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빈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102번}}}''' || || [[유태현]][br](2017~2020) || {{{+1 →}}} || '''장빈[br](2021)''' || {{{+1 →}}} || [[김동주(투수)|김동주]][br](2022~2022.4.30.)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8번}}}''' || || [[고봉재]][br](2021) || {{{+1 →}}} || '''장빈[br](2022~2023)''' || {{{+1 →}}} || 결번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빈프로필.jpg|width=100%]]}}} || ||<-2> '''{{{+1 히로나카 시히로}}}[br][ruby(廣中, ruby=ひろなか)] [ruby(梓浩, ruby=しひろ)] | Hironaka Shihiro''' || || '''한국명''' ||장빈 (Jang Bin) || || '''출생''' ||[[1999년]] [[7월 10일]] ([age(1999-07-10)]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백마초 - [[충암중학교|충암중]]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 -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강릉영동대]] || || '''신체''' ||183cm, 9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21년 [[육성선수]] ([[두산 베어스|두산]]) || ||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21~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두산 베어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충암고시히로.jpg|width=100%]]}}} || 부친은 [[화교|중국계 일본인]]이고 모친은 [[한국계 일본인]]이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을 본 것을 계기로 야구를 하기 위해 [[대한민국]]으로 와서 백마초등학교와 [[충암중학교]]에서 야구를 하며 정착했다.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등학교]] 2학년이 끝난 후 팔꿈치 수술로 인한 재활로 인해 1년을 유급했고, 3학년이 돼서 본격적으로 경기에 나섰다. 같은 3학년생 좌완 [[장재혁]]과 고교에 갓 입학한 1학년생 우완 [[강효종]]과 함께 140대 중반의 강속구와 포크볼을 앞세우며 충암고의 투수진을 책임지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는데 이름이 알려진 계기는 이름이 특이한 것도 있지만 [[일본인]]이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모친이 [[한국계]]지만 부모의 국적이 모두 [[일본]]이고 본인도 일본 태생이라 복수국적이 아닌 순수 일본 국적자다. 하지만 규정에 따라 KBO 드래프트에 참가할 수 있는데,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는 외국인이라도 중학교 이상 학교에 다니면서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의 등록선수로 활동하였다면 국내선수에 준하여 신분을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으로, [[대만]] 국적이었던 [[소소경]]이라는 선례도 존재한다.[* 참고로 이 규정은 [[일본프로야구]]의 규정을 똑같이 들고 왔다. NPB에서 이 규정을 만들게 된 계기가 바로 [[장훈(야구선수)|장훈]]의 프로 입단이었고, 이 규정에 따라 장훈은 한국 국적을 유지했지만 일본인에 준하여 신분을 인정받고 활약할 수 있었다.] 그러나 10라운드까지도 지명을 받지 못했다. 만약 대학 진학이 아니라 [[KBO 리그]] 진출을 노린다면 이후 국내 독립리그를 거쳐서 [[육성선수]]로 입단하거나 아니면 모국의 리그인 [[일본프로야구]]로 진출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지 대신 [[호주 야구 리그]]에 참가 예정인 [[질롱 코리아]]의 트라이아웃에 참가한 사실이 확인됐지만 아쉽게도 최종 엔트리 합류가 불발되었다. 그 후 강릉영동대 야구부에 입단한 소식이 알려졌다. 2020년에는 단 4⅓이닝을 투구했는데, 부상을 당한 데다가 강릉영동대는 선수 수가 많아서 공식 대회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졸업하는 선수들이 많은 점도 이유였다.[* 이는 2년제 대학을 과하게 띄워주는 일부 팬덤에서 간과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결국 대학교를 졸업할 시점에서도 지명을 받지 못했다. === [[두산 베어스]] === 2020년 12월 2일 [[두산 베어스]]에 육성선수로 입단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0sd9sc9k2Y|베어스포티비 영상]] ==== 2021 시즌 ==== 퓨처스리그에서는 8월 11일 LG전에서야 첫 등판을 했다. 퓨처스리그 최종 기록은 5경기 8⅓이닝 8실점 ERA 8.64 5피안타 17사사구 11탈삼진. 사사구와 삼진이 모두 많은 것으로 봐서는 구위는 좋으나 제구가 좋지 않은 듯 하다. 같이 입단했던 육성선수 중 시즌 종료 후에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 2022 시즌 ==== 등번호를 58번으로 바꾸며 정식선수로 전환되었다. 퓨처스리그에서 25경기 2승 9패 65사사구 74탈삼진 ERA 6.93으로 부진했다. ==== 2023 시즌 ==== 퓨처스 등판이 4월 4경기 뿐이며 그마저도 내용이 형편없다. 이변이 없는 한 방출을 피할 수 없을 듯하다. 최종적으로 4경기 등판, 1패 1홀드 ERA 8.44, WHIP 2.81을 기록하였다. 결국, 시즌 후 방출 명단에 오르며 팀을 떠나게 되었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21 ||<|3> [[두산 베어스|두산]] ||<|3><-15> 1군 기록 없음 || || 2022 || || 2023 || ||<-2> '''[[KBO 리그|KBO]] 통산''' ||<-15> 1군 기록 없음 || == 여담 == * 본래 고등학교 2학년때까지는 시히로라는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신인드래프트를 앞둔 3학년이 되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 선호하는 [[KBO 리그]] 구단은 [[두산 베어스]]라고 한다. 그리고 2021년 본인이 원하던 두산에 입단했다. * [[한국계 일본인]]이라서인지 '''장빈'''이라는 한국 이름이 따로 있으며, 두산 베어스에 입단해서 진행한 인터뷰에서도 본인을 장빈이라고 소개했다. 이에 따라 두산에 입단한 후의 등록명 또한 일본 이름 히로나카 시히로가 아닌 한국 이름 장빈으로 등록되었다. 외자라서 흔치 않은 이름이지만 팀 내 동료 곽빈과 같은 이름이다. * 축구선수 [[백승호]]와 얼핏 닮았다. * [[카도쿠라 켄]] 이후 '''10년만에 나온 일본국적 KBO 리그 선수다.''' 단, 한국에서 초중고를 나왔기에,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는 외국인이라도 중학교 이상 학교에 다니면서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의 등록선수로 활동하였다면 국내선수에 준하여 신분을 인정받으므로, 시히로 역시 국내선수로 대우받는다.[* [[일본프로야구]] 규정에서 왔으며, 이 규정이 만들어진 건 [[장훈(야구선수)|장훈]] 때문이다.] * 당연하지만 일본 국적이기 때문에 군대에 가지 않는다.[*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할 경우 [[주권(야구선수)|주권]]과 마찬가지로 취득한 시점에서 병무청에 신청을 하는 순간 [[전시근로역]]으로 자동 분류된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두산 베어스/선수단]] [각주]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고양시 출신 인물]][[분류:충암고등학교 출신]][[분류:강릉영동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중국계 일본인]][[분류:한국계 일본인]][[분류:재한 일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