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자어]][[분류:생일]][[분류:동명이인]][[분류:이름/한국]] [목차] == 생일 == [include(틀:개인 기념일)] 희수([[喜]][[壽]])란, '''77세'''를 뜻하는 한자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세는 나이]]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023년 기준 [[1947년]] 생(대부분 66학번, N수생은 67학번 이후.)이 해당. 만 나이라면 여기서 학번을 하나씩 올리면 된다.] 喜(기쁠 희)의 초서([[㐂]])를 七十七로 [[파자]]해서 만든 용어. [[미수]]와 마찬가지로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서 유래된 말로,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종종 사용했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2023년 6월 28일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었지만, 희수는 오랜 관습이라는 점을 들어 만 나이 적용 대상이 아니다. [[https://youtu.be/tra8tnw-RnA|#]][* 다만, 가족끼리 바꿔서 정하는 것은 무방하다.] 2020년대 기준으로 이때부터 큰 잔치를 벌이면 경우가 많아졌으며,[* 환갑잔치는 [[평균 수명]]의 증가로 이미 오래전에 사실상 사라졌으며, 칠순잔치도 같은 사유로 요즘 들어서는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또한 희수 이후 [[한글]], [[영어]] 등을 배우거나[* 가장 인기 있는 것은 한글 관련 강좌. 물론 [[2015년]]부터는 해방 이후 취학자들이 희수를 맞았고, [[2021년]]부터는 해방 이후 출생자들이 희수를 맞긴 했다. 게다가 [[노인]]들이 해외여행을 가는 경우도 늘어나면서 이들에게는 오히려 [[영어]], [[표준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 관련 강좌가 더 인기가 높다. 물론 이 연령대의 노인들도 [[중졸]] 이상이라면 비록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라는 한계가 있었으나 학교에서 엄연히 영어를 배웠고, [[고졸]] 이상이라면 학교에서 [[중국어]]를 배웠던 경우가 소수나마 있었다. 물론 시대적 특성상 중국어라고 하면 요즘식 중국어가 아닌 옛날 대만식 중국어고, [[한자]]는 정체자를 썼다.] 뒤늦게 학교를 입학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 나이에 학교를 입학하는 경우는 남성은 보통 [[대학]]이나 [[대학원]], 여성은 [[초등학교]]나 [[중학교]] 및 [[고등학교]]가 많다. 노인대학에 다니는 경우도 있다. 21세기 들어서는 희수를 넘기는 사람들의 비중이 대거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2010년대 중반부터는 희수를 능가하여 건강할 확률이 더 높아졌다.], 2020년대 현재에는 희수를 넘긴 사람들을 주변에서 쉽사리 찾아볼 수 있다. 대략 50 ~ 60% 정도가 희수를 넘었다. 그리고 희수 무렵을 전후로 남성은 많이 사망하는 편이다. 이 때가 되면 시골 노인들 입장에서도 완전히 노인 대접을 받으며, [[동안]]이라도 대부분 노인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이 연령대쯤 되면 남자 150cm대, 여자 140cm대를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희수까지 키가 170cm를 넘기면 [[장신]] 취급을 받기도 한다. == 인명 == 대한민국의 인명. 남녀 모두의 인명으로 쓰인다. [[성씨]]별 [[동명이인]] 메타 문서: * [[강희수(동명이인)]] * [[김희수]] * [[이희수]] * [[박희수(동명이인)]] * [[장희수]] === 실존 인물 === * [[류희수]] * [[문희수]] * [[변희수]] * [[송희수]] * [[양희수]] * [[정희수]] === 가상 인물 === * [[송희수(펜트하우스)|송희수]] * [[차희수]] * [[채희수]] * [[은희수]] * [[은채린|김희수]] * [[반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