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魯}}}노나라/노둔할 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魚|{{{#000,#fff 魚}}}]],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ロ}}}}}}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ろ-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ǔ{{{#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魯는 ''''노나라/노둔할 로''''라는 [[한자]]로, '[[노나라|노(魯)나라]]', '노둔(魯鈍)하다'를 뜻한다. == 상세 == 魯자는 [[魚]](물고기 어)와 [[曰]](가로 왈)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원래는 '맛있다'는 뜻이었다. 고대에 중국인들이 물고기(魚)를 먹고 나서 맛있다고 말했는데(曰), 그게 전하여 맛있다는 뜻으로 자리잡았기 때문.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본 뜻으로 쓰이지 않게 되었고, 노둔하다는 뜻으로 바뀌었다. 또한 [[춘추전국시대]]에 [[산둥성]] 일대에 자리한 [[노나라]]의 국명이기도 하며 현재의 [[중국]]에서 산둥성의 이명으로 쓰이기도 한다. 19세기 [[일본]]에서는 [[러시아]]의 줄임말로 쓰기도 했다. 당시에는 러시아의 한자 표기로 魯西亞와 露西亞가 쓰였는데 현재는 후자에 밀려 거의 사라졌다. [[유니코드]]에는 9B6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弓田火日(NWFA)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노둔]](魯[[鈍]]) - 미련하고 둔하다. === [[고사성어]]/[[숙어]] === * [[어로불변]]([[魚]]魯[[不]][[辨]]): [[魚]](물고기 어)와 魯도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 즉 매우 무식하다는 뜻이다.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58,698명, 전체 66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함평(咸平), 광주(廣州), 강화(江華)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노(성씨)]] 문서 참조. * [[권노갑]]([[權]]魯[[甲]]) * [[김병로]]([[金]][[炳]]魯) *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 [[노은공]](魯[[隱]][[公]]) * [[두로]]([[杜]]魯) * [[명로진]]([[明]]魯[[鎭]]) * [[박노수]]([[朴]]魯[[壽]]) * [[박노욱]]([[朴]]魯[[旭]]) * [[박노준]]([[朴]]魯[[俊]]) * [[야율실로]]([[耶]][[律]][[室]]魯) * [[야율적로]]([[耶]][[律]][[敵]]魯) * [[야율직로고]]([[耶]][[律]][[直]]鲁[[古]]) * [[유혁로]]([[柳]][[赫]]魯) * [[이응노]]([[李]][[應]]魯) * [[이형로]]([[李]][[瀅]]魯) * 정노식([[鄭]]魯[[湜]])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노암동]](魯[[巖]][[洞]]) * [[경상남도]] [[사천시]] [[노룡동]](魯[[龍]][[洞]])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노곡동]](魯[[谷]][[洞]])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魯[[城]][[面]]) * [[투루판베이역]]([[吐]]鲁[[番]][[北]][[站]])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杳]](아득할 묘) * [[香]](향기 향)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