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화폐의 인물]][[분류:일본의 소설가]][[분류:일본 여성 작가]][[분류:1872년 출생]][[분류:1896년 사망]][[분류:치요다구 출신 인물]][[분류:결핵으로 죽은 인물]] [include(틀:일본 엔의 도안 인물)]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iguchi_Ichiyou.png]]|| ||<-2> {{{+5 ''' [ruby(樋口, ruby=ひぐち)] [ruby(一葉, ruby=いちよう)]''' }}} || || '''성명''' ||<(> 히구치 이치요 || || '''출생''' ||<(> [[1872년]] [[5월 2일]] [[도쿄]] 부 || || '''사망''' ||<(> [[1896년]] [[11월 23일]] (향년 24세)||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 || || '''직업''' ||<(> 소설가 || || '''본명''' ||<(> 히구치 나쓰코(樋口夏子) || || '''호적 등록명''' ||<(> 히구치 나쓰(樋口奈津) || [목차] [clearfix] == 개요 == 근대 일본의 소설가. [[5000엔권 지폐|5000엔]] 앞면에 있는 사람이다.[* 일본 지폐에 두 번째로 등장한 여성이다. 첫 번째는 1881년 발행된 1엔권 지폐에 등장한 [[진구 황후]](...) 앞면이 아닌 뒷면까지 포함한다면 세 번째다. 두 번째는 [[2000엔권 지폐]]에 등장한 [[무라사키 시키부]]] 이치요는 필명이며 본명은 히구치 나쓰코(樋口夏子)이다. 호적상 이름은 히구치 나쓰(樋口奈津). == 생애 == 1872년 5월 2일에 현재의 [[도쿄도]] [[치요다구]][* 당시는 다른 이름이었다. 지금의 도쿄의 구들은 1930년대에 다시 이름들이 정해진 것이다.] 우치사이와이정(内幸町)에서 태어났다. 사족(士族)[* 사무라이]이었던 아버지 노리요시의 2남 3녀 중 둘째딸로 태어났다. 1883년 세이카이 소학교 고등과 제4급[* 초등학교 5학년에 해당된다.]을 수석으로 졸업하는등 매우 영특한 아이였지만 여자에게 더 이상의 교육은 필요없다는 어머니의 반대로 더 이상 학업을 잇지는 못했다. 가난했던 집안에 10대 무렵부터 큰오빠와 아버지를 잃고 가장으로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 삯바느질과 세탁 등 허드렛일로 돈을 벌었고 19세 때 소설을 배우기 시작하여 등단했으나 가난함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1896년 11월, 24세의 젊은 나이에 폐결핵으로 숨을 거두었다.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도쿄를 단 한번도 떠난 적이 없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숨을 거두기 전까지 ‘키재기’ ‘13야’ 등 14편의 주옥같은 단편소설들을 남겼다. == 평가 ==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근대 작가 중 첫 번째 여성 작가. 24년의 생애 중 숨을 거두기 전 1년 2개월 동안 일본의 근대 문학사에 남는 작품을 남겼다. 5000엔권 지폐에 등용되며 지폐의 인물이 되고 나서 작품들이 재평가 되고 있다. 군의관 겸 소설가 [[모리 오가이]]가 "처녀가 가지기 어려운 경험과 관찰을 지녔다"고 극찬하였고, 자신이 몸담은 작가 모임에 이치요를 합류시키고 싶어하는 등 작가로서의 지속적인 교류를 나누기를 원하였다. 이치요가 병에 걸려 쓰러졌을 때에는 오가이가 의사를 보내 주기도 하였다. 당시에는 여성 작가의 활약이 드물었는데도 오가이는 이에 얽매이지 않았다. == 대표작 == 첫 작품은 『밤 벚꽃(闇桜)』이며[* 1892년 출간. 이때부터 이치요라는 필명을 쓰기 시작했다.] 대표작으로는 『섣달 그믐(大つごもり)』, 『[[키 재보기|키 재기]](たけくらべ)』, 『탁한 강(にごりえ)』 등이 있다. == 기타 == * 이치요라는 필명은 [[달마]]가 잎 하나를 꺾어 강을 건넜다는 일화에서 나왔다. * 그녀의 스승 나카라이 도스이는 소설가, 기자였다. 부산에서 자랐기 때문에 [[한국어]]를 할 수 있었고 아사히 신문 부산 특파원으로서 [[조선시대|조선]]의 사건을 보도하거나 [[춘향전]]을 번역해 연재하기도 했다. 이치요의 생전 일기에 [[구운몽]]을 필사했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이 역시 그의 영향으로 보인다.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20966|기사]]. 아내를 잃은 도스이와 연인관계였는가, 아닌가 하는 점은 후세에 영원한 떡밥으로 남는다. * 한국의 승려 출신 문학가인 [[김일엽]]의 필명 '일엽'은 [[이광수(소설가)|이광수]]가 히구치 이치요의 이름을 따와 지은 것이다. 김일엽의 삶 또한 어린 나이에 가족을 잃고 [[가난]]에 시달리는 등 히구치 이치요와 유사한 점이 있었다. * 만화 [[문호 스트레이독스]]에서 캐릭터화되었다. 이능력자이자 마피아의 일원인 [[히구치 이치요(문호 스트레이독스)|히구치 이치요]]가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