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𩔇}}}{{{-2 ⿰皇頁}}}[br]넓고큰모양 로/고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頁|{{{#000,#fff 頁}}}]], 9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8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gǎo}}}}}}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𩔇는 '''넓고큰모양 로/고'''라는 [[한자]]로, '넓고 큰 모양'을 뜻한다. == 상세 == [[皇]]과 [[頁]]이 결합했지만 [[형성자]]인지조차 알 수 없다. [[유니코드]]에는 U+29507에 배당되어 있다. 543년경 편찬된 《[[옥편]]》에 따르면 반절이 公老切('''ㄱ'''ㅗㅇ+ㄹ'''ㅗ''')로, 음은 '고'가 된다. >공(公)과 로(老)의 반절이다. (뜻은) 넓고 큰 모양이다. >公老切 廣大皃 >---- >[[https://ctext.org/library.pl?if=en&file=54556&page=86#%F0%A9%94%87|《흠정사고전서》본 《옥편》 권4 혈부(頁部) 제36]] 한편 《[[강희자전]]》 인용 《[[광운]]》에 따르면 반절이 盧皓切('''ㄹ'''ㅗ+ㅎ'''ㅗ''')로, 본음이 ‘로’이다. 더구나 《오음집운(五音集韻)》은 음이 '고'이며 뜻이 '넓고 큰 모양'인 글자로 𩕍를 소개하면서 [[파일:무제63_20230711075504.png|width=18]]('''皇'''+頁)가 𩕍('''皐'''+頁)의 와전일 가능성을 지적하였고, 《정자통(正字通)》은 아예 와자라고 못박았다. >『廣韻』 盧皓切 音'''老''' 廣大貌. 『正字通』 '''譌字'''. 按五音集韻 𩕍,,,古老切,,, 訓廣大貌 或 卽 𩕍字之'''譌'''. >---- >[[https://www.kangxizidian.com/kangxi/1407.gif|《강희자전》]] [[한국어]]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338d13683a2423eb24436c9309cc40a|어위다]]와 뜻이 비슷하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폐세자 이고]]([[廢]][[世]][[子]] 𩔇) === [[지명#s-2]] ===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瀚]](넓고큰모양 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𤾭]]^^[⿰皇書]^^(작은문 룡) * [[𪏓]]^^[⿰皇黃]^^(등덩굴 황) * [[𨜔]]^^[⿰皇⻏]^^(땅이름 황) * [[䳨]](봉황 황)[* [[凰]](봉황 황)의 [[동자#s-2]]] * [[皝]]/[[皩]](엄숙한모양 황) * [[𤾺]]^^[⿰皇單]^^(려) * [[𫿃]]^^[⿰皇攵]^^ * [[𬐍]]^^[⿰皇元]^^ * [[𭽚]]^^[⿰皇尤]^^ * [[𥠟]]^^[⿰皇禾]^^ * [[𪾂]]^^[⿰皇兄]^^ * [[𤾲]]^^[⿰皇皋]^^ * [[𬐑]]^^[⿰皇鳳]^^ * [[𮋋]]^^[⿰皇羽]^^ * [[𲍥]]^^[⿰皇⿱𠂉⿹⿷⿴丨𠃍𠃌三一灬]^^ == 여담 ==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