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죠죠리온 등장인물)]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가시카타 카토1121.png|width=100%]]}}} || ||<-2> '''{{{+1 히가시카타 카토}}}[br]{{{-1 [ruby(東, ruby=ひがし)][ruby(方, ruby=かた)][ruby(花, ruby=かあ)][ruby(都, ruby=と)]|Kaato Higashikata[* Kaato 표기와 Cato 표기가 혼재한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hite '''프로필'''}}} || || {{{#white '''이름'''}}} || '''히가시카타 카토''' || || {{{#white '''출생'''}}} || '''1958~1959년[* JOJO Magazine 2023 WINTER에서 공개됨.] ([[일순 후의 세계|★]])''' || || {{{#white '''종족'''}}} || '''[[인간|인간]]''' || || {{{#white '''스탠드'''}}} || '''[[스페이스 트러킹]]''' || ||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일순 후의 세계|★]])''' || || {{{#white '''나이'''}}} || '''52세[* 이 숫자는 [[플레잉 카드]]에서 조커 두 장을 제외한 카드의 장 수와 같다.]''' || }}}}}}}}} || [clearfix] >'''계속! 계속! [[쿠죠 죠타로/스톤 오션|모두를 사랑했었어! 단 하루도 잊은 적 없어!]] 그리고 앞으로도!''' >'''그런 건 당연하잖아!''' [목차] [clearfix] == 개요 == [[죠죠리온]]의 등장인물. [[히가시카타 노리스케(죠죠리온)|히가시카타 노리스케]]의 아내이자 [[히가시카타 죠빈|죠빈]], [[히가시카타 하토|하토]], [[히가시카타 죠슈|죠슈]], [[히가시카타 다이야|다이야]]의 어머니. [[히가시카타 츠루기|츠루기]]에게는 할머니에 해당된다. 그러나 굉장한 동안으로 할머니보다는 그냥 젊은 여성에 가까워 보인다. --과연 52세!-- 머리 끝부분은 [[초코소라빵]]처럼 [[롤빵머리|돌돌 말려있다]]. 이름은 히가시카타 가문의 여성들이 그렇듯 카드에서 따왔지만, 카토의 경우는 말 그대로 '카드'의 일본어 발음에서 따왔다. 카토가 히가시카타 가문 여성들 중 가장 어른이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추정. 카토(카드) 속 여러가지 문양의 카드들(다이야, 하토, 츠루기)로 구성되어 있다는 뜻도 된다. == 작중 행적 == 가족사진을 촬영할 당시에도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리스케와 모친 토모코가 그랬던 것처럼 아들 죠빈의 병을 대신 옮겨 사망한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사실은 15년 형을 받고 '''[[스톤 오션]]''' 교도소에서 복역 중이었다. 사실 그녀의 생존 자체는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가 있는데, 돌이 되는 병은 10세 전후이기 때문에 [[히가시카타 죠빈]]의 병이 발병해 카토가 대신 짊어졌다면 죠빈보다 13살 아래인 [[히가시카타 죠슈]] 16살 아래인 [[히가시카타 다이야]]는 태어날 수가 없기 때문. 55화에서 출소한다. 자신의 출소 사실을 남편에게 알리지 않고[* 출소하면서 결혼반지도 내다 버린다.] 장남하고만 연락하는 것과, 죠빈이 [[바위 인간]]들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새로운 트러블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였다. 출소한 뒤 아들 죠빈에게 마중을 부탁하는데, 가족에게 서프라이즈 하고 싶다며 다른 이에겐 알리지 말라고 한다. 그리고 아주 자연스럽게 저택에 들어와 노리스케에게 DVD를 태연히 넘겨주는 모습으로 모두를 경악시켰다. 15년이나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전혀 기억이 없는 죠슈나 다이야는 당연히 엄마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지만, 당시 9살이었던 [[히가시카타 하토]]와 남편 노리스케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왜냐면 그녀가 징역형을 받은 죄목이 '''아동 살해죄'''였기 때문. 이 일로 감옥에 가고 이혼까지 했던 것. 노리스케는 당장 나가라고 하지만 카토는 자신이 아이들의 어머니이며 자신이 저지른 일에 대해 오히려 당당하고, 심지어 보상까지 원한다. 그녀가 어머니임을 납득하지 못하는 죠슈가 [[넛 킹 콜]]을 이용해 옷을 벗겨버리자 떨어진 카드를 주워 달라며 죠슈를 유도한 뒤, 스탠드 능력으로 의자를 꺼내 턱을 쳐 버린다. 그리고는 화를 내며 호텔로 가 버린다. 그 후로도 계속 주변을 맴돌다가[* 정원에서 해먹을 치고 '''비키니 수영복 차림'''으로 당당하게 일광욕을 하고 있었다. ~~과, 과연 52세!~~] 노리스케와 [[히가시카타 죠스케(죠죠리온)|히가시카타 죠스케]] 사이에 무언가가 오간 것을 눈치 채고 곧장 죠빈에게 연락한다. 64화에서 그녀의 과거가 등장하게 되는데, 죠빈이 어렸을 때 같은 어린이회 회원 중학생에게 괴롭힘을 받는데 어느 날 같은 회원 여학생에게 딱 걸린다. 겁먹은 중학생은 여학생의 집을 불태우고 죠빈까지 죽이려 하나 죠빈이 스탠드로 중상을 입힌다. 이때까지는 살아 있었지만 카토는 이 아이를 벽의 눈으로 끌고 가 죠빈의 병을 옮겨 죽인다. 그리고 5년 뒤에 우연히 매장된 시신이 발견되고 카토의 지문이 발견되어 감옥에 가게 된 것. [include(틀:죠죠리온 최종 결전 참여 인물)] 이후 정말 오랫동안 등장이 없다가 106화 막바지에 죠스케에게 끝장날 위기에 처한 토오루 앞에 울면서 모습을 드러낸다. 107화에서 토오루의 도발을 무시하고 스탠드로 토오루의 사지를 수납해 무력화시켜버린다.[* 그때 그녀의 목적은 토오루가 아니라 츠루기의 치료여서 [[원더 오브 U]]를 무시해 버린다.] 그리고 화재가 일어난지 얼마 안된 시점에서 로카카카 가지 때문에 초조해하고 있던 죠빈을 발견하고 로카카카에 대해 알게 되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여기서 혹시 아버지에게 털어놓아야 하는가 고민하고 있던 죠빈에게 뺨을 때리며 '''윤리보다 우리 가문이 더욱 중요한 것이라며''' 일갈해 결심을 굳히게 만든다. 이후 토오루 앞에서 자기 가문의 저주라면서 '''카드 속에서 숨겨두고 있었던 츠루기를 꺼내, 로카카카를 먹은 토오루와 접촉시킨다.''' >'''너는... 츠루기의 모든 '병'을 가져가. 그리고 나는... 그 '죄'를 짊어질 거야.''' 108화에서는 츠루기의 저주를 토오루에게 옮겨서 그를 끝장내는데 성공하지만, 로카카카를 부순 것이 원더 오브 U의 재앙이 발생하는 트리거가 되면서 옆구리가 나이프에 찔리고, 결국 과다출혈로 사망하게 된다. 어떤 관점에서 보자면 가문을 누구보다도 소중하게 여긴 인물이었지만, 죄의 대가를 치르게 된 셈. 물론 그녀 자신도 이를 인지하였기에 모든 죄를 자신이 짊어지겠다고 한 것. == 기타 == [[만두머리]] 헤어스타일과 15년 형을 받고 복역했다는 점, 그리고 죄수복 등쪽에 'STONE OCEAN'이 적혀 있었던 것은 [[쿠죠 죠린]]의 오마주, 한편 아이가 있는 중년 여성임에도 상대적으로 젊어보인다는 점과 강하고 냉정한 성격을 가졌고 오랜 시간 가족과 헤어져 잠적한 상태로 지냈다는 점은 [[리사리사]]의 오마주로 보인다. 64화의 과거 회상을 통해 카토가 줄기차게 보상을 요구한 이유도 어느 정도 납득은 간다. 아이를 살해하면서까지 장남을 살리고[* 오히려 그 아이야말로 먼저 죠빈을 심하게 괴롭힌걸로 모자라 방화, 살인미수 같은 중범죄를 저지르는 등, 소년원에 가는걸로도 모자랄 쓰레기였다.], 그 장남이 회사를 확장시켰기 때문에[* 실제로 죠빈의 공이 크다고 언급된 바 있다.] 자기 덕분이라고 떳떳하게 말할 수 있는 것. 또 그녀 역시 아이를 소중하게 여기는 한 사람의 어머니이기 때문에[* 실제로 아들이 일진에게 당하는 사건을 겪기 전, 수학여행을 가는 아들을 배웅하는 모습을 보면 영락없이 아들을 챙기는 평범한 어머니의 모습이다. (약간 팔불출 기미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죠빈이 어릴 적에 높은 나무 위로 갑자기 올라간 사건 때문으로도 추정된다.)] 살인까지 감수한 것이 이해가 간다는 평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타인을 희생해서 본인과 본인 가족의 이익을 챙기는, 죠죠 세계관의 [[구역질나는 사악함|악]]의 정의에 부합하는 행동도 같이 저질렀고, 그 대가를 치르게 되었다. 그러나 여느 구역질나는 사악함을 행한 자들과는 다르게 일단 교도소는 갔다왔고, 이후에 [[죠니 죠스타]]처럼 대가를 받는 것도 가족을 위해 담담하게 받아들이면서 최후를 맞이했다. 8부의 테마인 '''"범죄를 지은 부모의 자식도 그것을 이어받게 되는 것일까?"'''는 카토와 그녀의 자식들을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다는 추측이 있다. 하지만 어머니처럼 죄를 지은 자식들은 아들들[* 죠빈은 바위 인간과 협력하며 그들마저 배신하는 등 악역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죠슈는 성범죄 미수. 그나마 죠슈는 악역이 아니다.]뿐인 듯.[* 다이야가 처음에 [[야마기시 유카코|이분]]을 연상시키는 얀데레 끼를 보여주기는 했지만 얼마 안 가 감화+공기화되었고, 하토는 비중이 없었지만 카토의 죄를 부정적으로 보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죠죠의 기묘한 모험/등장인물)] == 관련 문서 == * [[죠죠의 기묘한 모험/자체 오마주]] [[분류:스탠드 유저/8부]][[분류:히가시카타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