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 [[테란]]이 쓸 수 있는 전략이며, [[군수공장(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팩토리]]와 [[우주공항|스타포트]]를 각각 1개씩 건설하는 [[빌드 오더]]의 통칭을 의미한다. == [[스타크래프트 1]] == === [[브루드 워]] === ==== [[스타크래프트/1.08 패치]] 이전 ==== ===== [[테저전]] ===== ====== '1해처리 레어'에 대응 ====== ||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년 5월 5일[br]결승전 1세트 ( [[블레이즈|네오 블레이즈]] ) [[임요환]] vs [[장진남]] || || [youtube(NJxuRVwJthk?start=1138)] || ====== [[트윈 해처리]]에 대응 ====== ||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년 5월 5일[br][[https://www.youtube.com/watch?v=mK5XVtV7ZjA&t=592s|결승전 2세트]] ( [[정글 스토리(스타크래프트)|네오 정글스토리]] ) [[임요환]] vs [[장진남]] || || [youtube(AlmMxvQxuXg)] || ==== [[스타크래프트/1.08 패치]] 이후 ==== ===== [[테프전]] ===== 같은 1팩 1스타라고 하더라도 상당히 다른 양상이 나올 수 있다. 주로 [[4벌쳐 드랍]]이 많이 사용되지만, 타우 크로스나 아즈텍처럼 앞마당에 시즈 탱크가 자리를 잡을 언덕이 있으면 2탱크 드랍, 1탱크 2벌쳐 드랍 등도 사용 된다. 추가로 [[리버 아케이드]]를 방어하기 위해서 레이스를 뽑기도 한다. 테프전에서의 1팩 1스타는 스타포트까지 테크를 상당히 많이 올리고 드랍을 통해 견제하는 빌드이기 때문에, 큰 피해를 주지 못하면 [[1팩 더블]]에 비해서 굉장히 불리해지기 때문에 드랍십으로 견제하면서 시간을 끌어주는 플레이가 중요하다. ====== [[2게이트 드라군]]에 대응 ====== * [[가스 러쉬]] -> 코어 → 2겟 → 사업 || [[EVER 스타리그 2004]] 2004년 11월 5일[br]4강 A조 5세트 (머큐리) [[최연성]] vs [[박정석]] || || [youtube(s8DmLak40hM?start=153)] || 박정석의 '[[https://www.youtube.com/watch?v=s8DmLak40hM&t=153s|#]][[가스 러쉬]] -> [[https://www.youtube.com/watch?v=s8DmLak40hM&t=218s|코어]] → [[https://www.youtube.com/watch?v=s8DmLak40hM&t=263s|2겟]] → [[https://www.youtube.com/watch?v=s8DmLak40hM&t=286s|사업]] → [[2게이트 로보틱스]] → [[https://www.youtube.com/watch?v=s8DmLak40hM&t=594s|서포트 베이]] → 2넥'를 상대로, 최연성은 '[[https://www.youtube.com/watch?v=s8DmLak40hM&t=487s|1팩 1스타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s8DmLak40hM&t=962s|5팩 3컴]]'으로 대응하여 승리하였다. * 코어 → 사업 → 2겟 || [[So1 스타리그 2005]] 2005년 9월 17일[br]16강 C조 재경기 1경기 (네오 포르테) [[서지훈]] vs [[박지호]] || || [youtube(oSnReOyZWNA?start=209)] || 박지호의 '[[https://www.youtube.com/watch?v=oSnReOyZWNA&t=172s|코어]] → [[https://www.youtube.com/watch?v=oSnReOyZWNA&t=209s|사업]] → [[https://www.youtube.com/watch?v=oSnReOyZWNA&t=249s|2겟]]을 상대로, 서지훈은 '[[https://www.youtube.com/watch?v=oSnReOyZWNA&t=277s|1팩 1스타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oSnReOyZWNA&t=424s|2컴]] → [[https://www.youtube.com/watch?v=oSnReOyZWNA&t=625s|6팩 3컴]][* 본진 1팩 + 앞마당 5팩.]'으로 대응하여 승리하였다. ====== [[사업 더블]]에 대응 ====== * '사업 더블 -> [[패스트 아비터]]'에 대응 || [[박카스 스타리그 2010]] 2011년 1월 29일[br]결승전 3세트 (패스파인더)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vs [[송병구]] || || [youtube(Qc-jSbqlE50?start=767)] || 송병구의 '[[https://www.youtube.com/watch?v=Qc-jSbqlE50&t=722s|#]][[사업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Qc-jSbqlE50&t=1231s|#]][[패스트 아비터]]'에 대하여, 정명훈은 '[[https://www.youtube.com/watch?v=Qc-jSbqlE50&t=767s|1팩 1스타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Qc-jSbqlE50&t=1082s|3팩 트리플]]'로 대응하고 승리하였다. ====== [[전진 게이트]]에 대응 ====== || [[KSL 시즌2]] 2018년 11월 23일[br][[https://www.youtube.com/watch?v=HKaNkW1zAmQ&t=3366s|16강 C조 최종전 3세트]] (아즈텍) [[조기석]] vs [[김재훈]] || || [youtube(HKaNkW1zAmQ?start=3366)] || ===== [[테저전]] ===== 후속 전략으로 투스타 레이스 등 여러 찌르거나, 아머리를 빨리 올려 메카닉 체제를 타는 등, 다양한 대을 빌드를 들고 나와도 된다. 다양한 종류의 일꾼 견제가 1팩 1스타의 가장 큰 장점이지만 단점도 명확한데, 우선 앞마당 먹을 자원을 모두 테크를 올리는데 쏟아붓기 때문에 안그래도 가난한 테란이 더 가난해져서 그만큼 멀티를 가져가는 타이밍이 늦어지게 되고, 그만큼 병력을 뽑는 시간이 지체된다. 그래서 테란 입장에선 어떻게든 입구를 틀어막아서 상대가 체제 확인을 못하게 방해하고 자신은 최대한 적을 견제하면서 멀티/병력 우위를 확보할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만약 상대가 어떻게든 이 체제를 빠르게 확인해서[* 특히 저그의 경우 작정하고 오버로드를 테란 본진에 쑤셔 넣고 대비를 한다면 1팩 1스타 테란은 깔끔하게 막힐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발 더 빠르게 대응한다면, 테란이 뭘 해보기도 전에 상대에게 역으로 털려서 견제도 멀티도 아무것도 못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 [[9풀]]에 대응 ====== * '[[9풀]] → 가스 트릭'에 대응 ||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08-09]] 2009년 2월 16일[br]( [[추풍령(스타크래프트)|신 추풍령]]) [[최연성]] vs [[김명운]] || || [youtube(Kpm73H99l_o?start=120)] || 김명운의 '[[https://www.youtube.com/watch?v=Kpm73H99l_o&t=120s|#]][[9풀]]'에 대하여, 최연성은 'https://www.youtube.com/watch?v=Kpm73H99l_o&t=278s|1팩 1스타 더블]]'로 대응하고 승리하였다. ====== [[생 해처리]]에 대응 ====== * '생 해처리 → [[트리플 해처리]]'에 대응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2008년 10월 17일[br]4강 A조 2세트 (메두사)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vs [[김준영]] || || [youtube(26kOeESUw5w?start=186)] || 김준영의 '[[https://www.youtube.com/watch?v=26kOeESUw5w&t=186s|#]]12드론 [[생 해처리]] -> [[https://www.youtube.com/watch?v=26kOeESUw5w&t=245s|#]][[트리플 해처리]]'에 대하여, 정명훈은 '[[https://www.youtube.com/watch?v=26kOeESUw5w&t=300s|1팩 1스타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26kOeESUw5w&t=637s|#]]4팩 1스타 [[https://www.youtube.com/watch?v=26kOeESUw5w&t=718s|#]]타이밍'으로 대응하고 승리하였다. * '생 해처리 → [[3해처리 운영]]'에 대응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2008년 10월 17일[br]4강 A조 4세트 (추풍령)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vs [[김준영]] || || [youtube(dLym9ldM3Qc?start=313)] || 김준영의 '[[https://www.youtube.com/watch?v=dLym9ldM3Qc&t=191s|#]][[생 해처리]] -> [[https://www.youtube.com/watch?v=dLym9ldM3Qc&t=256s|#]][[3해처리 운영]]'에 대하여, 정명훈은 '[[https://www.youtube.com/watch?v=dLym9ldM3Qc&t=313s|1팩 1스타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dLym9ldM3Qc&t=758s|#]]3팩 1스타 타이밍'으로 대응하고 승리하였다. * '생 해처리 → [[노 스포닝 풀 3해처리]]'에 대응 || [[빅파일 MSL]] 2010.07.31[br]16강 D조 3경기 ([[오드아이(스타크래프트)|오드아이]])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vs [[신노열]] || || [youtube(RS9_oc8WfZ8?start=84)] || 신노열의 '[[https://www.youtube.com/watch?v=RS9_oc8WfZ8&t=84s|#]]11드론 [[생 해처리]] → [[https://www.youtube.com/watch?v=RS9_oc8WfZ8&t=136s|#]][[노 스포닝 풀 3해처리]]'를 상대로, 이재호는 '[[https://www.youtube.com/watch?v=RS9_oc8WfZ8&t=205s|#]]1팩 1스타 → 2컴 → [[패스트 베슬]] → [[https://www.youtube.com/watch?v=RS9_oc8WfZ8&t=831s|#]]5배럭 1팩 1스타 [[트리플 커맨드]]'로 대응하고 승리하였다. * '생 해처리 → [[2해처리 레어]]'에 대응 || [[박카스 스타리그 2010]] 2011년 1월 14일[br]4강 A조 2세트 ( [[이카로스(스타크래프트)|이카로스]])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vs [[김윤환(1989)|김윤환]] || || [youtube(rtBFLgkv2E4?start=454)] || 김윤환의 '[[https://www.youtube.com/watch?v=rtBFLgkv2E4&t=454s|#]][[생 해처리]] → [[2해처리 레어]]'를 상대로, 정명훈은 '[[https://www.youtube.com/watch?v=rtBFLgkv2E4&t=593s|1팩 1스타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rtBFLgkv2E4&t=1239s|#]]6배럭 2팩 1스타 [[https://www.youtube.com/watch?v=rtBFLgkv2E4&t=1294s|#]]트리플'로 대응하고 승리하였다. * '생 해처리 → [[생 트리플 해처리]]'에 대응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2019년 7월 30일[br]16강 D조 2경기 (트라이포드) [[이영호]] vs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 [youtube(tsqDvpV2RZw?start=2691)] || 김민철의 '12드론 [[생 해처리]] → [[생 트리플 해처리]]'를 상대로, 이영호는 '[[https://www.youtube.com/watch?v=tsqDvpV2RZw&t=2795s|1팩 1스타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tsqDvpV2RZw&t=3168s|5팩 트리플]]'을 실행하고 승리하였다. ===== [[테테전]] ===== [[1팩 더블]]이 일반적인 '테테전'의 경우, '[[망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레이스]]를 먼저 뽑는 빌드'와 '[[수송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랍 쉽]]을 먼저 뽑는 빌드', 이 2종류의 빌드가 상황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 [[스타크래프트 2]] == === [[자유의 날개]] === || LG 월드챔피언십 [br]4강 (젤나가 동굴) [[이정훈]] vs [[장민철]] || || [youtube(ucnsAVnMtko?start=4)] || 1.4.0 패치 이전의 경우, 앞마당 확장을 안 한채로 1컴 상태에서 공격으로 승리할 수 있었다. 이 전략에 힘입어 1.3.5 버전 [[GSL]]에서의 [[테프전]] 프로토스의 승률은 '''0%'''가 됐다. 1.4.0 패치 이후의 경우, 병영 건설 시간이 5초 늘어나 테란 유저들이 타이밍을 늦출 필요성이 생겼고, [[불멸자(스타크래프트 2)|불멸자]]의 사거리가 1 증가함으로써 이 전략은 약화되었다. === [[군단의 심장]] === || SK 텔레콤 프로리그 2015 [br]'진에어 vs KT' 1세트 (세종 과학 기지)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vs [[주성욱]] || || [youtube(t9QIGP9kXCY?start=423)] || === [[공허의 유산]] === || SK 텔레콤 프로리그 2016 [br]'MVP vs 아프리카' 5세트 (세종 과학 기지) [[고병재]] vs [[조지현]] || || [youtube(Cop-Z7L2eYs?start=237)] || 미니 맵을 확인하면 알 수 있듯이, 앞마당 커맨드보다 스타포트가 먼저 건설을 시작했다. || SK 텔레콤 프로리그 2016 [br]'진에어 vs CJ' 1세트 (얼어붙은 사원)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vs [[변영봉]] || || [youtube(I6jI-mZvf4c?start=530)] || 시즈모드인 채로 의료선 수송이 가능했던 시절이여서, 앞마당 확장을 안 한채 공격으로 승리할 수 있었다. [[분류:스타크래프트/전략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