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년법)] [목차] == 소개 == [[유대인]]이 사용하는 [[기년법]]. == 상세 == 처음엔 [[태음력]], [[이집트]](애굽) 시절에는 [[태양력]], [[바빌론 유수]] 이후엔 [[태음태양력]]을 사용했다고 한다. 서기 359년 [[산헤드린]][* '모인다'는 의미로 판관 23명의 모임. 개역개정성경에서는 '공회'로, [[공동번역성서]]에서는 '의회'로 번역되었다.]의 마지막 의장이었던 [[힐렐 2세]]((Hillel. 2)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한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달력은 [[에스라]] 시대 [[바빌론]]의 달력을 따르는데, 첫 달을 [[과월절]]과 무교절(닛산월 14일부터 22일까지)이 있는 닛산월로 간주했다고 한다. 현재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으로는 3~4월이 된다. 날이 풀려서 순례자들이 걸어다닐 만하고 양 잡기 쉬운 달이 유월이었다. 2세기 무렵 한 해가 시작하는 기준점을 춘분에서 추분으로 바꿨기 때문에 달이 뒤집혔다. 유대력으로 [[율리우스력]] 태양력을 따라 기원전 3761년 10월 6일이 천지창조일로 간주된다. 즉, 대략 3761년을 더한다. 다만 달이 조금 다른 것에 유의할 것. ex) 서기 20[age(2000-01-01)]년은 히브리력 5[age(1239-01-01)]년. 그 외 [[유대교]]는 1시간을 1080등분 간주하며, 새 달이 시작되는 태양이 진 후 5시간 204등분(= 11분 20초)후를 오전 1시로 정한다. 즉, 하루의 시작이 일몰과 함께 시작된다. 유대교의 큰 명절인 [[하누카]]는 키슬레브월 25일부터 데벳월 3일까지인데, 대개 [[크리스마스]]와 겹친다. 다음은 성서에서의 달력이다. ||성서력||민간력||태양력||히브리 명칭||한글 표기||성서상 표기||날짜수||바빌론 명칭||주요 절기|| ||1||7 ||3~4||Nisan[* 혹은 Nissan]||니(닛)산월||아빕월||30 일||Nisanu||유월절(파스카), 무교절|| ||2||8 ||4~5||Iyar ||이야르월||시브월||29 일||Ayaru|| || ||3||9 ||5~6||Sivan||시완월|| ||30 일||Simanu||오순절(칠칠절)|| ||4||10||6~7||Tammuz||담무스월|| ||29 일||Du`uzu|| || ||5||11||7~8||Av||아브월|| ||30 일||Abu|| || ||6||12||8~9||Elul||엘룰월|| ||29 일||Ululu|| || ||7||1 ||9~10||Tishrei||티쉬리월||에다님월||30 일||Tashritu||나팔절, 욤 키푸르, 초막절(장막절)|| ||8||2 ||10~11||Malcheshwan||말케스월||불||29 또는 30 일||Arakhsamna|| || ||9||3 ||11~12||Kislev||키슬레브월|| ||30일 또는 29 일||Kislimu||하누카|| ||10||4||12~1||Tevet||데벳월|| ||29일||Tebetu|| || ||11||5||1~2||Shevat||스밧월|| ||30일||Shabatu|| || ||12||6'||2~3||Adar I||아달월 (1)|| ||30일||Adaru|| || ||13||6||2~3||Adar II||아달월 (2)|| ||29일||Adaru||부림절|| 아달(Adar)월은 윤년이 없을 때는 12월이 되고, 윤년이 생기면 기존의 아달월이 밀리는 대신(2) 다른 아달월(1)이 생긴다. 지금은 디스리(Tishrei)월이 1월이고 (그래서 이달 15-22일이 초막절이다.) 닛산월이 7월이다. 자세한 것은 [[http://ko.wikipedia.org/wiki/%ED%9E%88%EB%B8%8C%EB%A6%AC%EB%A0%A5|# 한글판 위키 참조]] 현대 [[이스라엘]]에서는 [[서력기원]]에 밀려서 법정 연호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스라엘의 공휴일들은 모두 유대력을 기반으로 지정된다. [각주] [[분류:기년법]][[분류:유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