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0FBp3UQnDETdRvsiQn27UBAqRDfwVr2|전체패턴과 손배치영상은 이곳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게이지 총량이 크고 곡마다 가지각색의 패턴 성향을 보유한 본 코스의 특성상 어느 곡이 보스곡이라고 콕 집어서 정하기 힘들다. 자신이 선호하는 패턴 성향과 손배치, 또는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어느 곡이라도 보스곡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턴 자체의 난이도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 곡들은 다음과 같다. * [[A Site De La Rue]] : 양쪽 스크래치를 오가는 멜로디 스크래치가 쉬지 않고 나오는 구성으로 엄청난 체력을 요구하며 스크래치를 돌린 후 키파트를 정확하게 칠 것을 요구하는 힘들면서도 까다로운 패턴이다. * [[AntiDOT]] : 같은 연구소 패턴들중 무리스크 난이도가 극악인걸로 유명하며 S+4 같은 무리스크래치가 많다. 10키 연구소 채보들중에 무리 스크래치 / 스크래치 견제 속성으로는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 패턴. * [[Apollon(EZ2AC)|Apollon]] : 빠른 BPM에 한손 동시치기+한손 폭타, 그리고 곡 특유의 순간 발광, 순간 쌍계단, 후반의 롱잡 등으로 쉴틈없이 어려운 패턴이 반복해서 나오는 구성으로 게이지를 제외하고 순수 노트 상으로는 18급으로 평가받는다. * [[ASTERIOS REENTRY]] : 맨 위의 두 곡과는 반대로 맨 끝에 1P 스크래치가 딱 하나 나오는 것을 제외하면 스크래치와 페달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대신 키파트 자체 난이도가 18~19 하급 수준으로 엄청나게 어렵다. 중반의 조용해지는 구간에서도 노트를 잔뜩 박아놓아 쉬는 구간이 거의 없다. 순수 키파트 폭타 속성으로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 패턴. * [[Lucid]] : 기존의 패턴들에서 롱노트 비중을 확 줄이고 폭타를 엄청나게 강화한 패턴으로 18급의 패턴을 자랑한다. 곡 특유의 체력곡 속성은 여전하며, 끝날 때 까지 폭타를 뿌리다가 맨 마지막에는 달랑 롱페달 하나만 나오기 때문에 클리어 하더라도 다음 스테이지를 대비하기 힘들어진다. * [[Schizophrenia]] : 양쪽 스크래치와 페달만 나오는 SPS Only 패턴이다. 스크래치와 페달을 다루는데 익숙하고 체력이 된다면 연구소 최약체 급으로 쉽게 클리어 할 수 있으나, 반대로 스크래치와 페달을 잘 처리하지 못하거나 체력이 달린다면 보스급 까지 올라갈 수 있는 극강의 개인차 채보이다. 그 외에 [[Lie Lie]], [[Substance]], [[You were the one]] 등의 경우 패턴 자체의 난이도는 낮지만 게이지 감소량이 연구소 게이지와는 전혀 동떨어져 있다. 채보 자체도 실수를 유발하기 쉬운 배치가 많으며, 조금만 실수해도 게이지가 확 깎이는데 회복은 거의 안 되기 때문에 17~18레벨을 무리없이 깨는 유저들이 이 곡들 앞에서 죽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You were the one]]이 악명 높다. 앞 스테이지에서 겨우 클리어하여 게이지가 바닥인 상태에서 위 3곡 중 하나가 걸렸다면 사실상 올콤보를 강요해야 할 정도로 클리어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 == 확인된 패턴 == === [[EZ2DJ 3rd]] === * [[Lie Lie]] * [[Minus 2]] * [[Substance]] === [[EZ2DJ 4th]] === * [[Aquaris]] * [[Climax(EZ2AC)|Climax]] * [[Feel So Sad]] * [[Fire Storm]] * [[Metagalactic]] === [[EZ2DJ PT]] === * [[Weird Wave]] === [[EZ2DJ 6th]] === * [[찬가2]] * [[You were the one]] === [[EZ2DJ 7th]] === * [[Aura(EZ2AC)|Aura]] * [[Dance With Me|Dance With Me~Dischord Edit~]] * [[Don't Say Anything]] * [[Frantic|Frantic ~YK EDIT~]] * [[Lucid]] * [[Refresh (J-Style Edit)|Refresh ~YK EDIT~]] * [[Sinus ~Secret Heart~]] === [[EZ2DJ CV]] === * [[Blood Castle|Blood Castle ~Remix~]] * [[神威]] * [[Le Grand Bleu]] * [[Stay|Stay ~TAK Remix~]] * [[Tempus Praeterita]] === [[EZ2DJ BERA]] === * [[없잖아]] * [[Apollon(EZ2AC)|Apollon]] * [[Dreamy Days]] * [[Good Speed]] * [[Irregular Liner]] * [[MxMxM Star]] * [[Messier 333]] * [[Please Please Me]] * [[Return to Universe]] * [[Thrust Out]] * [[Vintage Summer]] === [[EZ2DJ AEIC]] === * [[AXIS(EZ2AC)|AXIS]] * [[Disease]] * [[Frostbite]] * [[Frozen Eyes]] * [[Illusion]] * [[Intuition]] * [[if I couldn't see you again]] * [[Morgenglut 2012]] * [[Resonance Spectra]] * [[Rising In My Heart]] * [[The Ashtray]] === [[EZ2AC EC]] === * [[A Site De La Rue]] * [[Actias Artemis]] * [[Again(EZ2AC)|Again]] * [[Aniart]] * [[Legend]] * [[northpole]] * [[Planet X]] * [[Starlight Factory]] * [[Todos Los Dias]] === [[EZ2AC EV]] === * [[AntiDOT]] * [[ASTERIOS REENTRY]] * [[BEDLAM]] * [[BlitzKrieg]] * [[Diamond Shore]] * [[INFINITY(EZ2ON)|INFINITY]] * [[Lazy Days]] * [[Oriental Shade]] * [[Purity Dream]] * [[Rebel Against]] * [[Rendezvous City]] * [[Repulse Stream|Repulse Stream ~RAVEN@TION Remix~]] * [[Schizophrenia]] * [[Sorry, But I Can't]] * [[Sparkling Ways]] * [[Stereotype Lovesong]] * [[Storm Chaser]] * [[Terminated Protocol]] * [[White Out]] * [[Your Mind]] === [[EZ2AC NT]] === * [[Afterlife]] * [[Burnin' Road]] * [[Clue]] * [[Cross Time]] * [[Dement -After Legend-]] * [[Fallen]] * [[Falling Rain|Falling Rain ~Envy Mix~]] * [[Keep Your Passion]] * [[LIGHTFALL]] * [[Makes Me Wonder]] * [[PRIME(펌프 잇 업)|PRIME]] * [[Reignite]] * [[Stargazer(EZ2AC)|Stargazer]] * [[Scarlet Blaze]] * [[SUPERCUTE]] * [[Take it up]] == 같이보기 == * [[EZ2AC 시리즈/10K MANIAC]] [[분류:EZ2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