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裂}}}찢어질 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衣|{{{#000,#fff 衣}}}]],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レツ{{{#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さ-く, さ-ける, {{{#c88 きれ}}}}}}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i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裂은 ''''찢어질 렬''''이라는 [[한자]]로, '찢어지다', '찢다', '갈라지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찢을 렬''''이라고도 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찢다 || || {{{-1 '''음'''}}} ||렬||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iè || || {{{-1 '''[[광동어]]'''}}} ||lit6 || || {{{-1 '''[[객가어]]'''}}} ||lie̍t || || {{{-1 '''[[민동어]]'''}}} ||liĕk || || {{{-1 '''[[민남어]]'''}}} ||lia̍t[*文 문독] / li̍h[*白 백독] || || {{{-1 '''[[오어]]'''}}} ||liq (T5) || ||<-3> || ||<|2> '''[[일본어]]''' || {{{-1 '''음독'''}}} ||レツ || || {{{-1 '''훈독'''}}} ||さ-く, さ-ける, {{{#c88 きれ}}} || ||<-3> || ||<-2> '''[[베트남어]]''' ||liệt || [[유니코드]]에는 U+88C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弓卜竹女(MNYHV)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衣]](옷 의)와 소리를 나타내는 [[列]](벌일 렬)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와자로는 [[列]](벌일 렬) 대신 [[前]](앞 전)을 쓰는 𧛯(U+276EF)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균열]]([[龜]]裂) * [[분열]]([[分]]裂) * [[분열기]]([[分]]裂[[機]]) * [[핵분열]]([[核]][[分]]裂) * 파열([[破]]裂) * [[파열음]]([[破]]裂[[音]]) * ~~[[열파참]](裂[[破]][[斬]])~~ === [[고사성어]]/[[숙어]] === * 사분오열([[四]][[分]][[五]]裂) * 지리멸렬([[支]][[離]][[滅]]裂) === [[인명]] === * [[칸자키 카오리]]([[神]]裂 [[火]][[織]]) === [[지명#s-2]] === === [[창작물]] === * [[聖槍爆裂ボーイ]]([[성창폭렬 보이]]) * [[炸裂!イェーガー電光チョップ!! (JAEGER FINAL ATTACK)]] === 기타 === * [[열극수]](裂[[隙]][[獸]]) == 유의자 == * [[磔]](찢을 책) * [[撝]](찢을 휘, 도울 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䶛]](깨물 랄/렬) * [[𧊿]](귀뚜라미 렬)[* [[蛚]](귀뚜라미 렬)의 [[동자#s-2]]] * [[㤠]](근심할 렬) * [[𥞥]](기장대 렬) * [[鴷]]/[[𨾸]](딱따구리 렬) * [[烈]](매울 렬) * [[姴]](아름다울 렬) * [[鮤]](웅어 렬/례) * [[𩢾]](줄지어달릴 렬) * [[劽]](힘있을 렬) * [[𥁟]](그릇이름 례) * [[㡂]](비단조각 례) * [[㽝]](빠질 례) * [[𥅮]](눈썹 미)[* [[眉]](눈썹 미)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銐]](낫 체, 날카로울 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