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같은 한자를 세 개 합친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若}}}같을 약, 반야 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ャク, (ニャク), {{{#c88 ニャ}}}}}}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わか-い, も-しくは, {{{#c88 ごと-し,[br]し-く, なんじ, も-し}}}}}}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ruò, {{{#c88 rě}}}}}}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若은 ''''같을 약'''' 또는 ''''반야 야''''라는 [[한자]]로, '같다', '만일', '젊다' 또는 '반야(般若, 분별이나 망상을 떠나 깨달음과 참모습을 환히 아는 지혜)'를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같다 ||반야 || || {{{-1 '''음'''}}} ||약 ||야 || ||<-4>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ruò ||{{{#c88 rě}}} || || {{{-1 '''[[광동어]]'''}}} ||joek6 || || || {{{-1 '''[[객가어]]'''}}} ||na[*白 [[백독]], '만약'의 의미로 쓰일 때] / ngiâ[*文 [[문독]]] || || || {{{-1 '''[[민동어]]'''}}} ||nâ[*白] / iŏk[*文] || || || {{{-1 '''[[민남어]]'''}}} ||ná[*白 [[백독]], '~와 같다'의 의미로 쓰일 때] / nā, nǎ[*白 '만약'의 의미로 쓰일 때] / lio̍k, jio̍k, jia̍k[*文 [[문독]]] || || || {{{-1 '''[[오어]]'''}}} ||zaq (T5) || || ||<-4> || ||<|2> '''[[일본어]]''' || {{{-1 '''음독'''}}} ||ジャク, (ニャク) ||{{{#c88 ニャ}}} || || {{{-1 '''훈독'''}}} ||わか-い, も-しくは, {{{#c88 ごと-し,[br]し-く, なんじ, も-し, わか}}} || || ||<-4> || ||<-2> '''[[베트남어]]''' ||nhược || || [[유니코드]]에는 U+82E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大口(TKR)로 입력한다. [[파일:若.png|width=400]] [[艹]](풀 초)와 [[右]](오른 우)로 구성되어 있지만, 원래는 [[艹]]와도 [[右]]와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사람이 무릎을 꿇고 있는데, 머리 부분에 선 몇 가닥이 나 있고, 그 선들을 양손으로 감싸는 듯한 형상으로 그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를 사람이 머리카락을 빗질하고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자]]로 본다. 이후 [[금문]]에서는 옆에 [[口]](입 구)를 더해 '응낙하다'의 의미를 보충해 주었다. [[전서]]에 와서는 口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태가 뭉개져 艹와 [[又]](또 우)가 합쳐진 모양이 되었고, 그 이후로 艹+又+口의 형태가 쭉 이어져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한편 若의 [[이체자]]로는 又가 세 개 합쳐진 叒이 있는데, 口가 추가되기 전의 모습을 보존한 것이다. 갑골문에서는 주로 '따르다', '~와 같다', '응낙하다'와 같은 의미로 쓰였으나, 이중 '따르다', '응낙하다'의 의미는 [[諾]](허락할 낙)으로 넘어가고, 若은 주로 '~와 같다'의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이 글자는 [[한문]]에서 주로 문법적인 기능을 담당하는데, 다음과 같은 용법이 있다. * [[如]]와 같은 용법. 즉 동사 '~와 같다', 연사(連詞) '만약'. * 2인칭 대사(代詞) '너', 혹은 근칭 지시대사 '이것' * 연사로서, '혹은', '또는' 이외에 일본에서는 주로 わか(い)라고 읽고 '젊다', 혹은 '어리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어리다는 뜻 자체는 사전에 실려 있다.]그래서 한국과 중국에서는 '[[남녀노소]](男女老少)'라고 하는 것을 일본에서는 老若男女(ろうにゃくなんにょ)라고 한다. 또한 특이하게 प्रज्ञा(prajñā, [[산스크리트어]]로 지혜)의 [[음역]]어인 [[반야]](般若)에도 이 글자가 쓰이는데, 이때는 '야'라고 읽어, [[사성|입성]](入聲)으로 읽지 않고 [[사성|상성]](上聲)으로 읽는다. 이는 중국과 일본도 동일하다(보통화 기준 rě, 일본어 기준 ニャ). == 용례 == === [[단어]] === * 가약([[假]]若) * 막약([[莫]]若) * 만약([[萬]]若) * 물약([[不]]若) * [[반야]]([[般]]若) * 반야덕([[般]]若[[德]]) * 반야선([[般]]若[[船]]) * 숙약([[孰]]若) * 약간(若[[干]]) * 약우(若[[愚]]) * 약하(若[[何]]) * 약혹(若[[或]]) * 해약([[奚]]若) === [[고사성어]]/[[숙어]] === * 과약기언([[果]]若[[其]][[言]]) * 구약현하([[口]]若[[懸]][[河]]) *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 난약피금([[爛]]若[[披]][[錦]]) * [[담소자약]]([[談]][[笑]][[自]]若) * 대교약졸([[大]][[巧]]若[[拙]]) * 대지약우([[大]][[智]]若[[愚]]) * [[명약관화]]([[明]]若[[觀]][[火]]) * 문전약시([[門]][[前]]若[[市]]) * [[방약무인]]([[傍]]若[[無]][[人]]) * 부생약몽([[浮]][[生]]若[[夢]]) * 상선약수([[上]][[善]]若[[水]]) * 시약불견([[視]]若[[不]][[見]]) * 아란야([[阿]][[蘭]]若) * 약시약시(若[[是]]若[[是]]) * 약시우강(若[[時]][[雨]][[降]]) * 약존약망(若[[存]]若[[亡]]) * 약존약무(若[[存]]若[[無]]) * 약차약차(若[[此]]若[[此]]) * 약팽소선(若[[烹]][[小]][[鮮]]) * 여산약해([[如]][[山]]若[[海]]) * 여행약제([[如]][[兄]]若[[弟]]) * 용지약사([[容]][[止]]若[[思]]) * 위약조로([[危]]若[[朝]][[露]]) * 유약무실약허([[有]]若[[無]][[實]]若[[虛]]) * 인막약고([[人]][[莫]]若[[故]]) * 적약무인([[寂]]若[[無]][[人]]) * 청약불문([[聽]]若[[不]][[聞]]) * 태연자약([[泰]][[然]][[自]]若) === [[인명]] === * 김약수([[金]]若[[水]]) * [[김약온]]([[金]]若[[溫]]) * [[노기 와카바]]([[乃]][[木]] 若[[葉]]) * [[도특약시축취]]([[屠]][[特]]若[[尸]][[逐]][[就]]) * [[마이태 약희]]([[马]][[尔]][[泰]] 若[[曦]]) * [[반야(고려)|반야]]([[般]]若) * [[사약사]]([[沙]]若[[思]]) * [[서약함]]([[徐]]若[[晗]]) * 선약해([[宣]]若[[海]]) * [[쉬뤄웨이]]([[徐]]若[[惟]]) * [[약광]](若[[光]]) * 약눌(若[[訥]]) * [[약오]](若[[敖]]) * 약휴(若[[休]]) * [[양아약]]([[楊]][[阿]]若) * [[오쿠와카 츠보미]]([[奥]]若 [[蕾]]) * [[와카나 나오]](若[[菜]] [[奈]][[央]]) * [[와카노 테츠야]](若[[野]] [[哲]][[也]]) * [[와카모토 신고]](若[[本]] [[真]][[吾]]) * [[와카바야시 리코]](若[[林]] [[璃]][[子]]) * [[와카사 이쿠토]](若[[桜]] [[郁]][[人]]) * [[와카스기 키미노리]](若[[杉]] [[公]][[徳]]) * [[와카쓰키 레이지로]](若[[槻]] [[禮]][[次]][[郞]]) * [[와카쓰키 마나부]](若[[月]] [[学]]) * [[와캬야마 겐조]](若[[山]] [[弦]][[蔵]]) * [[와카야마 아키히사]](若[[山]] [[晃]][[久]]) * [[와카에 미나미]](若[[江]] [[南]]) * [[와카츠키 마리아]](若[[月]] まりあ) * [[와카츠키 유미]](若[[月]] [[佑]][[美]]) * [[와카츠키 켄야]](若[[月]] [[健]][[矢]]) * [[왕흠약]]([[王]][[欽]]若) * [[유약]]([[劉]]若) * [[유즈키 와카바]]([[柚]][[木]] 若[[葉]]) * [[이누와카 나즈나]]([[犬]]若なずな) * 이약녕([[李]]若[[宁]]) * [[장약윤]]([[张]]若[[昀]]) * [[정약용]]([[丁]]若[[鏞]]) * [[정약전]]([[丁]]若[[銓]]) * [[정약종]]([[丁]]若[[鍾]]) * [[주지약]]([[周]][[芷]]若) * [[창약]]([[昌]]若) * [[쿠라모치 와카나]]([[倉]][[持]] 若[[菜]]) * [[파림 미약]]([[巴]][[林]] [[湄]]若) * [[파야]]([[波]]若) * [[판윈뤄]]([[范]][[蕴]]若) * [[한의후|한약산]]([[韓]]若[[山]]) * [[호란약시축취]]([[呼]][[蘭]]若[[尸]][[逐]][[就]]) * 餡若: 일본의 작곡가 === [[지명#s-2]] === * '''[[한국]]''' * [[경기도]] [[부천시]] [[도약로]]([[陶]]若[[路]]) * [[경기도]] [[부천시]] [[약대동]](若[[大]][[洞]]) * [[경상남도]] [[밀양시]] [[약산로(밀양)|약산로]](若[[山]][[路]])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약목로]](若[[木]][[面]] 若[[木]][[路]]) * [[골약역]]([[骨]]若[[驛]]) * 반야봉([[般]]若[[峰]]) * [[약대역]](若[[大]][[驛]]) * [[약목역]](若[[木]][[驛]]) * [[전라남도]] [[광양시]] [[골약동]]([[骨]]若[[洞]]) * [[충청북도]] [[옥천군]] 증약리([[增]]若[[里]]) * '''[[중국]]''' * 뤄딩산(若[[丁]][[山]]): [[쓰촨성]] 간쓰주 소재 * 뤄창현(若[[羌]][[县]]):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소재 * '''[[일본]]''' * [[돗토리현]] [[야즈군]] [[와카사초(돗토리)|와카사초]](若[[桜]][[町]]) * [[와카마츠구]](若[[松]][[区]]) * [[와카마츠시]](若[[松]][[市]]) * [[와카마츠쵸역(고치)|와카마츠쵸 정류장]](若[[松]][[町]][[停]][[留]][[場]]): [[고치현]]의 정류장 * [[와카마츠쵸역(홋카이도)|와카마츠쵸역]](若[[松]][[町]][[駅]]): [[홋카이도]]의 정류장 * [[와카미야IC]](若宮インターチェンジ) * [[와카바역]](若[[葉]][[駅]]) * [[와카바마치역]](若[[葉]][[町]][[駅]]) * [[와카사역]](若[[桜]][[駅]]) * [[와카에이와타역]](若[[江]][[岩]][[田]][[駅]]) * [[와카이역]](若[[井]][[駅]]) * [[이세와카마츠역]]([[伊]][[勢]]若[[松]][[駅]]) * [[이요와카미야 신호장]]([[伊]][[予]]若[[宮]][[信]][[号]][[場]]) * [[치쿠고와카츠역]]([[筑]][[後]]若[[津]][[駅]]) * [[후쿠이현]] [[미카타카미나카군]] [[와카사초(후쿠이)|와카사초]](若[[狭]][[町]]) === [[창작물]] === * [[반야심경]]([[般]]若[[心]][[經]]) * 약산호고종방촬요(若[[山]][[好]][[古]][[腫]][[方]][[撮]][[要]]) * [[오삼연야신학비용]]([[五]][[杉]][[練]]若[[新]][[學]][[備]][[用]])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 [[若鷲の歌]]([[젊은 독수리의 노래]]) * [[般若心経ポップ]]([[반야심경 팝]]) * [[若林くんが寝かせてくれない]]([[와카바야시 군이 자게 놔두질 않아]]) * 若草のシャルロット([[초원의 샬로트]]) * 天若有情([[천장지구]]) * [[若いんだし!]] * 歐若拉 === 기타 === * [[와카사 철도]](若[[桜]][[鉄]][[道]][[株]][[式]][[会]][[社]]) * [[와카우카노메노미코토]](若[[宇]][[加]][[能]][[売]][[命]]) * [[와카타케급 구축함]](若[[竹]][[型]][[駆]][[逐]][[艦]]) * [[와카타케키비츠히코노미코토]](若[[建]][[吉]][[備]][[津]][[彦]][[命]]) == 유의자 == * [[似]](닮을 사) * [[偌]](이와 같을 야) * [[如]](같을 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苦]](쓸 고) * [[苫]](이엉 점) * [[菪]](미치광이풀 탕) * [[𡧣]](개) * [[𥬡]]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𡈉]](창고 권) * [[掿]](잡을 낙) * [[諾]]/[[𢜪]](허락할 낙) * [[逽]](갈 냑) * [[𨵫]](끌어당길 냑) * [[蹃]](밟을 냑) * [[匿]](숨길 닉) * [[睰]](볼 말) * [[婼]](나라이름 야, 거역할 착) * [[惹]](이끌 야) * [[偌]](이와같을 야) * [[喏]](인사하는소리 야, 응낙하는소리 낙) * [[𦴈]](같을 약) * [[鄀]](나라이름 약) * [[箬]](대껍질 약) * [[鰙]](물고기이름 약) * [[楉]](석류 약) * [[渃]](성이름 약) * [[鍩]](취할 첨) * [[蠚]]/[[𧍗]](독쏠 학) * [[䤀]](약) * [[𢉳]] * [[𪴰]] * [[𪻷]] * [[𧛭]] * [[𧍷]] * [[𦂍]] * [[𫇜]] * [[𧼼]] == 여담 == * 若을 세 개 합치면 [[䖃]](바람이 물을 치는 모양 약)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