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賓}}}손 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貝|{{{#000,#fff 貝}}}]],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步]](걸음 보) 자와 마찬가지로 중간에 획 하나가 추가되어 [[少]](적을 소) 자와 같이 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ヒ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したが-う, まろうど}}}}}}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ī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賓은 ''''손 빈''''이라는 [[한자]]로, '[[손님]]'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손 || || {{{-1 '''음'''}}} ||빈||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bīn || || {{{-1 '''[[광동어]]'''}}} ||ban1 || || {{{-1 '''[[객가어]]'''}}} ||pîn || || {{{-1 '''민북어'''}}} ||béng || || {{{-1 '''민동어'''}}} ||bĭng || || {{{-1 '''[[민남어]]'''}}} ||pin || || {{{-1 '''[[오어]]'''}}} ||pi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ヒン || || {{{-1 '''훈독'''}}} ||''したが-う'', ''まれびと'', ''まろうど'' || ||<-3> || ||<-2> '''[[베트남어]]''' ||tân || [[유니코드]]에는 U+8CD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十一竹金(JMHC)으로 입력한다. [[宀]](집 면), [[止]](그칠 지), [[貝]](조개 패)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일본에서는 [[步]]-[[歩]]처럼 貝 오른쪽 위에 점 하나를 더 찍는다. == 용례 == === [[단어]] === * 국빈([[國]]賓) * 귀빈([[貴]]賓) * 귀빈관([[貴]]賓[[館]]) * 귀빈석([[貴]]賓[[席]]) * 귀빈실([[貴]]賓[[室]]) * 귀빈차([[貴]]賓[[車]]) * 귀빈회([[貴]]賓[[會]]) * 내빈([[來]]賓) * 내빈석([[來]]賓[[席]]) * 비율빈([[比]][[律]]賓): [[필리핀]]의 [[음역(번역)|음역]] * 빈개념(賓[[槪]][[念]]) * 영빈관([[迎]]賓[[館]]) * 합이빈([[合]][[爾]]賓): [[하얼빈]]의 [[음역(번역)|음역]] === [[고사성어]]/[[숙어]] === * 빈주지간(賓[[主]][[之]][[間]]) * 빈주지례(賓[[主]][[之]][[禮]]) * 빈지여귀(賓[[至]][[如]][[歸]]) * 상경여빈([[相]][[敬]][[如]]賓) * 솔빈귀왕([[率]]賓[[歸]][[王]]) * 입막지빈([[入]][[幕]][[之]]賓) * 회빈작주([[回]]賓[[作]][[主]]) === [[인명]] === * [[빈씨]] 성 가진 사람들 통상.[* 가끔 [[彬]]을 쓰는 경우도 있다.] * [[송빈]]([[宋]]賓) * [[장유빈(미래소년)|장유빈]]([[張]][[有]]賓): [[미래소년]]의 멤버 * [[정교빈]]([[鄭]][[較]]賓) * [[정상빈]]([[鄭]][[想]]賓) === [[지명#s-2]] ===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쾌빈리]]([[快]]賓[[里]])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대빈창길]]([[大]]賓[[倉]]길) === [[창작물]] === * 낙빈악([[樂]]賓[[樂]]) * 유빈객집([[劉]]賓[[客]][[集]]) * 유빈궁([[蕤]]賓[[宮]]) === 기타 === * [[빈공과]](賓[[貢]][[科]]): [[당나라]]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던 시험으로, [[최치원]]이 급제한 것으로 유명하다. == 유의자 == * [[客]](손 객) == 반대자 == * [[主]](주인 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寊]](사람 이름 정)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