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섬들)] [include(틀:전라남도의 섬)] ||<-2> '''{{{#black {{{+2 흑산도}}}[br]黑山島[br]Heuksand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namhaegosok.co.kr/24.jpg|width=100%]]}}} || [include(틀:지도, 장소=흑산도, 너비=300px, 높이=300px)] [목차] == 개요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있는 [[황해]]의 [[섬]]. 주변 해역이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일부이다. 인근의 [[홍도]], 장도, [[영산도]], 대둔도, 다물도와 함께 흑산군도를 이룬다.[* [[해도]]에서는 흑산도·[[홍도]] 일원을 '''흑산군도'''로, 여기에 삼태도(상·중·하태도)와 소중관군도(만재도), [[가거도]]까지 포함한 [[흑산면]] 전역을 '''흑산제도'''로 구분하여 부른다.] 면적은 21.7 km^^2^^로 [[남한]] 지방에서 마흔 번째로 큰 섬이며[* [[https://www.data.go.kr/data/15042646/fileData.do|행정안전부 유인도서 일반현황]]. 이 통계에서 흑산도는 면적 순으로 39위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 통계에는 [[제주도]] 본섬과 남한 전역(이하 "전국"이라고 한다)의 [[무인도]]가 누락되어 있다. 무인도 통계는 [[해양수산부]]에서 [[https://www.data.go.kr/data/15069315/fileData.do|따로 집계]]하는데 해수부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무인도 중 3.7 km^^2^^를 넘는 곳이 없다. 따라서 [[제주도]]와 전국의 무인도를 포함하여 다시 계산한 흑산도의 면적 순위는 40위이다.] 인구는 2021년 기준으로 1,764명이다.[* 2021년도 「전라남도 신안군 기본통계」 자료 중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752&tblId=DT_75201_B001005&conn_path=I2|읍면리별 세대 및 인구]]" 통계표, 발간일 2023.11.13.[br]원 자료에는 행정리별 인구가 제시되어 있다. 흑산도 본섬에 설정된 10개 행정리(진리1·진리2·예리1·예리2·죽항·비리·마리·곤촌·심리·사리)의 인구를 모두 더하면 1,764명이라는 값이 나온다. 인구 문제를 논할 때 흔히 인용되곤 하는 행정안전부의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 인구통계]]에는 흑산도·영산도·장도·다물도의 인구가 합산되어 나오기 때문에 흑산도 본섬의 인구를 알아보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기상청]] 예보구역 상으로는 서해남부(북쪽안쪽)먼바다에 해당한다. 흑산(黑山)이라는 이름은 바닷물이 푸르다 못해 검푸른 빛이 돌아 멀리서 보면 산과 바다가 모두 검게 보인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흑산면사무소 소재지고 배낭기미·샛개라는 두 개의 [[해수욕장]]이 있다. [[감성돔]], [[돌돔]], [[농어]], [[우럭]] 등이 잡힌다. 감성돔은 한겨울, 농어는 5~11월 사리 시기에 많이 잡힌다고 한다. 군사 시설로 [[대한민국 해군]] [[제3함대(대한민국 해군)|제3함대]] 예하 [[레이더 사이트|전탐감시대]]가 산에 주둔해 있다. 때문에 문암산 일대는 군사시설로 보호받고 있으며 출입금지 지역이 다수 있다. 그리고 항구에는 전진기지대가 주둔해 있어 섬과 주변 영해를 지키고 있다. [[2008년]]까지는 [[가거도]]도 [[일제강점기]]부터 '소흑산도'라는 이름으로 흑산도의 일부로 보았으나 원래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 역사 == ||[[파일:heuksando.jpg|width=100%]]||[[파일:external/www.pressian.com/98130305150515%288%29.jpg|width=100%]][* 이미지 출처 Ⓒ섬학교, 프레시안]|| 서기 [[828년]] [[신라]]의 [[장보고]] 장군이 [[청해진]]을 설치하고 이곳에 성을 쌓으면서 처음 사람이 정착하였다.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따르면 멸망한 [[백제]]의 한 왕자가 흑산도로 [[http://db.history.go.kr/id/ds_004r_0050_0080_0030|피난했다는 기록도 있는데]] 당대에 가까운 전승인 만큼 실제 백제판 [[마의태자]]일 수도 있겠지만 [[통일신라]] 시대에 떠돌던 하나의 옛 전설일 수도 있다. 역사적으로 다산 [[정약용]]의 형이자 [[자산어보]]의 원작자인 [[정약전]]과 [[구한말]]의 위정척사파였던 유학자 [[최익현]]이 이 곳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 [[1914년]] [[무안군]]의 일원에 속했으나 [[1969년]] [[신안군]]이 분리, 독립하면서 이 지역에 편입되었다. == 특산물 및 여담 == 이 섬에 광주지방기상청 소속 흑산도관측소가 있다. 여기서 신안군내 섬의 기상을 책임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기상특보에서는 흑산도를 따로 분류한다. [[홍어]], [[전복]], [[우럭]], [[성게]], 돌김 등이 특산품이다. 특히 육지와 달리 삭히지 않고 회와 여러 방식으로 요리하여 먹는 홍어가 유명하다. 물론 삭힌 것도 있다. [[11월]]~[[2월]]까지 성어기에 어장이 형성된다. 흠이라면 '''정말 비싼 가격.''' [[1965년]] 가수 [[이미자]]가 부른 흑산도 아가씨의 배경이 바로 이 섬이다. 노래비도 있으며, [[2012년]]에는 이미자가 직접 흑산도를 찾아 공연한 실황을 MBC가 방영한 적도 있다. 이곳을 소재로 한 [[네이버 웹툰]]으로 [[현산 아라리]]라는 작품이 있었다. 그러나 작가가 저지른 불미스런 사건으로 네이버 웹툰에서 삭제되었다.[* [[흑산도 집단 성폭행 사건|그리고 흑산도에서도 작가가 저지른 불미스런 사건이 똑같이 재현되었다.]] ~~이뭐병...~~] 소설가 [[김훈(소설가)|김훈]]이 [[정약전]] 및 당시 [[천주교]] 박해를 주제로 소설 <흑산>을 저술했다. 이 흑산에는 여러가지 뜻이 담겨 있지만 일단 메인은 [[정약전]]이 유배갔던 흑산도에서 제목을 착안했다. 도로인 흑산일주로가 [[이니셜 D]]급의 도로다...--특히 위의 헤어핀에서 [[이로하자카]]가 생각나면 지는거다-- [[1978년]]에 [[박정희]] 전 대통령이 어린이날 선물로 [[혀기형 증기기관차|혀기 8형 증기기관차]] 한 대를 기증했으나 1996년에 한진중공업에 매각된 후 행방불명되었다. [[발칸반도|동남유럽]]에 본도랑 [[몬테네그로|이름의 어원이 동일한 국가]]가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이 나라를 훈차해서 '''흑산국(黑山國)'''이라고 부른다.] 이곳 성당에 근무했던 주임신부 중 한 명이 장홍빈 알로이시오 신부인데[* 근무기간: 1985~1989] 이 사람은 여기서 근무를 마친 후 1991년에 [[마리아의 구원방주]]로 유입되었고 그 결과 2007년에 신부직에서 면직되었다. 2019년 당뇨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사건사고 == 여러 사건 사고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흑산도 집단 성폭행 사건]]이 있다. 자기 아이를 가르치는 선생님을 주민 3명이 공모해 차례대로 윤간하고 마을 주민들이 성폭행범 3인의 선처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한 사건이 알려지자 많은 사회적 공분을 샀다. 이후 대법원은 여교사를 [[집단 성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학부모 3명에게 각각 [[징역]] 15년, 12년, 10년을 선고했다. [[신안군/치안]] 문서에도 나오지만 이 지역도 고립된 지역의 특성상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는 [[작은 사회]]의 문제점과 치안의 부재로 인한 범죄에 크게 노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대한민에서 가장 많은 섬이 속한 신안군이 관련 범죄 발생 가능성도 절대적인 면에서 높기 때문에 지자체의 이미지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힌다. 배우 [[김청]]이 촬영 차 흑산도에 방문하고 배역인 술집 여종업원 분장을 했다가 몇몇 주민에게 진짜 술집 여종업원으로 오해받았던 에피소드가 있다. == 교통 == 현재 육지에서 흑산도로 접근할 수 있는 관문은 [[목포시]]와 [[신안군]] [[압해도]] 2곳이다. 흑산도를 빠르게 가려면 쾌속선을 운항하는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로 가는 게 더 빠르다. 대개 [[도초도]]를 경유해 2시간 내외가 걸린다. 1일에 3회 출항하며 운임은 성인 일반기준 3만원선. 만약 흑산도로 차량을 가지고 가려면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이 아닌 [[신안군]] [[압해도]] 송공항에서 [[뉴드림호]]라는 2천톤급 선박을 이용하여야 한다. 1일 1회 운항하며 소요시간은 4시간 내외이다. 승용차 운반비용은 10만원 내외이다. 섬 내에는 예리항을 기점으로 [[신안군 농어촌버스/흑산면|흑산면 공영버스]]가 운영되고 [[개인택시]]도 10대 가량 있다. 택시는 미리 행선지와 요금을 정하고 이용하는 것이 좋다. 섬 전체를 일주하는데 2시간 반에서 3시간 정도 걸린다. === [[흑산공항|신공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흑산공항)] 2023년 1월 31일에 [[흑산공항]]을 동년 11월에 착공하는 것이 기정사실화되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관련 사이트 == * [[http://www.heuksando.com|흑산도 닷컴]] [[분류:전라남도의 섬]][[분류:신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