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연예 기획사]]의 한 종류. 소속 된 [[연예인]]이 1명 밖에 없는 [[연예 기획사]]. 보통은 [[연예인]]들이 활동 하여 번 수익은 소속사에 전달 되고 정산을 통해 계약 당시 정한 비율대로 [[연예인]]에게 수익금을 주는 구조이다. 그런데 따로 소속되고 싶은 [[연예 기획사]]가 없거나 기존 소속사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싶은데 [[연예 기획사]]를 통해서 업무를 하고 싶은 경우 자기 자신만을 위한 1인 기획사를 만들어서 출연료 지급 및 세금 계산의 창구로 사용 하는 것이다. [[페이퍼 컴퍼니]]로 오해 하기 쉬우나 절대 아니다. 1인 기획사는 초소 규모라서 직원이 한 두 명 밖에 안 있거나 [[사무실]]도 아예 없는 등 제대로 된 기업체 꼴을 갖추지 못 할 수 있지만, 명목 상으로만 존재 하는 것이 아니고 엄연히 '독립 된 자격으로 재화나 용역을 공급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럴 바에는 그냥 [[프리랜서]]를 하면 되지 않나라고 생각 할 수 있는데 마냥 그렇지도 않다. 물론 [[매니저]] 등의 인력도 거의 없어 따로 계산을 안 해도 되고, 회사를 설립 하는 것 역시 조건을 충족 해야 되기 때문에, [[프리랜서]]가 조금 더 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완전 [[프리랜서]] 개인 계약 보다 회사를 통한 계약으로 하면 세금을 조금이라도 더 절약 할 수 있다[* 이는 [[한국]]이든 [[일본]]이든 동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기다가 가족 등을 고용 하는 꼼수를 통해 월급을 쪼개서 지급 할 경우 더욱 더 절세가 가능 하다. 일단 가장 큰 문제는 [[세금]]이고, 2차적으로는 신용도적인 측면이나 사업 확장성 면에서도 조금 더 유리하다. 실제로 1인 기획사로 시작해서 소속 연예인이 늘어나는 등 규모가 커지는 경우가 간혹 있다. 정확히 말 하자면 소속 [[연예인]]이 1명인 [[연예 기획사]]를 뜻 하는 것이고, 전 직원이 소속 [[연예인]] 1명 뿐인 [[연예 기획사]]를 뜻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연예인]] 본인이 1인 기획사를 직접 설립 하여 운영 하는 사례도 있다.[* [[연예인]] 본인이 [[연예 기획사]] 대표도 겸하되 휘하 직원이나 소속 된 [[연예인]]이 없는 경우이다. 또 그 기획사가 개인 사업자 이라면 별도의 등록 절차가 필요 없다고 한다. [[https://ent.kocca.kr/UID/CRR/U005/infoRegistration.do|참고]]] [[중국]] [[연예인]]들은 대부분 1인 기획사로 활동 한다. == 목록 == === 한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1인 기획사)] * [[브리지엔터테인먼트]] - [[효린]] * 슈퍼제이컴퍼니 - [[노라조]] * 야무진 엔터테인먼트 - [[정준하]] * [[주식회사 츄]] - [[츄(가수)|츄]] * 모아 엔터테인먼트 - [[윤시윤]] * 라원문화[* 구 명칭은 나라짱닷컴.] - [[장나라]] * 휴먼메이드 - [[이승기]] * [[S&P엔터테인먼트]] - [[김소혜]] * [[TOPSPOT PICTURES]] - [[T.O.P]] * 영엔터테인먼트 - [[김범수(가수)|김범수]] * 주주 엔터 - [[주이]] * DREAL FUTURE - [[칸토]] * 마크툽컴퍼니 - [[MAKTUB]] * [[PRIVATE ONLY]] - [[ONE(래퍼)|ONE]] ==== 과거 사례 ==== * [[Dejavu Group]] - [[BewhY]]: 2017년 설립, 2019년 부터 외부 아티스트 영입 * [[Glitched Company]] - [[NO:EL]]: 2021년 설립되었으나, 노엘 본인이 '''[[무면허 운전]]+[[음주운전]]+경찰 폭행이라는 [[NO:EL 무면허 운전·경찰 폭행 사건|초대형 사고]]를 치면서''' 대표인 자신이 전속계약 해지를 당했다. 이후 2022년 중 해체했다. * [[JS 엔터테인먼트]] - [[유재석]]: [[DY 엔터테인먼트 사건]]으로 인해 디초콜릿이 해체되고 나서 출연료를 지급받기 위해 2011년에 설립했다. 2015년에 유재석이 [[FNC엔터테인먼트]]로 이적하면서 해체. * [[KOZ 엔터테인먼트]] - [[지코]]: 지코가 세븐시즌스와의 계약 종료 이후 2018년 11월 26일에 설립한 기획사로, [[다운(Dvwn)]]을 영입하면서 1인 기획사가 아니게 되었다. * [[P NATION]] - [[싸이]]: 회사는 2018년 10월 29일에 설립되었으나[* 설립 당시 사명은 피에스와이엔터테인먼트, 11월 8일 현 사명으로 변경] 싸이 본인이 회사 설립 사실을 밝힌 것은 2019년 1월 24일이다. 같은 날 [[제시(가수)|제시]]를 영입하면서 더 이상 1인 기획사가 아니게 되었다. * [[131LABEL]] - [[B.I]]: 법인 자체는 [[2018년]]에 설립되었으나 회사 운영은 [[2020년]]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iKON]] 탈퇴 이후 비아이의 솔로 활동을 지원하게 위한 단독 레이블 역활을 담당하였으며, 이후 [[2022년]] 회사 독립과 동시에 래퍼 [[REDDY]]를 영입하며 더이상 1인 기획사가 아니게 되었다. === 일본 === * [[http://www.beffect.co.jp/|비펙트(Beffect)]][* 2018년 4월 1일, 원 소속사였던 어스 스타가 성우사업을 철수하며 어스 스타의 사원이였던 당시 매니저로 추정되는 福田康史와 함께 세웠다. 그 뒤로 2019년에 성우 한 명이 추가되면서 2인 기획사가 되었다.] - [[나카시마 유키]] * [[http://arai-satomi.com/|아라이 성작소]] - [[아라이 사토미]] * ちひらぼっ! - [[이시구로 치히로]] * Breathe Arts - [[오가타 메구미]] * 冴羽商事 - [[카미야 아키라]] * おおきな - [[사쿠마 레이]] * AGRS - [[스기타 토모카즈]] * スプラッシュドリーム - [[타카하시 미키]] * ALLURE&Y - [[토우마 유미]] * ウッドパークオフィス - [[하야시바라 메구미]] * じゃがいも村 - [[무기히토]] * アドナインス - [[모리쿠보 쇼타로]] * T.S.P. - [[야마자키 타쿠미]] * 横山智佐事務所・バンビーナ -[[요코야마 치사]] * 株式会社明後日 - [[코이즈미 쿄코]] * イープロダクション - [[코이케 에이코]] * CYBER CONTENTS - [[노미즈 이오리]] * 오피스 리스타트 - [[코시미즈 아미]] * [[https://fennec-fox.com|fennec]] - [[이와타 하루키]] * JB's - [[김재중]] === 기타 국가 === == 관련 문서 == * [[연예 기획사]] [[분류:1인 기획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