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B8ED, #0070C8)" [[제3지대/정당|{{{#ffffff '''대한민국의 제3지대·'''}}}]][[대한민국 보수정당|{{{#ffffff '''보수정당'''}}}]]}}} || || [[자유민주연합|{{{#1B5B40 자유민주연합}}}]] || {{{+1 →}}} || {{{#FFF '''희망의한국신당'''}}} || {{{+1 →}}} ||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 || ||<-2> [[파일:희망의 한국신당 로고.svg|width=200]] || ||<-2> {{{#FFF '''희망의한국신당'''}}} || || '''영문명''' ||New Korea Party of Hope|| || '''창당일''' ||[[2000년]] [[2월 15일]][br],,('''[[자유민주연합|{{{#1B5B40 자유민주연합}}}]]'''에서 분당),,|| || '''해산일''' ||[[2001년]] [[1월 21일]][br],,(자진해산 후 '''[[한나라당|{{{#0000A8 한나라당}}}]]'''에 일괄합류),,|| || '''약칭''' ||한국신당|| || '''선행 조직'''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중앙당사'''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14가길 10 ([[공덕동]], 동아빌딩 2층) || || '''의석 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3C7B 0.4%, transparent 0.4%)" {{{#fff '''1석 / 273석''' ,,(해산 직전),,}}}}}}|| ||<|2> '''당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283C7B; border: 1px #283C7B;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남색 {{{-2 (#283C7B)}}}}}}}}}||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52B3C; border: 1px #D52B3C;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붉은색 {{{-2 (#D52B3C)}}}}}}}}}||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희망의 한국신당 창당 발기인 대회.png|width=100%]]}}} || || {{{#fff ▲ '''희망의한국신당 창당 발기인 대회 (2000년 2월 15일)[br]당시 당 대표였던 김용환 의원과 [[허화평|{{{#fff 허화평}}}]] 전 의원의 모습[br]그러나 허화평 전 의원은 한국신당을 창당한지 며칠도 안 돼서 [[민주국민당(2000년)|{{{#fff 민주국민당}}}]]으로 가버린다.'''}}} ||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급하게 창당되었던 충청권 보수정당이었다. 공보물에서 한줄로 쓸 때의 표기는 띄어쓰기를 포함한 '희망의 한국신당'이었으며, 약칭은 '''한국신당'''. == 역사 ==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수정당(국민의 정부))] [include(틀:제3지대/정당(제5공화국-국민의 정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자유민주연합]] 내부에서 내각제 개헌 문제를 두고 계파갈등이 일어났는데 이 과정에서 [[김용환(1932)|김용환]] 前 사무총장이 자기 계보인 [[이상만]], [[김고성]] 의원을 데리고 나와서 창당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814397|#창당대회 KBS 보도]] 또한 [[12.12 군사반란]]의 주축인 [[허화평]] 전 의원도 동참했으나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으로 옮겨갔다. 당색으로는 탁한 남색을 사용하였다. 로고와 함께 당명을 표기할 때는 [[글꼴]] HY울릉도B[* 이후 [[국민통합21]]과 [[친박 무소속 연대]] 후보들의 공보물에서도 이 글꼴이 사용된다.]를 사용했다. [[북구·강서구 을]]에 출마한 윤무헌 후보 공보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62F45434D323030362F30312F45434D303132303036303232352F45434D303132303036303232355F30303736532E706466|#]] 김고성 후보 공보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62F45434D323030362F30312F45434D303132303036303232372F45434D303132303036303232375F30313038532E706466|#]] 이후 16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중심으로 후보를 내었다. 그 결과 자민련과 같이 박살났다. 김용환 대표최고위원 혼자 당선되고 지역구 김고성(충남 공주·연기)[* 자민련 후보인 [[정진석(정치인)|정진석]]에게 패배.], 이상만(충남 아산)[* 자민련 후보인 [[원철희]]에게 패배.]을 포함한 나머지 후보 31명이 모두 떨어진 것. 결국 김용환 1인을 빼면 원내인사도 없었던데다가 이후 사실상 한나라당과 행보를 같이 하기 시작했고, 결국 김용환 당 대표는 2001년 1월에 [[한나라당]]과의 사실상 합당을 추진하면서[* 해산 직후에 모든 당원이 일괄적으로 한나라당에 입당하는 방식이었다. 훗날 해산된 [[자유민주연합]]과 비슷한 케이스.] 당을 해산했다. == 해산 후 == 이 당 해산 이후 김용환 대표는 한나라당 부총재, 상임고문을 지냈고,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7인회]]의 일원으로서 [[박근혜]]를 도왔다. 이후 2012년 대선이 끝나고 "[[최태민]]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라."라고 직언을 하는 바람에 박근혜 대통령에게 찍혔고, 결국 김용환의 충고를 무시한 박근혜 대통령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탄핵되었다]]. 이후 김용환 상임고문은 2017년 4월 7일에 작고했다. 16대 총선 당시 현직 의원들이나 여러 번 출마했으나 낙선했던 인사들을 보면 [[김고성]](충남 연기)의원은 자민련 [[정진석(정치인)|정진석]] 후보에게 낙선한 이후 정계를 떠났고, [[이상만]](충남 아산)의원은 17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나섰다가 [[열린우리당]] [[복기왕]] 후보에게 밀려서 낙선했다. [[민주한국당]], [[평화민주당]] 출신의 [[조병환]] 영천시 당협위원장은 내리 5번째 낙선을 끝으로 정계를 떠났고 평화민주당과 군소정당을 떠돌던 [[윤승중]] 파주시 당협위원장은 17대 총선을 앞두고 자민련 공천을 받아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연기군에서 내리 낙선하고 대전 중구로 옮겨간 [[김준회]] 후보도 16대 총선을 끝으로 은퇴했다. 나머지 인물들을 살펴보면 강남구 을 [[이춘근]] 당협위원장은 자민련에 복당해 17대 총선에 나왔지만 떨어졌고, 서초구 갑 [[이강욱(정치인)|이강욱]] 당협위원장은 [[한국기독당(2004년)|한국기독당]]에 입당해 구로구 을에 17대 총선에 출마하나 낙선했다. 그리고 부산 북·강서을에 출마했던 [[윤무헌]] 당협위원장은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17대 총선에 나섰으나 낙선했다. 나머지 인사들은 대부분 [[한나라당]]에 합류했다. 이외에도 묻혀버린 한국신당 출신 인사 중에서 현역 정치인은 16대 총선에서 청원군에 출마했던 [[홍성각]] 후보인데, 이 사람은 무려 18년이 지나서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2018년 지방선거에서 기초의원(청주시 바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 지도부 == [Include(틀:희망의한국신당 대표)] == 역대 선거 == === 국회의원 선거 === ||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비례대표 (득표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 2000년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 1 / 227 (0.4%) || 0 / 46 (0.4%) || 1 / 273 (0.4%) || {{{#FFF 원내 5당}}}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수정당(국민의 정부))] [include(틀:제3지대/정당(제5공화국-국민의 정부))] [include(틀:한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Include(틀:제15대 국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제16대 국회의 원내 구성)] [[분류:대한민국의 보수정당]][[분류:2000년 정당]][[분류:2001년 해체]][[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충청권 지역정당]][[분류:자유민주연합]][[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