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鹿}}}사슴 록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鹿,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ロ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しか, (か), {{{#c88 かのしし, しし}}}}}}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鹿-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鹿은 ''''사슴 록''''이라는 [[한자]]로, [[사슴]]과의 동물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9E7F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戈難心(IXP)으로 입력한다. 수사슴의 뿔, 머리, 네 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형태상 [[广]](집 엄)부에 속할 것 같지만 제부수자이다. == 자형 == ||<:>[[파일:120px-鹿-oracle.svg.png]]||<:>[[파일:120px-鹿-bronze.svg.png]]||<:>[[파일:鹿-bigseal.svg.png]]||<:>[[파일:鹿-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 녹각(鹿[[角]]) * [[녹용]](鹿[[茸]]) * 녹비(鹿[[皮]])[* 사슴의 가죽을 의미하며, 활음조 현상으로 皮가 '비'로 소리난다.] * [[순록]]([[馴]]鹿) === [[고사성어]]/[[숙어]] === * [[지록위마]]([[指]]鹿[[爲]][[馬]]) === [[인명]] === * [[소가노 이루카]]([[蘇]][[我]] [[入]]鹿) * [[시카노인 헤이조]](鹿[[野]][[院]] [[平]][[蔵]]) * [[시카바네 곤타]](鹿[[羽]] [[権]][[太]]) * [[시카타니 아야]](鹿[[谷]] [[絢]]) * [[우에하라 시카노스케]]([[上]][[原]] 鹿[[之]][[助]]) * [[유미야 이루카]]([[弓]][[箭]] [[入]]鹿) * [[카나메 마도카]](鹿[[目]] まどか) * [[카노야 힛슈]](鹿[[屋]] [[必]][[修]]) * [[카시모 하지메]](鹿[[紫]][[雲]] [[一]]) * [[카무이 키리토]](鹿[[矛]][[囲]] [[桐]][[斗]]) * [[탁발실록]]([[拓]][[跋]][[悉]]鹿) * [[토가노 마이]]([[戸]]鹿[[野]] [[舞]][[衣]]) * [[호록고]]([[狐]]鹿[[姑]]) === [[지명#s-2]] === * [[가고시마]](鹿[[兒]][[島]]) * [[카즈노시]](鹿[[角]][[市]]) * [[녹둔도]](鹿[[屯]][[島]]): 한때 함경북도 두만강 하구에 있었던 우리나라의 옛 영토. 현재는 러시아의 영토이다. * [[백록담]]([[白]]鹿[[潭]]): 한라산 정상에 있는 지름 500m의 화구호. * [[소록도]]([[小]]鹿[[島]]): 전라남도의 고흥군의 섬. 한센병 환자들의 수용지로 유명했다. * [[에무카에시카마치역]]([[江]][[迎]]鹿[[町]][[駅]]) === [[창작물]] === * [[청록집]]([[靑]]鹿[[集]]):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의 3인 시집. 박목월의 <청노루>에서 따온 제목이라 「청장집」(靑獐集)이 되어야 할 것 같지만 [[노루 장]] 자 대신 사슴 록 자를 썼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사슴록부 강희자전 안에 198번째에 수록 돼 있는 부수로써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104개이다. 부수로 붙을 땐 사슴과 혹은 사슴과 닮은 동물의 뜻을 나타낸다. [[麊]](순록 미), [[麝]](사향노루 사), [[麟]](기린 린) 등. 단 [[麤]](거칠 추) 같이 동물이 아닌 것을 뜻하는 한자도 꽤 있다. 여담으로 [[犬]]이 좌변에 부수로 쓰일 때 犭를 '개사슴록변'이라고 부르는데 뜬금없이 '사슴록'이 들어가 있다. 이는 사슴록 부수가 복잡하여 개견변으로 바꿔 약자로 쓰던 관습에서 비롯했다. 자세한 것은 [[개사슴록변]] 문서 참고. [[분류:3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