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흡혈박쥐}}}[br]Vampire bat}}}'''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Desmodus.jpg|width=100%]] || ||<#F93> '''학명''' || ''' ''Desmodus rotundus'' '''[br]Geoffroy, 1810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박쥐목^^Chiropter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주걱박쥐과^^Phyllostom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흡혈박쥐속^^Desmodu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흡혈박쥐^^''D. rotundus''^^'''|| [[파일:attachment/1005042406.jpg|width=500]] [목차] [clearfix] == 개요 == [[흡혈]]을 하는 [[박쥐]]. 흡혈이란 행위에서 [[흡혈귀]]와 동일시되어 흡혈귀는 박쥐로 변신한다는 등, 흡혈박쥐는 흡혈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처럼 되어버렸다. 게다가 [[흡혈귀]]로 오해를 사게 만들었던 광견병까지 옮겨다니므로 더욱 그럴 수 밖에 없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로는 남미에서 흡혈박쥐로 인한 광견병 감염횟수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되고 대부분 개에 의해서 전염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특징 == 남아메리카에서 주로 서식하고 전체 박쥐종 중 흡혈박쥐아과에 속하는 극소수인 3종[* 흡혈박쥐 (''Desmodus rotundus''), 털다리흡혈박쥐 (''Diphylla ecaudata''), 흰날개흡혈박쥐 (''Diaemus youngi'')의 세 종. 이 셋이 전부 각각 다른 1속 1종이다. 셋 다 LUCN 멸종 등급의 가장 낮은 단계인 관심필요 등급에 속하며 멸종위기종이 아니다.]만 흡혈을 한다. 피를 먹는 습성이라고 해서 무슨 흡혈귀마냥 덮치지는 않는다. 주먹보다 작은 조그만 크기의 이 박쥐들은 몰래 기어가서[* 박쥐 중에 기어가는 게 가장 능숙하다.] 면도날 같은 날카로운 이빨로 피부에 상처를 낸 뒤, 마취성분이 있는 침으로 마비시키고 흐르는 피를 천천히 핥아 먹는 것이다. 게다가 주로 동물이 잘 때를 노려서 피를 먹는데, 잠결에 뒤척이면 냅다 도망간다, 흡혈박쥐의 평균 몸무게는 60g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피를 빨렸다고 죽지 않지만, 흡혈박쥐의 타액에는 거머리처럼 피가 응고되지 않게 하는 일종의 독이 있어 다음 날 상처 부위가 피로 흥건하게 젖어있는 꼴을 볼 수 있다. 사람의 피를 빨아먹지는 않지만, 성질이 사나워 사람을 공격하기도 하기 때문에 서식지 인근의 여행시 이를 유의해야 한다. 박쥐도 포유류기 때문에 [[광견병]]의 위험도 있어서 물렸다면 바로 병원으로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박쥐에 안 물린다고 해도 에어로졸로 광견병에 전염될 수 있다.] 피는 생각보다 영양분이 그리 많지 않은데다 흡혈박쥐 자체의 몸집도 작다보니 신진대사가 빨라서 매일 자기 몸무게의 반 이상의 피를 먹어야 하는데, 하루 이틀만 굶어도 목숨이 위태로운 수준. 그래서인지 자신의 몸집에 비해 피를 상당히 많이 먹는 편이다. 어느 정도냐면 배가 너무 부른 탓에 몸이 무거워져 날 수가 없어 깡총깡총 뛰어서 돌아가는 개체도 있다(…). 외모나 대중에서의 이미지와 달리 동료애가 매우 강해서 하루라도 흡혈에 실패한 동료가 있으면 입을 맞추어 자신의 위에서 피를 게워내어 먹이며, 반대로 사냥에 실패하면 예전에 피를 나눠준 동료에게 얻어먹는다. 이는 [[팃포탯]] 전략이라 하여 생물이 어떻게 서로 협력하도록 진화하는가에 대한 예시로 꼽힌다.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과거 [[서울동물원]]에서 1986년, [[본 대학교]]에서 흡혈박쥐 연구를 하던 슈미트 교수를 통해 12마리를 도입했으나 영양실조로 인해 당해를 넘기지 못하고 전원 생을 마감되었다고 한다. 주된 먹이인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했던 것이 화근으로 여겨지며 그나마도 살아있는 모습을 촬영한 자료가 발견되지 않은 모양([[https://m.blog.naver.com/cj2000411/222087910084|#]]). == 창작물 속의 흡혈박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쥐, 문단=10)] * 서브컬쳐에서는 [[흡혈귀]]의 권속으로 주변에서 무리지어 날아다니거나 아니면 흡혈귀가 이걸로 [[변신]]한다. 또한 특유의 못생긴 생김새 때문에 악마나 괴물들의 얼굴로 자주 쓰이곤 한다. * 만화잡지 [[소년 챔프]]에서는 '에일리언 헌터'라는 [[에일리언 시리즈]]의 [[제노모프|에일리언]]을 [[저작권 침해|무단으로 가져온 만화]]가 연재됐는데, 여기서는 에일리언을 박멸시킬 수 있는 기생충을 옮기는 비범한 동물로 나와서 주인공들이 이를 찾아나서는 걸로 나온다. * [[케모노 프렌즈]]에서도 프렌즈로 등장한다. * [[ARK: Survival Evolved]]의 DLC [[ARK: Fjordur|피오르두르]] 맵의 생물로 등장 예정이다. 다만 정확히는 현생 흡혈박쥐를 모티브로 삼은 것은 아니고, 멸종된 흡혈박쥐인 [[https://en.wikipedia.org/wiki/Desmodus_draculae|거대흡혈박쥐(''D. draculae'')]]를 모티브로 각색한 형태다. 특수 능력은 흡혈이나 은신 등 [[흡혈귀]] 콘셉트를 그대로 따랐다. [[데스모두스]] 문서 참고. == 관련 문서 == * [[박쥐]] * [[흡혈귀]] [[분류:흡혈박쥐속]][[분류:독이 있는 포유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