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聰}}}귀밝을 총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耳|{{{#000,#fff 耳}}}]],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c88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ソ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さと-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ō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聰은 ''''귀밝을 총''''이라는 [[한자]]로, '귀가 밝다', '똑똑하다', '총명(聰明)하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귀밝다 || || {{{-1 '''음'''}}} ||총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cōng || || {{{-1 '''[[광동어]]'''}}} ||cung^^1^^ || || {{{-1 '''[[객가어]]'''}}} ||chhûng || || {{{-1 '''[[민북어]]'''}}} ||chó̤ng || || {{{-1 '''[[민동어]]'''}}} ||chŭng || || {{{-1 '''[[민남어]]'''}}} ||chhong[*文 [[문독]]] / chhang[*白 [[백독]]] || || {{{-1 '''[[오어]]'''}}} ||tsho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ソウ}}} || || {{{-1 '''훈독'''}}} ||{{{#c88 さと-い}}} || ||<-3> || ||<-2> '''[[베트남어]]''' ||thông || [[유니코드]]에는 U+807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尸十竹田心(SJHWP)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耳]](귀 이)와 소리를 나타내는 [[悤]](바쁠 총)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총명(聰[[明]]) * 총명성(聰[[明]][[性]]) === [[고사성어]]/[[숙어]] === * 사광지총([[師]][[曠]][[之]]聰) * 총명불여둔필(聰[[明]][[不]][[如]][[鈍]][[筆]]) * 총명예지(聰[[明]][[睿]][[智]]) === [[인명]] === * [[마츠시마 소우]]([[松]][[島]] 聡) * [[사토 사토미]]([[佐]][[藤]] 聡[[美]]) * [[설총]]([[薛]]聰) * [[슈도 사토시]]([[首]][[藤]] 聡) * [[아즈마 사토리]]([[東]] 聡[[莉]]) * [[에토 아키노리]]([[江]][[渡]] 聡[[徳]]) * [[진산총]]([[陳]][[山]]聰) * [[츠마부키 사토시]]([[妻]][[夫]][[木]] 聡)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豊]]聡[[耳]] [[神]][[子]]) * 혜총([[惠]]聰) * [[후지이 소타]]([[藤]][[井]] 聡[[太]]) === [[지명#s-2]] === * [[경상북도]] [[경산시]] [[경산시/행정#s-3.6|남산면]] [[설총로]]([[薛]]聰[[路]]) == 유의자 == * [[俐]](똑똑할 리) * [[伶]]/[[怜]](영리할 령) * [[賢]](어질 현) == 상대자 == * '''귀밝다''' * [[聾]](귀먹을 롱) * [[䏄]](귀 어두울 질) * '''총명하다''' * [[戇]](어리석을 당) * [[鈍]](둔할 둔) * [[昧]](어두울 매) * [[呆]](어리석을 매) * [[蒙]](어두울 몽) * [[愚]](어리석을 우) * [[痴]](어리석을 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總]]/[[摠]](다 총) * [[憁]](바쁠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