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히말라야타르속]][[분류:화폐의 도안]] ||<-2> '''{{{#FFF {{{+1 히말라야타르}}}[br]Himalayan tah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Himalayan_Tahr_Kedarnath_Musk_Deer_Sanctuary_Uttarakhand_India_30.11.2015.jpg|width=100%]]}}} || || '''학명''' || ''' ''Hemitragus jemlahicus'' ''' [br]Smith, 1826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우제목]](Artiodactyl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소과(Bov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양아과(Caprinae)|| || [[생물 분류 단계#족|{{{#000 '''족'''}}}]] ||양족(Caprini)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히말라야타르속(''Hemitrag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히말라야타르'''(''H. jemlahicus'')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width=240px]]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 히말라야타르, 히말라야타알, 히말라야산양 || || '''[[영어]]''' || Himalayan tahr || || '''[[중국어]]''' || 喜瑪拉雅塔爾羊 || || '''[[일본어]]''' || ヒマラヤタール || }}}}}}}}}|| [[파일:800px-Prague_07-2016_Zoo_img06_Hemitragus_jemlahicus.jpg|width=500]]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우제목 소과 양아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 특징 == [[인도]] 북부, [[티베트]] 남부와 [[네팔]]의 [[히말라야 산맥|히말라야]]지역의 산악지대에 서식한다. 대부분 단독생활을 한다. 몸길이 1.4~1.7m, 어깨높이 90~100cm, 몸무게 85~140kg이다. 등 쪽은 검은색이고 꼬리와 다리 윗부분은 붉은색이다. 겉모습은 중국산양을 닮았다. 몸통은 짧고 다리가 긴데,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더 길다. 뒤로 구부러진 한 쌍의 짧은 뿔이 있다. 목에서 시작해 등을 따라 검은색 갈기가 나 있다. 귀는 크며 꼬리는 짧지만 털이 풍성하다. 천적은 [[눈표범]]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공원]]에 있는 [[서울동물원]] 내에서 낙타사에서 전시 중이다. 과거 들소사(현재 토종동물번식센터다)에서는 [[산양]] 전시를 위해 시범용으로 전시했었다가 옮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