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목성의 위성]][[분류:순행 불규칙 위성]]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비슷한 의미 산맥 , rd1=히말라야 산맥)] [include(틀:목성/위성)] ||<-2> '''{{{+4 히말리아}}}[br]Himalia / ヒマリア / 木卫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4px" [[파일:PIA02881_modest.jpg|width=100%]]{{{#FFFFFF {{{-3 촬영: [[카시니-하위헌스|{{{#LightBlue Cassini}}}]] ([[NASA|{{{#FFFFFF NASA}}}]], 2000)}}}}}}}}} || ||<:> '''모행성'''||[[목성]]|| ||<:> '''구분'''||불규칙 위성|| ||<:> '''크기'''||205.6×141.4 km {{{-3 (별 엄폐 추정)}}}[br](150±20)×(120±20) km {{{-3 (카시니 추정)}}}|| ||<:> '''지름'''||170 km {{{-3 (별 엄폐 추정)}}}|| ||<:> '''질량'''||(4.2±0.6)×10^^18^^ kg|| ||<:> '''궤도 장반경'''||11,388,690 km|| ||<:> '''궤도 경사각'''||29.90917° {{{-3 (황도면 기준)}}}|| ||<:> '''이심률'''||0.1537860|| ||<:> '''공전 주기'''||248.29일|| ||<:> '''자전 주기'''||7시간 46분 55(±2)초|| ||<:> '''겉보기 등급'''||+14.6|| ||<:> '''표면중력'''||0.062 m/s^^2^^|| '''히말리아'''(Himalia) 또는 '''목성 VI'''는 [[1904년]] [[12월 3일]] 릭 천문대에서 찰스 딜런 페린(Charles Dillon Perrine)이 발견한 [[목성]]의 제 6위성이며, 목성의 불규칙 위성 중 가장 큰 위성이다. 이름은 [[제우스]]의 세 아들을 낳은 [[님프]]의 이름에서 명명되었다. 지름은 지상 망원경 기반 추정치가 약 170 km, 광역 적외선 조사 위성(Wide-field Infrared Survey Explorer) 추정치는 139.6(±1.7) km 정도로, 목성의 불규칙 위성들 중 2번째로 큰 [[엘라라]]의 2배 가량의 평균 지름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C형 소행성과 유사한 색상으로, 같은 그룹의 다른 위성들처럼 회색을 띤다. 또한 [[카시니-하위헌스|카시니]]의 조사에 의하면 [[물]]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 [[파일:New Horizons image of the possible Himalia ring.jpg|width=400]] || || 뉴 호라이즌스가 촬영한 고리 추정 천체. 작은 원 안이 히말리아다. || [[2006년]] [[9월 22일]], 심우주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의 [[목성]] [[스윙바이]] 도중 히말리아 근처에서 목성의 고리로 추정되는 천체가 촬영되었다. [[2000년]]에 처음 관측된 이후 사라진 위성 '''S/2000 J 11'''이 히말리아에 충돌하면서 형성되었다는 설도 있었으나, 이 위성은 [[2010년]]과 [[2011년]]에 다시 관측되었고, [[2015년]] [[3월 7일]] [[디아#s-10|디아]]라는 이름이 붙었다. 해당 고리 추정 천체는 다른 위성이나 소천체, 히말리아와 관련되어 형성된 것으로 추정 중이지만 자세한 형성 기작은 불명이다. [[지구]]에서도 대형 개인용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가장 밝을 때의 겉보기 등급은 14.5등급으로, 현재 [[명왕성]]의 밝기랑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