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蚩}}}어리석을 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虫|{{{#000,#fff 虫}}}]],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シ}}}}}}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など-る, おろ-か,[br]みだ-れる, みにく-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蚩는 ''''어리석을 치''''라는 [[한자]]로, '어리석다'를 뜻한다. == 자형 == ||[[파일:43_F1A2.svg|width=100&height=100]]|| ||<-1> [[갑골문]] ||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虫]](벌레 훼)와 소리를 나타내는 [[㞢]](갈 지)가 합쳐진 [[형성자]]가 아니라 [[회의자]]다. > 뱀이 발뒤꿈치를 무는 모잉이다. 자형은 [[止]]와 [[它]] 또는 [[止]]와 [[虫]]의 합체자로 보고, 害(hai)(裘錫圭, 1992-223)·它(ta)로 읽는다. 재앙·우환·근심을 나타낸다. 本片에서는 뱀의 꿈틀거리는 모양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 >『갑골문 자전을 겸한 갑골문 해독 최신증보판』, 양동숙(梁東淑), (주)이화문화출판사, 2019, 187p. [[㞢]]도 발을 본뜬 한자고 [[虫]]는 벌레를 본뜬 글씨일 수도 있지만 뱀을 본뜬 걸 수도 있으니(아니라 해도 간략해진 걸테고) 뱀이 발을 무는 모습을 본뜬 [[갑골문]]의 [[해서]]가 딱히 없다고 판단해서 아예 한자를 새로 만들기도 하지만 본문서의 한자가 이 갑골문을 이어받은 해서로 알맞다. [[유니코드]]에는 U+86A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山一中戈(UMLI)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우치([[愚]]蚩) * 치준(蚩[[蠢]])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치우]](蚩[[尤]]) === 기타 === == 유의자 == * [[呆]](어리석을 매) * [[獃]](어리석을 애) * [[愚]](어리석을 우) * [[癡]](어리석을 치)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嵐]](아지랑이 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