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유희왕 VRAINS 이그니스의 덱)] ||<-6> '''{{{#!html @이그니스터 }}}'''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 어라이벌 사이버스 이그니스터.png|width=100%]][br],,[[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7409b8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 || '''{{{#!html 한국어판 명칭}}}''' ||<-5>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 '''{{{#!html 일어판 명칭}}}''' ||<-5> '''[ruby(@, ruby=アット)]イグニスター''' || || '''{{{#!html 영어판 명칭}}}''' ||<-5> '''@Ignister''' || ||<-2> '''{{{#!html 속성}}}''' ||<-2> '''{{{#!html 종족}}}''' ||<-2> '''{{{#!html 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다양]] ||<-2> [[사이버스족]] ||<-2> 효과[br][[의식 소환|의식]][br][[융합 소환|융합]][br][[싱크로 소환|싱크로]][br][[엑시즈 소환|엑시즈]][br][[링크 소환|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용 덱은 이그니스들을 향한 마음이 담긴 @이그니스터. >카드명에 '[[이그니스(유희왕)|이그니스]]'를 새긴, 아이가 지닌 '''최강의 사이버스족.''' >----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546/read/2582173?|방송 당시 잡지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gnister.jpg|width=100%]]}}} || || 부스터 팩 [[이그니션 어썰트]] CM에서. 사용자 [[아이(유희왕)|아이]]와 공격력 2300의 @이그니스터들이 있다. || [[유희왕 VRAINS]]의 등장인물인 [[후지키 유사쿠]]의 파트너였던 [[아이(유희왕)|아이]]가 사용한 카드군으로, [[유희왕 ARC-V|전작]]의 카드군인 [[DD(유희왕/카드군)|DD]]와 비슷하게, [[링크 소환]]을 포함해 [[의식 소환]], [[융합 소환]],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으로 몬스터를 연속으로 전개하는 데에 특화된 다속성 사이버스족 카드군이며,[* 이그니스가 사용하는 덱들 중에서 유일하게 단일 속성을 사용하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이그니스의 카드군 중 마지막으로 공개되었다. OCG에서는 이그니스의 카드군 중 3번째로 발매되었고, 부스터 팩 [[이그니션 어썰트]]에서 정식으로 데뷔했다. 기본적인 컨셉은 이제는 사라져 버린 [[이그니스(유희왕)|이그니스]]들을 몬스터의 형태로나마 비슷하게 재현해 낸 카드들이다. 아이의 외로움과 그리움을 상징한다. @부분은 앳(일본어로는 アット)이라고 읽고, 메인 덱 몬스터들은 아이의 자유분방한 성격을 반영한 듯 [[EM(엔터메이트)|EM]]처럼 아기자기한 모습에 형용사가 명칭으로 간단하게 작명되었으며, 의식 몬스터와 엑스트라 덱 몬스터는 이그니스들의 작명처럼 해당 원소의 영문명이 들어갔다. 정식 발매 이전에는 "띠용", "반짝" 등 일본어 이름을 번역한 이름으로 불리곤 했으나, 수출판 이름은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옮겨 적은 이름이 되었다. 또한 [[마계극단|대부분의 몬스터에 @ 마크를 변형시킨]] [[EM(엔터메이트)|특유의 마크가 들어간다]]. 메일의 계정명을 구분하는 데 사용하는 [[@]] + [[이그니스(유희왕)|이그니스]] + 몬스터(monster)가 어원으로 보인다. @를 a로 읽으면 '''Ai'''gnister라 읽을 수도 있다. 의식+엑스트라 덱 @이그니스터 몬스터는 전부 공격력이 주인공의 에이스 카드인 코드 토커, 코드 토커 인버트를 제외한 [[코드 토커]] 카드군과 같은 2300으로 통일된 것이 특징. 이것들을 수비력으로 구분하면 자주 엮이는 두 이그니스끼리 같은 수비력 특성을 가지는데, 라이트닝-윈디 1500(그 외의 소환), 어스-아쿠아 2000(마법 카드로 소환), 플레임-아이 N/A(링크 소환)로 나뉜다. 서포트 마법/함정 카드는 이름에 Ai(아이)가 들어가는 말장난으로 되어있으며[* 예를 들어 마법 카드 Ai-콘택트는 Eye Contact의 말장난이고 함정 카드 Ai-쇼는 [[상성]]을 뜻하는 일본어, 相性(아이쇼)의 말장난이다.] 일러스트에도 이그니스 형태의 아이가 그려져 있다. "@"까지 카드명으로 포함하므로 이미 OCG로 등장한 [[폭룡검사 이그니스터P]]는 이 카드군에 포함되지 않을뿐더러, 설령 포함시킨다고 해도 이 카드군과의 시너지는 없으므로 의미 없다. == 성능 == OCG화된 카드들은 원작에 나온 것보다 초특급으로 상향되었는데, 원작 효과들에 비해 서치 범위가 넓어지거나, 대상 지정이 대상 비지정으로 바뀌거나, 서치 효과가 추가되거나 덤핑 효과 혹은 샐비지 효과가 추가된 편. 또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의 소재 제약도 크게 완화되어서 다른 덱에서도 범용 몬스터로서 채용할 수 있게 되었다. 비슷하게 여러 소환법을 사용하는 [[DD(유희왕/카드군)|DD]]에 비해 상당히 직관적인 전개 루트를 가진다. 핵심 카드는 이그니스터 Ai랜드와 다크나이트로, 링크 소환-이그니스터 Ai랜드 효과로 특수 소환을 반복하며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이후 다크나이트의 효과로 몬스터들을 대량으로 묘지에서 소생시키고 그 몬스터들과 다른 몬스터들로 각종 소환을 하게 된다.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에 필요한 링크 몬스터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 [[사이버스 위키드]], [[사이버스 위치]] 등 링크 앞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면 효과를 발동하는 링크 몬스터들과의 궁합이 좋다. 물론 6소재 디 어라이벌+모든 소환법을 다루는 로망 덱을 구축할 수는 있지만, 실전형 이그니스터 덱은 대체재가 애매한 라이트드래곤/묘지에서도 견제가 가능한 윈드페가수스를 빼면 전부 링크 몬스터로 엑스트라 덱을 채우고, 4~5소재 어라이벌과 단마리 1퍼미션, 윈드페가수스의 길동무 효과까지 원 핸드로 확정 빌드하는 형식으로 주로 사용된다. 다른 전개 수단이 풍부하기에 다크나이트까지 빠지기도 한다. 하지만 어라이벌을 돌파할 수 있는 수단이 적지 않게 늘어남에 따라 최근에는 다크나이트를 다시 채용해 5소재까지 노리는 구성도 보이고 있다. 다속성 사이버스족 테마라는 점을 살려서 [[코드 토커]]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테마 메인 하급 몬스터들이 전원 공격력 1200 이하라 코드 제너레이터의 덤핑 및 서치 범위에 포함되고, 메구리-Ai의 서치 조건에 고성능 토커인 [[액세스코드 토커]]=드용,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아치치, [[트랜스코드 토커]]=드싱으로 필요한 몬스터들이 상당수 대응하고, 속성별 사이버스 몬스터를 턴 제약 없이 바로 서치하는 [[사이바넷 코덱]], 이그니스터를 쉽게 서치하는 [[사이바넷 마이닝]]을 능히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선공 빌드를 세우기 위한 [[사이바넷 컨플릭트]], [[사이바넷#사이바넷 크로스와이프|크로스와이프]]도 함께 활용할 수 있다.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지원 이전까진 디 어라이벌 대신 [[후지키 유사쿠|파트너]]의 카드인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를 주축으로 운용하기도 했다. 카운터 쌓기가 상당히 쉬워서 한 번에 공격력이 10000 올리가는 것은 일도 아니다.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의 신규 지원으로 패 1장으로 카운터 4개에 갓치리의 내성을 받은 다크플루이드가 나오는 빌드가 개발되어, 전개가 막히지 않는다면 선턴에 나온 다크플루이드로 다음 턴을 안전하게 받고, 후속으로 [[액세스코드 토커]]를 링크 소환해서 방해되는 카드를 파괴하고 상대 LP를 한 번에 깎아 승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는 보통 디 어라이벌 쪽이 더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받아 이쪽은 마이너한 취향으로 인식된다. @이그니스터가 활약하기 좋은 시기는 패트랩이 적은 마법 위주의 후공돌파 분기로 평가받는다.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와 [[용사(유희왕)|용사]] 때문에 이 두 조건이 모두 만족된 2021년 10월 분기/마스터 듀얼 2022년 7월 분기가 대표적. 라이트닝 스톰이나 금지된 일적 등 후공돌파 플랜이 유행세를 타 패트랩의 비율이 적어지면 이그니스터에게 웃어주는 메타이다. 반대로 토큰 컬렉터 정도를 제외하면 어떤 패트랩이든 투입 비중이 높아지면 이그니스터에게 힘든 환경이 되며, 특히 니비루의 투입이 늘어나면 거의 굴릴 수 없는 지경이 된다. 대표적인 것이 드라이트론이 마지막 기승을 부려 패트랩+니비루 투입률이 하늘을 찔렀던 상검 출시 직전의 마스터 듀얼 랭크전 환경. 2022년 1분기 티어덱인 [[데스피아]]의 저격수 역할을 하기도 했다. 데스피아는 자체적으로 4천대 타점을 넘기는 경우가 드물며, 구성상 패 트랩을 많이 채워넣기 어렵기에 이그니스터의 전개 성공률이 올라간다. 추가로 데스피아를 저격하기 위해 사이드에 자주 넣는 [[차원 장벽]]의 영향도 적게 받는다.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에서 [[참기(유희왕)#참기 서큘러|참기 서큘러]]라는 괜찮은 용병도 얻었다. 그러나 바로 그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발매와 동시에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가 메타를 지배했고 이후 [[티아라멘츠]] 등의 테마를 기점으로 인플레가 진행되며, 이그니스터 또한 파워에 눌려 숨을 못쉬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다만 많은 덱들이 사이드전 양상을 [[아르테미트 슬레이]], [[길항승부]], [[번개(유희왕)|번개]] 등의 돌파카드로 바꾸어가기 시작하면서 숨 쉴 틈새는 그나마 생기게 되었다. 치명적일 수 있는 [[파괴수]]나 [[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 등의 상대 필드 릴리스 카드들이 곧 잘 빠지게 되었고, 릴리스형 돌파카드도 라바 골렘이나 구체형이 주가 되면서 어라이벌 하나만 달랑 살아 있는 상황에서는 이들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워 인플레는 [[크샤트리라]], [[비스테드]]로 계속 이어졌고, 이그니스터는 물론 사이버스 덱 전반에 침체기가 찾아오게 되었다. [[사이버스톰 액세스]]에서는 [[퓨어리]]가 높은 안정성으로 발동 내성을 지닌 엑스퓨어리 누아르를 세우는 빌드가 정착되면서 어라이벌 축이 경쟁력을 잃었다. 그러자 [[파이어월(유희왕)|파이어월]] 링크 몬스터들, 특히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를 새로운 에이스로 삼아 견제력을 크게 늘린 빌드가 자리잡았다. 2023년 7월 금제로 참기 서큘러가 제한이 되었다. 이에 이전처럼 패 트랩을 가득 넣으면서도 참기 파츠는 자체적으로 특소가 가능한 4종을 1장씩만 채용해 공격권을 늘리는 식으로 구축이 바뀌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Ai의 의지'에서 관련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단판전이라는 특성상 중후반 지향 운영형 덱보다 초반 고점이 높은 전개형/함정형 덱이 유행하는 메타라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를 통한 날먹이 잘 먹히는 이그니스터 역시 괜찮은 평가를 받는다. 전개덱 중 압도적으로 쉬운 전개 난이도와 운영 난이도는 덤. 단점은 [[드라이트론]]이 하도 깽판치다 보니 드트 견제를 위한 파괴수가 유행하기 때문에 어라이벌을 손쉽게 터뜨려버릴 가능성이 높고, 히트소울이 출시되지 않아[* 그래서 메구리-Ai-로 아치치를 가져오기 위해 파이어피닉스를 투입한다. 드싱은 트랜스코드 토커가 있어서 커버가 되는 편.] 패트랩을 맞고 어라이벌을 꺼낼수 없을 때 착지점으로 쓰던 히트소울+패트랩 전략이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어 B-급 정도로 평가받고 있었다. 이후 벤텐 제한으로 드라이트론이 티어 아웃되고 용사-피닉스 환경이 열리면서 많은 덱들이 파괴수를 빼게 되자 소소한 반사 이익을 챙기게 되었다가, 히트 소울 출시 이후 평가가 조금씩 오르면서 어라이벌을 세웠을 시의 데스피아, 후완다리즈가 어라이벌을 치우지 못한다는 점이 주목받으며 대회에서도 종종 보이게 되었다. 덱 스페이스가 넓다는 점과 어라이벌이 상당히 잘 안뚫리는 점, 킬각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토대로 현재로써는 애니메이션 테마 출신이면서 티어권과의 싸움도 되는 꽤나 강한 덱이라 평가 받는 중. 특이사항으로 소환 연출이 덱의 에이스인 어라이벌이 아니라 전개용 카드인 다크나이트에 있다. 아무래도 애니에서 유사쿠의 에이스 [[디코드 토커]]와 대비되는 아이의 에이스로 활약했다는 점 때문에 연출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 덕에 에이스몬스터 급에 소환 연출이 없다고 까이면서, 픽이 되지 않는 이유중 하나로 손꼽힌다. 2022년 10월 11일에는 히트소울과 사이바넷 마이닝이 모두 수록된 스트럭처 덱 '버닝 스피릿'이 발매되어 저점과 접근성 양면에서 상향을 받았다. 다만, 발매와 동시에 열린 [[유희왕 마스터 듀얼/이벤트 듀얼|이벤트 듀얼]]인 링크 레귤레이션에서는 룰상 라이트드래곤과 윈드페가수스를 사용할 수 없는 데에 더해 피카리까지 제한을 당해 후속을 제대로 볼 수 없었다. 2023년 1월 10일자로 참기 서큘러가 마듀에 실장되면서 오프처럼 원 핸드로 6000 어라이벌을 뽑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으로 어라이벌을 무시하고 사로스 등을 채용해 후공돌파를 노리는 극전개덱들이 많아지자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를 메인으로 채용해 견제력을 보충하는 구축을 하는 사례도 생겼다. === 장점 === * 고타점 완전 내성 에이스의 용이한 소환 @이그니스터는 높은 타점과 완전 내성을 가진 에이스인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이하 어라이벌)를 원 핸드로 뽑는데다가 그 과정에서 추가 퍼미션까지 거의 확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아무리 액세스코드 토커나 [[바렐스워드 드래곤]] 등 고타점 용병이 일반화된 환경이라고는 하지만, 공격력 4000 이상의 완전 내성 몬스터는 절대적으로 보면 여전히 강력하며, 덱에 따라서는 이것 하나만으로도 완봉이 가능하다. [[금지된 일적]], [[명왕결계파]], [[아르테미트 슬레이]] 등, 체인 불가 기능이 있는 후공 돌파 마법도 완전 내성인 어라이벌에게는 쓸모가 없다. 묘지로 간 단마리의 퍼미션 역시 필드 한정에 한 번뿐이긴 하지만 상술한 고타점 용병을 사전 차단해줄 수 있고, [[링그리보]]를 통한 함정 방어도 가능하다. * 널널한 덱 공간 어라이벌은 아치치, 피카리, [[사이바넷 마이닝]] 1장만 있어도 최소 공격력 5000으로 나오며, 유사시 사용하는 [[Ai(유희왕)#메구리-Ai-|메구리-Ai-]](이 경우 공 4000)까지 합하면 총합 12장으로 원 핸드 전개가 가능하다. 이는 40장 기준 초동률 약 85%에 해당하는 상당히 높은 수치다. 이런 높은 초동률 덕분에 이그니스터는 덱에 빈 자리가 많아, 전개형 덱으로 분류되면서도 [[패 트랩]], 패 트랩 케어용 견제 카드, 메타 카운터 카드, 기타 용병 등 메타와 플레이어의 성향에 맞는 테마 외 카드를 부담 없이 섞을 수 있다. 후공이 잡혀도 다수의 패 트랩과 [[업데이트재머]]+[[액세스코드 토커]] 콤보의 한 방까지 갖추고 있어 크게 불리하지 않은 편이다. * 사이버스족 테마 사이버스족 테마라는 것도 부드러운 덱 구축에 큰 도움이 된다. 기본적으로 [[사이바넷]]의 지원을 받음과 동시에 갓치리@이그니스터, [[업데이트재머]], [[액세스코드 토커]]로 이어지는 강력한 라인의 사이버스족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코드 토커]], [[참기(유희왕)|참기]], [[파이어월(유희왕)|파이어월]], [[링크(유희왕)|링크]] 시리즈 등 온갖 사이버스족과 혼합한 구축이 가능하다. 빌드가 경직되어 있고 범용 패 트랩 및 돌파, 케어 카드로 여러 상황을 풀어나가야 하는 이그니스터 입장에서 큰 도움이다. * 강한 후속 능력 드용@이그니스터나 Ai들링 본 등 샐비지 수단이 풍부하기 때문에 한 번 기믹을 돌려도 다음 턴에 여유롭게 후속 플레이를 할 만한 여력이 남는 것도 큰 장점이다. 기본적으로 업데이트재머를 위시한 턴킬에 도가 튼 사이버스족이기 때문에 이그니스터를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한 번에 달려서 죽이거나 돌파 후 견제력을 크게 쌓아야 하며, 그것마저도 윈드페가수스의 묘지 효과, 넓은 덱 스페이스에서 오는 최소한의 패 트랩 수, 파이어월 시리즈의 견제 등을 뚫으려면 턴킬을 내는 것과 억제력을 쌓는 것 양쪽 모두 크게 어려워진다. 윈드페가수스와 라이트드래곤 등의 비대상 파괴 수단도 갖춘 이그니스터 입장에서는 개싸움 역시 상당히 반기는 편. * 싼 가격 가장 비싼 카드가 5,000원도 안 하는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이다. 액세스코드 토커도 [[히스토리 아카이브 컬렉션]]에서 재록되어 싼 값에 덱을 짤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반복된 빌드와 운에 좌우하는 승률 정도만 제외하면 초보자 추천 덱으로써 손색이 없는 편. === 단점 === * 결국은 뚫리는 선공 빌드 힘들게 소환한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 역시 상대가 강한 덱 파워 및 많은 공격권을 가진다면 쉽게 뚫리는 것도 큰 단점이다. 기본적으로 타점 6천을 뽑지 않으면 대부분의 상황에서 [[액세스코드 토커]]에게 타점으로 밀리고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이나 [[바렐스워드 드래곤]]은 6000 어라이벌도 돌파한다.[* 액세스코드 토커 역시 링크 4 이상을 소재로 할 수 있다면 6000 어라이벌을 이긴다.] 전개형 덱의 경우에는 어라이벌을 잡아먹고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가 나오기도 한다. 또, 어라이벌을 세우고 끝냈을 경우 패 트랩 같은 것이 없다면 자체 기믹으로 장전할 수 있는 후공턴 견제가 단마리와 조건부 윈드페가수스 단 둘이라는 것도 큰 단점. * 파괴수에 취약 최종 결과물이 완전내성인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도 결국 파괴수의 제물 소환에 무력해진다. 여타 다른 전개덱이 다 그렇지만 이그니스터는 이 정도가 심하다. 묘지로 보내져도 다른 카드들처럼 소생하기에는 디 어라이벌 사이버서의 공격력은 링크 소재 수X1000으로 정해진다. 결국 소생 효과를 사용해도 공격력 0인 전투비내성 몬스터만 나오게 된다. 그래도 카드 한 장을 파괴하면서 토큰까지 뽑을 수 있고, 액세스 코드 토커의 소재로 사용하면 공격력이 8300까지 오르게 된다. 하지만 액세스 코드 토커 자체는 갓치리가 없으면 효과 내성이 전무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 전개가 극도로 불안정함 이그니스터 덱의 치명적인 단점. 서치를 막는 우라라부터 시작해, 니비루, 뵐러, 포영, 드롤 등 다양한 패 트랩을 단 한 장이라도 허용하면 전개가 툭 끊긴다. 특히 순수 이그니스터는 Ai랜드 서치가 막히면 첫패에 투 핸드 이상이 잡혀도 전개가 막히는 참사가 일어난다. 그나마 [[코드 토커]]와 병행하는 덱은 이러한 문제를 돌파할 수단이 있지만, 순수 이그니스터 덱의 경우 다른 방법도 없어 패를 내려놓고 서렌을 치거나 맞아 죽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코드 토커 계열 용병 혹은 참기 계열 용병을 섞어 플랜 B를 짜는 덱이 적지 않다. 또한 메구리 사용 시 사이버스족 이외의 몬스터 효과 사용이 제한되어 상대가 증지를 던졌는데 우라라를 못 쓰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 이럴 경우 지명자류를 써야하는데, 결국 운이라서 이것도 여의치 않다. * 손패 운에 극도로 좌우되는 승률 이그니스터는 우라라-뵐러-포영으로 대표되는 패 트랩을 패의 다른 전개파츠로 케어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서 상대의 패 트랩의 수 +1에 정확히 해당하는 전개패를 가지고 있어야 그 우월한 고점을 내뿜을 수 있다. 물론 후공 돌파 플랜으로 마법 카드를 가져오는 사이드 전 이후라면 낫지만, 패 트랩을 잔뜩 들고오는 메인전에서 이그니스터의 승률은 결코 높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메인전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이드 카드를 정확히 뽑아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소위 운빨의 영역이 크게 간섭한다는 것. 이러한 약점이 이그니스터가 반시이익으로 쉐어를 먹은 적은 많아도 티어권 주류덱이 된 적은 없는 이유이다. * 좁은 엑스트라 덱 스페이스 사이버스 공통의 문제. 사이버스 공용과 이그니스터 전용 엑스트라 덱 카드들을 모두 넣기에는 15장은 매우 좁다. 링그리보로 함정 케어하는 건 사치가 되버린지 오래. 그나마 네오템피스트까지나온 마듀는 업데이트재머+초계승 파츠도 넣을 수 있지만 2023년 들어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 빌드가 자리잡은 OCG는 초계승 파츠는 아예 빠지고 업데이트재머도 사이드로 빠지며 대신 비대상 파괴가 가능한 라이트드래곤이 들어오고 있다. == 전개 == === 원 핸드 어라이벌 루트 === ||아치치 원 핸드 1. 아치치@이그니스터 일반 소환, 피카리@이그니스터 서치 2. 아치치@이그니스터 소재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 링크 소환, 이그니스터 Ai랜드 서치 3. 이그니스터 Ai랜드로 피카리@이그니스터 특수 소환, 메구리 -Ai- 서치 4. 메구리 -Ai-로 드용@이그니스터 서치|| ||피카리 원 핸드 1. 피카리@이그니스터 일반 소환, 메구리 -Ai- 서치 2. 메구리 -Ai-로 아치치@이그니스터 서치 3. 피카리@이그니스터 소재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 링크 소환, 이그니스터 Ai랜드 서치 4. 이그니스터 Ai랜드로 아치치@이그니스터 소환, 드용@이그니스터 서치|| ||5. 두 이그니스터 소재로 [[사이버스 위키드]] 링크 소환 6.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사이버스 위키드의 링크 앞에 드용@이그니스터 소환 7. 드용@이그니스터의 효과로 일반 소환한 @이그니스터를 회수, 사이버스 위키드의 효과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를 제외하고 부르르@이그니스터 서치 8. 사이버스 위키드와 드용으로 트랜스코드 토커를 소환 9.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부르르@이그니스터 소환, 단마리@이그니스터 덤핑 10. 트랜스코드 토커로 사이버스 위키드를 소생 11. 트랜스코드 토커와 부르르@이그니스터, 위키드로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를 오른쪽 엑스트라 존에 링크 소환 12. 일반 소환한 @이그니스터를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 13. 일반 소환한 @이그니스터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를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좌하단 링크 마커에 링크 소환 14.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효과 발동, 체인하여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의 효과 발동 15.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의 효과로 몬스터 좌측으로 이동, 속성을 신(神) 속성으로 지정 16.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효과로 묘지의 부르르, 피카리, 드용 소환 17. 부르르와 피카리로 윈드페가수스 소환 18. 부르르 효과로 피카리 소생 20. 드용과 피카리를 소재로 [[참기(유희왕)#괴참기 달랑베르시안|괴참기 달랑베르시안]]을 엑시즈 소환 21. 괴참기 달랑베르시안의 소환시 유발효과로 덱에서 참기 서큘러를 서치 22. 참기 서큘러로 덱에서 참기 아디온을 묘지로 보내고 자신을 특수소환 23. 달랑베르시안의 기동효과로 자신을 릴리스하고 참기 아디온을 필드에 특수소환 24. 참기 서큘러의 유발효과로 참기 방정식을 서치 25. 참기 방정식의 효과로 묘지의 괴참기 달랑베르시안을 소생 26. 필드의 모든 카드를 소재로 어라이벌을 링크소환|| 결과물 : 공격력 6천의 어라이벌, 묘지의 단마리, 묘지의 윈드페가수스 === 원 핸드 어라이벌 루트(참기 서큘러 이전) === ||아치치 원 핸드 1. 아치치@이그니스터 일반 소환, 피카리@이그니스터 서치 2. 아치치@이그니스터 소재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 링크 소환, 이그니스터 Ai랜드 서치 3. 이그니스터 Ai랜드로 피카리@이그니스터 특수 소환, 메구리 -Ai- 서치 4. 메구리 -Ai-로 드용@이그니스터 서치|| ||피카리 원 핸드 1. 피카리@이그니스터 일반 소환, 메구리 -Ai- 서치 2. 메구리 -Ai-로 아치치@이그니스터 서치 3. 피카리@이그니스터 소재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 링크 소환, 이그니스터 Ai랜드 서치 4. 이그니스터 Ai랜드로 아치치@이그니스터 소환, 드용@이그니스터 서치|| ||5. 두 이그니스터 소재로 [[사이버스 위키드]] 링크 소환 6.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사이버스 위키드의 링크 앞에 드용@이그니스터 소환 7. 드용@이그니스터의 효과로 일반 소환한 @이그니스터를 회수, 사이버스 위키드의 효과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를 제외하고 부르르@이그니스터 서치 8. 사이버스 위키드와 드용으로 트랜스코드 토커를 소환 9.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부르르@이그니스터 소환, 단마리@이그니스터 덤핑 10. 트랜스코드 토커로 사이버스 위키드를 소생 11. 트랜스코드 토커와 부르르@이그니스터, 위키드로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를 오른쪽 엑스트라 존에 링크 소환 12. 일반 소환한 @이그니스터를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 13. 일반 소환한 @이그니스터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를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좌하단 링크 마커에 링크 소환 14.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효과 발동, 체인하여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의 효과 발동 15.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의 효과로 몬스터 좌측으로 이동, 속성을 신(神) 속성으로 지정 16.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효과로 묘지의 아치치, 부르르, 피카리 소환 17. 부르르@이그니스터와 피카리@이그니스터로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 싱크로 소환 18. 부르르@이그니스터의 효과로 피카리@이그니스터 소환 19. 아무 몬스터나 2체 사용하여 스플래시 메이지 소환. 20. 스플래시 메이지 효과로 필드의 남는 몬스터와 속성이 겹치지 않는 몬스터 소환 21. 필드의 모든 몬스터로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 링크 소환|| 결과물 : 공격력 5천의 어라이벌, 묘지의 단마리, 묘지의 윈드페가수스 참기 서큘러 발매 이전, 순수 이그니스터의 루트. 패에 드싱, 히야리, Ai들링 본 등 몬스터를 더 내놓을 수단이 있으면 공격력 6000의 어라이벌을 뽑을 수 있다. === 투 핸드 어라이벌 + 마법/함정 서치 루트 === ||아치치 + 피카리 투핸드 루트[* 아치치 or 피카리 + 히야리 가능] 1. 아치치 or 피카리를 일반 소환. 원핸드 루트대로 진행하되 메구리-Ai-로는 드용을 서치, 아치치로는 히야리를 서치한다. 2. 사이버스 위키드의 링크 앞에 Ai랜드 효과로 드용을 소환, 일반 소환한 파츠를 회수하고 부르르 서치 3. 사이버스 위키드와 드용으로 메이지 대신 트랜스코드 토커를 소환 4.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부르르@이그니스터 소환, 단마리덤핑 5. 트랜스코드 토커로 사이버스 위키드를 소생 6. 트랜스코드 토커와 부르르@이그니스터, 위키드로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를 링크 소환 7. 일반 소환한 @이그니스터를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 8. 일반 소환한 @이그니스터로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를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좌하단 링크 마커에 링크 소환 9.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효과 발동, 체인하여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의 효과 발동 10.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의 효과로 몬스터 좌측으로 이동, 속성을 신(神) 속성으로 지정 11.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효과로 묘지의 부르르, 피카리, 드용 소환 12. 부르르@이그니스터와 피카리@이그니스터로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 싱크로 소환 13. 부르르@이그니스터의 효과로 피카리@이그니스터 소환 14. 피카리의 기동효과 발동, 페가수스를 레벨 4로 변경 15. 히야리의 효과로 자기 자신을 특수 소환, 다크인펀트를 릴리스하고 기동 효과를 발동해 갓치리를 서치한 후 레벨을 4로 변경 16. 피카리(4)+페가수스(4)+히야리(4)+드용(4)=괴참기 달랑베르시안 엑시즈 소환 17. 달랑베르시안의 효과 발동, 소재 4개를 전부 제거해 덱에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18. 패에서 갓치리의 효과를 발동하여 필드의 괴참기 효과를 무효로 하고 자신을 특수 소환. 19. 갓치리+괴참기=스플래시 메이지, 메이지 효과로 드용과 히야리 이외의 속성의 이그니스터 소생 20. 메이지(물)+다크나이트(어둠)+소환한 다른 속성의 이그니스터로 디 어라이벌 소환|| ||아치치 or 피카리 + 단마리 or 갓치리 투핸드[* 단마리 or 갓치리 대신 드용 가능] 1. 원핸드 루트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부르르의 효과로 '''히야리'''를 덤핑, 이후 다크나이트까지 전개 2. 다크나이트의 효과로 묘지의 부르르, 피카리, 드용 소환 3. 부르르와 피카리로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 싱크로 소환 4. 부르르의 효과로 다크인펀트의 왼쪽을 제외한 위치에 피카리 소환 5. 다크나이트+윈드페가수스로 다크인펀트 왼쪽에 파이어월 드래곤 소환 6. 파이어월 드래곤 효과로 묘지의 히야리 회수 7. 히야리의 효과로 특수 소환, 기동효과를 발동해 다크인펀트를 릴리스하고 단마리 or 갓치리 중 패에 없는 카드 서치 8. 파이어월 드래곤 효과로 패의 단마리를 특소하고 피카리 효과로 4로 변경 9. 4장 소재로 괴참기 달랑베르시안, 달랑베르시안 효과로 마함 1장 서치 10. 갓치리 효과로 괴참기 지정하고 특수 소환 11. 괴참기+갓치리=스플래시 메이지, 메이지 효과로 갓치리 소생 12. 세 장 소재로 디 어라이벌 소환|| 결과물 : 공격력 3천의 어라이벌, 묘지의 단마리&윈드페가수스, 원하는 마법/함정 1장. 엑덱이 살짝 좁아지지만 어라이벌의 하드 카운터인 파괴수를 역으로 카운터치는 '''[[배너티 스페이스]]'''를 서치할 수 있는 빌드. 묘지에 보내진 단마리로 해피의 깃털 등의 마함 견제로부터 배너티를 지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후 돌아오는 자신의 턴까지 배너티가 남아있다면 전개 과정에서 회수해오는 메구리Ai로 간단하게 치울 수 있다. 파이어월 드래곤을 넣으면 단마리 or 갓치리가 패에 잡히는 것도 커버가 가능해져 이 빌드가 개발된 이후로 @이그니스터 덱의 고점이 더욱 높아졌다. 하지만 22년 7월 배너티 스페이스가 금지당함에 따라 이 빌드는 초반에 고점을 잡기 위해 쓸 수 없고, 매치전에서 상대의 덱을 파악한 뒤 사이딩을 통해 상대 덱에 맞는 메타카드를 들고 오는 식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상대의 덱을 알 수 없는 단판전인 마스터 듀얼에서도 22년 8월 31일 배너티가 금지되며 사용 불가능한 빌드.[* 굳이 사용하려면 [[군웅할거(유희왕)]]으로 대체하여 파괴수 소환을 막을 수는 있다.] == 효과 몬스터 (튜너) == === 레벨 3 === ==== 부르르@이그니스터 ==== [[파일:ブルル@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튜너=, 한글판명칭=부르르()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ブルル(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Bururu @Ignister,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6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사이버스족 싱크로 몬스터의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부르르@(앳)이그니스터" 이외의 자신 묘지의\, 그 싱크로 소환의 소재로 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 윈디를 상징하는 바람 속성 @이그니스터로 유일한 튜너다. 사이버스족 튜너이기에 사이버스 위키드로 서치가 가능하며 일반 / 특수 소환에 성공할 시 덱에서 @이그니스터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주로 단마리를 보내 디 어라이벌의 보험을 마련하거나, Ai들링 본 등으로 소생시킬 몬스터를 보낸다. 스플래시 메이지 앞에 부르르를 소환하고 드용을 묻은 후 싱크로로 윈드페가수스를 소환하며 2번 효과로 드용을 살려 샐비지를 한 후 다크나이트를 소환하여 샐비지한 몬스터를 Ai랜드로 다시 불러 다크나이트의 효과의 트리거로 삼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아치치를 묘지로 보내 파이어피닉스와 연계하는 플레이도 해볼 수 있다. 2번 효과는 사이버스족의 싱크로 소환에 사용되면 자신 이외의 싱크로 소재로 쓰인 몬스터 1장을 부활시키는 효과. 싱크로 소환 후 연속으로 링크, 엑시즈 소환 등 다른 특수 소환을 지원한다. 윈드페가수스를 불렀을 때, 소재로 쓴 이그니스터를 불러서 파괴할 카드의 매수를 늘리는 전법 또한 가능. 원작에선 1번 효과가 없었으며 2번 효과로 드용을 소생시켜 라이트드래곤을 엑시즈 소환하는 발판을 마련시켜 줬다. 부루루(ブルル)는 몸이 떨리는 모습을 의미하는 부루부루(ブルブル)의 변형으로 보인다. 한국어로 "부르르"라고 해도 말이 되기 때문에 유일하게 그대로도 이름을 이해할 수 있는 메인 덱 @이그니스터가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JP002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 || IGAS-KR002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효과 몬스터 (非 튜너) == === 레벨 1 === ==== 히야리@이그니스터 ==== [[파일:ヒヤリ@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히야리()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ヒヤリ(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Hiyari @Ignister, 속성=물,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4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앳)이그니스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5 이상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을 패에 넣고\, 이 카드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4 로 한다.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링크 몬스터를 릴리스했을 경우\, 추가로 덱에서 "Ai(아이)의 의식"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 아쿠아를 상징하는 물 속성의 @이그니스터. 1번 효과는 자신 필드에 @이그니스터 몬스터가 존재하면 자체적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되는 효과. 이그니스터 Ai랜드 등과 연계하여 빠르게 링크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2번 효과는 자신 이외의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덱에서 레벨 5 이상의 @이그니스터를 서치하여 자신의 레벨을 4로 만드는 효과. 링크 몬스터를 릴리스했을 경우 추가로 의식 마법 Ai의 의식을 서치할 수도 있다. 현재 메인 덱 레벨 5 이상의 @이그니스터 몬스터는 [[워터 리바이어던@이그니스터]] 외에도 갓치리와 굿사리, 단마리가 존재한다. 굳이 링크 몬스터를 릴리스하지 않아도 Ai 마법 / 함정을 서치하는 피카리와 연계한다면 피카리의 효과로 Ai의 의식을 서치 - 자체 효과로 이 카드를 특수 소환 - 이 카드의 효과로 피카리를 릴리스하고 워터 리바이어던을 서치해 레벨을 올림 - 레벨 4가 된 이 카드를 릴리스, 묘지의 피카리를 제외해 워터 리바이어던을 의식 소환할 수 있다. 굳이 의식 소환이 아니더라도, 레벨 4 몬스터가 있다면 [[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파이어월 X 드래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등의 랭크 4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며, 튜너가 있다면 싱크로 소환으로 이을 수도 있다. 원작에선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자신의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었으며 서치하는 건 의식 몬스터만, 레벨 상승은 링크 몬스터를 릴리스했을 경우 그 마커 수만큼 올라가는 효과였다. OCG화되면서 레벨 상승이 4로 고정되어 의식 소환은 물론이고 싱크로, 엑시즈 소환에도 편해진 셈. 2022년에 새로 개발된 2핸드 마함 서치 빌드에서 피카리와 함께 레벨 조정으로 괴참기 달랑베르시안을 불러내는 트리거가 된다. 다만, 이 카드 자체를 메구리-Ai-로 서치하기 어렵다는 점[* 워터 리바이어던은 메인 덱 몬스터라 말림패가 되기 쉽고, 물 속성이고 공격력 2300인 엑덱 사이버스족 몬스터는 [[슈팅코드 토커]]나 [[마린세스#마린세스 아쿠아 아르고노트|마린세스 아쿠아 아르고노트]] 정도인데 두 장 모두 무리하게 채용할만한 카드가 아니다.]이 단점이다. 히야리(ヒヤリ)는 갑자기 차가움이나 공포에 의한 서늘함을 느끼는 모습을 표현하는 의태어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JP005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 || IGAS-JP005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드싱@이그니스터 ==== [[파일:ドシン@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싱()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ドシン(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Doshin @Ignister, 속성=땅,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8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앳)이그니스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묘지의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Ai(아이)러브 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 어스를 상징하는 땅 속성 @이그니스터. 1번 효과는 히야리와 마찬가지로 자신 필드에 @이그니스터 몬스터가 있으면 자체적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되는 효과. 마찬가지로 링크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히야리의 2번 효과가 의식 소환을 지원한다면 이쪽의 2번 효과는 융합 소환을 지원하는 효과. 자신 묘지의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는 것으로 덱에서 전용 융합인 Ai러브 융합을 서치할 수 있다. 코스트로 링크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는 건 역으로 그 링크 몬스터를 재활용할 수 있기에 오히려 이득이다. 히야리의 효과로 링크 몬스터를 릴리스한 후 이 카드의 효과로 회수+서치를 진행해 패 3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서치해 온 의식 몬스터를 의식 소환하거나 필드에 링크 몬스터가 있다면 [[어스 골렘@이그니스터]] 등을 융합 소환할 수도 있다. 아쿠아를 사랑했던 어스를 상징하는 카드라 그런지 아쿠아를 상징하는 히야리와 궁합이 잘 맞는 카드. 원작에선 자신 메인 몬스터 존에 @이그니스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특수 소환 가능했다. 드싱, 조금 더 발음에 가깝게 표현하면 도신(ドシン)은 무거운 물건을 내려놓을 때 발생하는 소리를 표현하는 의성어이다. 한국어로 표현하면 콰쾅! 정도.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JP006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 || IGAS-JP006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덩요리보@이그니스터 ==== [[파일:ドンヨリボー@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덩요리보()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ドンヨリボー(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Donyoribo @Ignister,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가 공격받은 데미지 계산시에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를 0 으로 한다., 효과2=②: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또는 "Ai(아이)" 마법 / 함정 카드의\,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가 발동했을 때\,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그 효과로 상대에게 주는 데미지는 배가 된다. )] 1번 효과는 @이그니스터판 [[크리보]]로 기습적으로 전투 데미지를 막을 수 있으며 곧바로 묘지로 보내진 이 카드의 2번 효과로 역공을 가할 수도 있다. 2번 효과는 @이그니스터 몬스터나 Ai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 데미지를 배로 하는 효과. 파이어피닉스의 효과와 조합 시 단번에 상대에게 4600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원작에서의 파이어피닉스+Ai우치 콤보를 생각해서인지 Ai 마법 / 함정도 지정해 두었지만 정작 재정상 Ai우치는 몬스터가 파괴된 플레이어가 데미지를 받는 효과이기에 이 카드와 조합할 수 없다. 즉 파이어피닉스 전용 효과다. 각 @이그니스터가 이그니스들을 상징하므로 메인 덱 몬스터는 6종일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 카드의 등장으로 이그니스와 무관한 메인 덱 이그니스터 몬스터의 등장이 암시되었다. 원작에선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번만 발동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었으나, OCG화 되면서 각각 1번씩 쓸 수 있는 것으로 완화되었다. 단 ②의 효과에는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가 발동했을 때도 제외해 그 효과 데미지를 0으로 만드는 선택지가 있었다. 동요리(ドンヨリ)는 흐리멍덩한 모습을 표현하는 의태어로, 크리보형 몬스터이기 때문에 -리보를 합친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JP007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 || IGAS-JP007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2 === ==== 아치치@이그니스터 ==== [[파일:アチチ@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아치치()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アチチ(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Achichi @Ignister, 속성=화염,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8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아치치@(앳)이그니스터"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의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를 파괴한다., )] 플레임을 상징하는 화염 속성 @이그니스터. 원작에선 2번 효과만 있었기에 사용하기가 제한되었으나 OCG화되면서 1번 효과가 추가되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번 효과로 일반 / 특수 소환에 성공할 시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이그니스터를 서치해 오기에 피카리를 서치해 오거나 자체 특수 소환 가능한 드싱, 히야리을 서치해 와 곧바로 의식 / 융합 / 링크 소환을 준비할 수 있다. 2번 효과는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개시시 묘지의 자신을 제외하고 그 자신의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 대놓고 파이어피닉스와의 연계를 노린 효과로 원작에서 주로 그렇게 사용되었다. 또한, 데미지 스텝 개시 시에 파괴하기 때문에 데미지 계산 시 발생할 전투 데미지를 회피할 수도 있다. 아치치(アチチ)는 "앗뜨뜨!" 정도의 의미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JP004 || [[레어#s-1.1.1]]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 || IGAS-KR004 || [[레어#s-1.1.1]]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4 === ==== 피카리@이그니스터 ==== [[파일:ピカリ@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피카리()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ピカリ(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Pikari @Ignister, 속성=빛,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6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Ai(아이)"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4 로 한다., )] 라이트닝을 상징하는 빛 속성 @이그니스터. ①의 효과는 일반 / 특수 소환에 성공하면 덱에서 "Ai" 마법 / 함정 카드를 서치하는 효과로, 원작에서는 이그니스터 Ai랜드만 서치할 수 있던 게 상향되었다. 다크인펀트가 추가되면서 Ai랜드보다는 주로 메구리 -Ai-나 Ai들링 본을 가져오게 된다. ②의 효과는 OCG화되면서 새로 추가된 효과로, 자신 필드의 @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의 레벨을 4로 한다. 이 덕분에 랭크 4 엑시즈 소환이 더욱 편해졌으며, 특히 부르르와 이 카드가 있다면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의식 소환도 이 카드로 보조해 줄 수 있다. 이 카드의 모티브인 라이트닝도 듀얼 때 필드 마법을 회수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를 사용하기도 했다([[아르마투스 레기오|아르마투스 레기오 그라디우스]]). 피카리(ピカリ)는 번쩍이는 모습을 표현하는 의태어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JP001 || [[레어#s-1.1.1]]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 || IGAS-KR001 || [[레어#s-1.1.1]]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드용@이그니스터 ==== [[파일:ドヨン@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용()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ドヨン(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Doyon @Ignister,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400, 수비력=16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의 링크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Ai(아이)"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 어둠 속성의 @이그니스터. 사라진 동료들을 되찾으려는 아이 자신을 상징한다. ①의 효과는 일반 / 특수 소환에 성공할 시 묘지의 @이그니스터 몬스터를 회수하는 효과. 패의 몬스터의 전개를 돕는 이그니스터 Ai랜드와 함께 쓰기 좋으며 @이그니스터가 있으면 자체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드싱이나 히야리를 가져와 의식, 융합, 링크 소환을 실행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OCG화되면서 새로 생긴 효과로,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의 링크 소재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Ai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회수하는 효과. 자체 샐비지 효과가 있는 이그니스터 Ai랜드보단 주로 Ai들링 본 등 다른 카드를 회수하는 데 사용될 듯하다. 도용(ドヨン)은 우울한 상태를 의미하는 의태어로, 동료를 잃은 것과 3기의 사건을 마주한 아이의 우울감을 드러내는 몬스터. 국내 발매 전에는 "띠용@이그니스터"로 널리 알려졌는데 어감이 비슷해 착각한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JP003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 || IGAS-KR003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6 === ==== 단마리@이그니스터 ==== [[파일:ダンマリ@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단마리()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ダンマリ(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Danmari @Ignister,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300, 수비력=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링크 6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필드 /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 ①의 효과는 @이그니스터의 전투를 중지시키고 특수 소환되는 효과. 레벨이 높아 필드에 내려면 보통 이 효과를 사용해야 하는데, 전투 실행 시라는 타이밍이 너무 늦어서 패에 남기 쉽다. 전투 시에 사용하는 패 트랩의 가치가 많이 낮아진 터라 자주 사용하기는 어렵지만, 사실상 전투로만 처리 가능한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의 보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있겠다. ②의 효과는 링크 6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발동 가능한 프리 체인 무효 효과. 링크 6 몬스터는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도 존재하기에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이그니스터에서는 어라이벌의 소환이 어렵지 않아 강력한 견제 카드가 될 수 있지만 고성능 내성 몬스터가 많아지고 있는 지금 어라이벌만의 특색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싱귤래리티를 투입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부르르로 묘지로 보내기에 가장 적절한 몬스터. 필드/묘지에서만 발동 가능하기 때문에 패에서 내려놓지 못하면 곤란하다는 점은 주의. 디자인 모티브는 VRAINS 1기 시절에 자주 보이곤 하던 아이의 괴물 형태. 주로 Playmaker가 제압한 하노이의 기사단원을 잡아먹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42화에선 데이터 파편이 날아다니는 위험한 데이터 스톰 속에서 Playmaker의 스톰 액세스를 성공시키기 위해 이 모습으로 변해 Playmaker를 자신의 몸으로 감싸 '''보호'''하고 있었다. 6링크의 몬스터를 보호해주는 효과와 매우 흡사하다. 단마리는 '침묵'이라는 뜻으로, 아이의 헛소리에 유사쿠가 자주 닥치라고 얘기한 장면이 모티브인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LIGHTNING OVERDRIVE]] || LIOV-JP011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 LIOV-KR011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8 === ==== 갓치리@이그니스터 ==== [[파일:ガッチリ@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갓치리()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ガッチリ(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Gatchiri @Ignister, 속성=땅, 레벨=8, 공격력=0, 수비력=30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사이버스족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사이버스족 몬스터는 각각 1턴에 1번만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의 앞면 표시 몬스터는 상대 턴 종료시까지 상대 효과를 받지 않는다., )] 유희왕 마스터 가이드 6에 동봉. 특수 소환 효과가 원작의 "상대가 자신의 카드 효과를 무효화했을 때"라는 까다로운 소환 조건에 비해 아주 쉬워져 전개 요원으로 사용하기 쉽다. 레벨 5 이상이므로 히야리로 서치하여 바로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히야리의 코스트로 소비한 몬스터 1장의 손해를 즉시 복구할 수 있다. 높은 수비력으로 필드에 눌러앉아 ② 효과로 1회성 파괴 내성을 주거나, 링크 소재로 사용하여 소환된 몬스터에 ③ 효과로 함정 및 패 트랩 내성을 주는 것도 가능. 조건이 사이버스족이기 때문에 굳이 @이그니스터뿐만 아니라 코드 토커 등에서 채용할 여지가 있다. 이름의 유래는 튼튼한, 딱딱한, 빈틈없는 모양 등을 의미하는 갓치리(ガッチリ). @ 마크는 방패에 새겨져 있고, 이름에 걸맞게 방어적인 효과를 지녔다. 원작에서는 추가로 링크 상태인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는 상대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액세스코드 토커]]가 이 카드를 파괴해야만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를 요격할 수 있었다. 이후에도 묘지 효과로 어라이벌을 보호하면서 액세스코드 토커가 다른 카드를 부수도록 유도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마스터 가이드 6 || MG06-JP002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5 || PP15-KR044 || [[패러렐 레어]][br][[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굿사리@이그니스터 ==== [[파일:グッサリ@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굿사리()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グッサリ(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Gussari @Ignister, 속성=땅,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링크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의 링크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3=③: 자신의 링크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서로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3000 이 된다., )] 유희왕 마스터 가이드 6에 동봉. 공격력 / 수비력이 모두 3000으로 순수한 능력치는 @이그니스터 중에서도 제일 강력하다. 대신 특수 소환 조건이 가볍지는 않은 점이 단점. 첫 턴에는 자신 효과로는 아예 소환할 수 없고 이후에도 상대 턴을 견디거나 배틀 페이즈를 거쳐서야 소환이 가능해 말림패가 되기 쉽다. 1번 효과는 링크 몬스터의 전투 파괴를 트리거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 파괴되는 몬스터의 주인을 따지지 않으므로 자신이 상대 링크를 날리는 것으로 특소해서 추가타를 먹이는 플레이 또한 할 수 있다. 2번 효과는 자신의 링크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를 날렸을때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주는 플레임 윙맨계 효과다. 3번 효과는 자신의 링크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할때 서로의 공격력을 3000으로 만드는 효과. 그냥 쓰면 자폭이 되겠지만 묘지에 아이우치가 있다면 전투 내성이 있는게 아닌 이상 본인만 살아남을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날카로움, 뾰족함 등을 의미하는 굿사리(グッサリ). @ 마크는 대검에 새겨져 있다. 원작에서는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해야만 했으며, 3번 효과를 발동한 후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 묘지의 @이그니스터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부가 효과가 있어서,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와 액세스코드 토커가 자폭한 후 다크나이트를 묘지에서 부활시켰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마스터 가이드 6 || MG06-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5 || PP15-KR043 || [[패러렐 레어]][br][[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의식 몬스터 == === 레벨 7 === ==== [[워터 리바이어던@이그니스터]] ==== '''[[아쿠아(유희왕)|아쿠아]]'''를 상징하는 에이스. == 융합 몬스터 == === 레벨 7 === ==== [[어스 골렘@이그니스터]] ==== '''[[어스(유희왕)|어스]]'''를 상징하는 에이스. ==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7 === ====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 ==== '''[[윈디(유희왕)|윈디]]'''를 상징하는 에이스.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4 === ==== [[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 '''[[라이트닝(유희왕)|라이트닝]]'''을 상징하는 에이스. == 링크 몬스터 == === 링크 1 === ====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 ==== [[파일:ダークインファント@イグニ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ダークインファント@(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Dark Infant @Ignister, 속성=어둠, 레벨=1, link4=, 공격력=5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링크 몬스터 이외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이그니스터 Ai(아이)랜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원래 공격력이 2300 인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위치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메인 몬스터 존으로 이동한다. 그 후\, 이 카드의 속성을 턴 종료시까지 임의의 속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OCG 오리지널로 등장한 링크 1 @이그니스터 몬스터.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의 등신대를 줄인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효과 역시 디 어라이벌의 링크 소환을 돕는 효과를 지녔다. 참고로 이름의 영단어 인펀트(Infant)는 '유아'를 의미하며, 도착의 의미를 갖는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와는 오히려 반대의 의미가 된다. 소환 조건이 굉장히 널널해서 추가 링크 소환 용도로 사용하던 [[링크 디사이플]] 등의 사이버스 범용 링크 몬스터를 사용할 필요성이 크게 줄었다. 다만 링크 몬스터는 링크 소재로 쓸 수 없으므로,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나 다크나이트는 물론, 이 카드를 소재로 또 다른 이 카드를 링크 소환할 수는 없으니 주의. 이 카드의 효과가 그만큼 좋기 때문에 같은 이름의 카드를 소재로 효과를 두 번 쓰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만약 가능했었다면 Ai-콘택트의 발동 조건도 아주 간단하게 채워지면서 패 확보도 가능했을 것이다. ①의 효과는 샐러맨그레이트 베일링크스와 [[스트라이커 드래곤]]과 같은 전용 필드 마법 서치 효과. 보통 전개의 핵심인 Ai랜드가 없으면 초반 필드 구성에 힘이 부치기 때문에 피카리로 가져오는 것 말곤 딱히 서치 수단이 없었는데 이 카드의 등장으로 피카리는 다른 Ai 카드를 가져오고 피카리를 링크 소재로 이그니스터 Ai랜드를 가지고 오는 등 유연한 전개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바꿔 말하면 이 효과가 견제당하면 일반 소환권을 이미 사용한 이그니스터로서는 Ai랜드를 다시 가져오기가 난감해져 전개에 큰 차질이 생긴다. ②의 효과는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와의 연계를 상정한 효과. 마커 방향이 방향이다 보니 메인 몬스터 존에서만 효과를 쓸 수 있다. 다크나이트의 링크 앞에 이 카드를 링크 소환하여 다크나이트의 소생 효과를 발동, 체인해서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는 것으로 다크나이트의 링크 앞을 비워 총 3장까지 @이그니스터를 소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카드의 링크 마커 방향 때문에 다크나이트를 오른쪽 엑스트라 몬스터 존이 있는 곳에 소환하고, 이 카드는 2개의 엑스트라 몬스터 존 사이에 있는 중앙 쪽 메인 몬스터 존에서 효과를 발동해야 다크나이트로 소생하는 몬스터를 3장까지 늘릴 수 있다.] 이 카드의 속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속성이 다른 몬스터를 소재로 요구하는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의 링크 소환에 큰 도움이 된다. 단 뇌신룡-썬더 드래곤처럼 특정 효과에 반응해서 발동되는 효과이기에 다크나이트의 효과에 상대가 아무 효과든 체인을 건다면 다크인펀트의 2번 효과는 발동할 수 없게 된다. 다른 엑덱 이그니스터와는 다르게 뽑기도 아주 쉬워서 링그리보 소생 코스트로서도 쏠쏠히 활용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LIGHTNING OVERDRIVE]] || LIOV-JP045 || [[레어#s-1.1.1]]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 LIOV-KR045 || [[레어#s-1.1.1]]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링크 3 === ==== [[파이어피닉스@이그니스터]] ==== '''[[플레임(유희왕 VRAINS)|플레임]]'''을 상징하는 에이스. ====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 ==== '''[[아이(유희왕)|자신]]'''을 상징하는 에이스. === 링크 6 === ====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 ==== '''여섯 이그니스의 힘'''을 하나로 모은 최종병기. == 관련 카드 == === "[[Ai(유희왕)|Ai]]"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i(유희왕))] === [[링그리보]] === == OCG화되지 않은 카드 == === 다크와이트@이그니스터 === [[파일:Darkwight@Ignister-JP-Anime-VR.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다크와이트()이그니스터, 일어판명칭=ダークワイト(アット)イグニスター, 영어판명칭=Darkwight @Ignister, 속성=어둠, 레벨=1, link2=, 공격력=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일반 몬스터 1장, 효과1=이 카드명의 카드는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밖에 링크 소환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링크 상태의 이 카드는 상대의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 효과3=②: 상대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의 미니미 버전.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토큰을 소재로 링크 소환되었다.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 효과로 필드에 버티면서 계속해서 Playmaker에게 효과 데미지를 주다가 액세스코드 토커에 의해 파괴된다. 이름이 다크"와이트"라서 정발 시 다크[[저주받은 하인]]@이그니스터가 되는 게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있지만 [[스네이크아이#스네이크아이 와이트버치|스네이크아이 와이트버치]]가 제대로 번역되어 나와서 다크와이트 그대로 나올지도 모른다. OCG에서는 다크인펀트@이그니스터가 링크 1 몬스터 자리를 차지했다. == 참고 카드 == 상단 서술된 토커와 사이바넷중 필수 투입 카드, 스플래시 메이지, 사이버스 위키드와 무덤의 지명자 등은 필수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 '''[[코드 토커]]와 [[사이바넷]]''' @이그니스터 자체가 사이버스족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코더]]와 [[코드 토커#코드 제너레이터|코드 제너레이터]]+[[도트 스케이퍼]], [[코드 토커#코드 토커 인버트|코드 토커 인버트]]로 전개 루트를 늘려 저점을 높히기도 하고, 굳이 코드 토커와 섞지 않는 @이그니스터도 엑스트라 덱의 [[액세스코드 토커]]와 [[트랜스코드 토커]], [[사이바넷 마이닝]] 등을 필수로 투입하고, 메구리-Ai-를 통한 서칭용 불 속성 몬스터의 자리를 파이어피닉스@이그니스터 대신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사이바넷 컨플릭트]]까지 채용하여 초동 전개의 가짓수를 늘릴 수도 있다. 또한 [[사이바넷#사이바넷 크로스와이프|사이바넷 크로스와이프]]의 경우 필드에 사이버스족 몬스터 하나 남기는 것쯤은 아무것도 아닌 이그니스터에게 부족한 퍼미션 능력을 채워주는 좋은 카드라고 할 수 있다. * [[참기(유희왕)|참기]] 패에서 특수 소환 가능한 서큘러와 아디온, 그리고 다크플루이드의 카운터를 쌓을 수 있으며 참기를 서치할 수 있는 달랑베르시안이 용병으로 투입되기도 한다. 참기 시그마는 이그니스터 Ai랜드의 발동 조건과 반대되게 엑스트라 몬스터 존을 비워야 하나 참기 서큘러 이후로 초동이 가능해져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으며, 달랑베르시안으로 강력한 지속 함정을 서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정적으로 파이어월 드래곤이나 다크나이트 등 강력했으나 전개력이 부족해 넣지 못하던 카드들을 깔끔하게 쓰게 해 주는 일등공신. * [[스플래시 메이지]] 사이버스 전용 링크 늘리기 카드. 이그니스터 Ai랜드가 봉인당하면 대부분의 전개를 코더와 이 카드에 의지하는 이그니스터 특성상 채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두 장 채용하는 경우도 많다. * [[사이버스 위키드]] 자체 효과로 부르르를 서치한 후 이그니스터 Ai랜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해서 후속 전개를 이어나갈 수 있다. 선턴 어라이벌에서 부르르의 중요성을 생각해 본다면 사실상 필수 파츠. * [[파이어월 드래곤]] 금지에서 풀린 파이어월 드래곤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카드군이라 채용되기도 한다. 묘지로 보내고 싶지 않은 상대 카드를 바운스하거나 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단마리를 패에 잡았는데 처리 수단이 마땅치 않은 경우 파이어월을 사용하면 단마리를 필드를 거쳐 묘지로 보낼 수 있다. *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 이그니스터의 에이스 중 하나. 카운터 4개에 마스카레나나 갓치리@로 내성을 획득하면 난공불락의 몬스터가 된다. 원래 밑준비가 복잡하고 비교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편이기에 선호도가 낮았지만, [[퓨어리]]의 등장으로 어라이벌 축이 경쟁력을 잃어 다시 채용되고 있다. *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 [[사이버스톰 액세스]]에서 등장한 또 다른 링크 6 몬스터인 새로운 에이스 포지션 카드, 다크플루이드처럼 묘지에 다양한 소환법의 몬스터를 쌓는걸 조건으로 삼고 있기에 궁합이 좋다. 상대 몬스터를 대량으로 바운스시킬 수 있다. 또한 디 어라이벌과 같은 링크6 몬스터이기에 단마리의 효과도 쓸 수 있다. 출시 후 디 어라이벌을 대신해 이 카드와 파이어월 시리즈를 필드에 세우는 빌드가 연구가 되다가, [[퓨어리]]의 [[엑스퓨어리 누아르]]로 인해 릴리스 등으로 완전 내성 카드를 카운터 치려는 경우가 더욱 많아지면서 어라이벌의 메리트가 확 줄어 이쪽이 주류가 되었다. * [[무덤의 지명자]], [[말살의 지명자]] 패 트랩에 치명적인 @이그니스터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패 트랩 견제 카드. 말살의 지명자의 견제 범위를 늘리기 위해 일반적인 패 트랩 외에도 [[드롤 & 로크 버드]], [[유령토끼]] 등이 투입되기도 한다. 메구리를 사용한 턴이라면 몬스터 패트랩을 사용하는 것이 제한되기에 더더욱 필수적이다. [각주] [[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분류:제목이 특수 문자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