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include(틀:유희왕/OCG/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88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흑마도의 집행관, 일어판명칭=黒魔導の執行官(ブラック・エクスキューショナー), 영어판명칭=Dark Eradicator Warlock, 레벨=7,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500, 수비력=2100, 효과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블랙 매지션" 1장을 릴리스한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양쪽 플레이어가 일반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상대 라이프에 10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마법사의 심판]]의 커버 카드로, 필드의 [[블랙 매지션]]을 릴리스했을 때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소환 조건과, 일반 마법이 발동할 때마다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블랙 매지션의 진화형 카드 중 하나로서, [[붉은 눈의 흑룡]]-[[붉은 눈의 암룡]]과 비슷하게 블랙 매지션과 같은 능력치에 효과가 붙어 있는 카드다. 블랙 매지션을 릴리스하지 않으면 특수 소환할 수 없기 때문에 쓰기가 곤란한 전형적인 진화판의 약점을 지니고 있다. 오직 블랙 매지션을 릴리스했을 때'''만''' 소환이 가능한지라 한번 정규 소환을 거쳐도 [[죽은 자의 소생]]으로 다시 꺼내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일반 몬스터인데다 [[숙련된 흑마술사]] 같은 소환 서포트도 많은 블랙 매지션을 불러올 방법은 많고, [[추억의 그네]]나 [[침묵의 죽은 자]] 등의 디메리트를 이 카드로 해소할 수도 있다. 여차하면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 등을 이용할 수 있으니 진화형 카드들 중에선 소환 난이도가 쉬운 편이다. 사실 이 카드를 운용하는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릴리스할 블랙 매지션을 마련하는 것보다는 이 카드를 패에 쥐는 것. 일단 소환이 되면 효과는 우수하다. 상대로선 일반 마법 카드를 사용하기가 껄끄러워질 거고, 자신은 상대에게 번 데미지까지 주면서 일반 마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일반 마법을 제외한 다른 마법 카드는 전부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고, 스탯이 진화 전인 블랙 매지션과 똑같아서 이 카드가 날아가면 상당히 불리해지므로 주의. 문제는 상대가 이 카드에 대고 사용하는 일반 마법은 [[대지 분쇄]]나 [[블랙홀(유희왕)|블랙홀]] 같은 제거 카드일 가능성도 높은지라 이런 걸 당하면 아무것도 못 하고 파괴당하고 만다.[* 이 카드의 번 효과는 지속 효과인 탓에, 체인블럭을 형성하지 않으며, 마법 카드의 효과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1000 데미지가 들어가게 된다. [[대지 분쇄]], [[블랙홀(유희왕)|블랙홀]] 등의 제거, 되돌리기, 뒷면 수비 표시로 변경 계열 카드의 경우는 효과 처리가 끝난 시점에서 이 카드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번 효과를 발동시킬 수 없다.] 상대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어지간하면 이 카드를 소환하고 나서 [[툰 목차]]나 [[마력장악]] 등을 발동하는 식으로 능동적으로 대미지를 입혀 나가는 게 좋다. 어차피 [[파워 인플레]]가 심해져서 2500의 공격력으로도 맞아죽기 쉽게 되었기 때문에 확실히 대미지를 입힐 수 있는 타이밍에 소환해서 빨리 써먹는 게 좋다. 툰 목차를 쓰게 된다면 툰 목차 1 발동→툰 목차 2 발동→무욕의 항아리(툰 목차 1, 2를 덱으로)→툰 목차 3 발동→툰 목차 1 발동→[[전생의 예언]] 발동(툰 목차 1, 3을 덱으로)→툰 목차 2 발동→툰 목차 3 발동순으로 단숨에 8000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블랙 매지션과 스탯이 같다는 점은 예전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으나, [[엑시즈 소환]]이 도입된 후로는 이 카드를 소환 → [[죽은 자의 소생]]이나 [[추억의 그네]], [[침묵의 죽은 자]] 등으로 블랙 매지션을 소생 + 1000 데미지 → 랭크 7 엑시즈 소환이라는 콤보가 가능해졌다. 덱에 [[어둠의 마법신관]]까지 넣었다면 엑시즈 소환 대신 이쪽을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가 수치만 빼면 [[연속탄의 마술사]]와 동일하기 때문에 둘을 같이 늘어놓고 [[화염 지옥]], [[데스 메테오]] 등을 발동하면 한방에 '''2400'''이 깎여나가니 순식간에 상대를 새까맣게 태워버릴 수 있다. [[연속탄의 마술사]]와 종족과 속성도 같아 서포트를 공유하기도 쉽지만, 아무래도 이렇게까지 하려면 거의 전용 덱을 짜야 할 것이다. 정확히는 기존에 존재하던 연속탄 번 덱에 이 카드를 투입하는 것. 마법사의 심판의 또 다른 신규 카드인 [[매직 블래스트]]의 일러스트에서는 [[매직비스트 케로베로스]]와 함께 ~~실제로는 대미지가 400밖에 안 되는~~ 엄청난 마력탄을 발사하고 있다. 이 매직 블래스트 역시 이 카드와 상성이 좋은 편. 드로우가 막히긴 하지만 매 턴 1200 이상의 대미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름에 '''[[마도(유희왕)|마도]]'''가 들어가지만 원래 일본어판에서는 '흑마도의 집행관'이라고 쓰고 루비로 '블랙 엑스큐셔너'라고 읽는 카드라 "마도"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로 치지 않는다. 애초에 레벨이 7이어서 받을 수 있는 서포트도 존재하지 않는다. [[블랙 매지션]]의 진화형이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방영이 종료되고 OCG 오리지널로 공개된 카드인 만큼 [[무토우 유우기]]나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적은 없다.[* 마찬가지로 같은 시기에 스트럭처 덱 커버로 등장한 [[붉은 눈의 암룡]] 역시 [[죠노우치 카츠야]]나 [[다이나소 류자키]]와는 무관하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텐죠인 후부키]]의 카드로 등장했다.] 용갑의 색상으로 따지면 유우기의 블랙 매지션보다는 오히려 [[판도라(유희왕)|판도라]]의 블랙 매지션 진화체라 봐도 될 정도로 비슷하다. 실제로 이런 점을 의식해서인지는 몰라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판도라(유희왕 듀얼링크스)|판도라]]와 듀얼하여 랜덤으로 나오는 파밍 보상 목록에 이 카드가 있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다크 시그너 편|다크 시그너 편]]의 33화에서는 듀얼 갱 '매지션즈 포'의 리더가 [[팀 새티스팩션]] 시절 [[키류 쿄스케]]와의 듀얼 중 사용.[* 리더 뿐만 아니라 다른 멤버도 [[숙련된 흑마술사]]를 사용한 것을 보면 멤버들 대부분이 팀 이름답게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블랙 매지션 덱]]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작 [[블랙 매지션]]이 직접 등장하는 일은 없었지만.] [[키류 쿄스케]]의 [[팬더모니엄-악마의 소굴-#제너럴 데몬|제너럴 데몬]]을 공격했으나, 키류가 발동한 [[헤이트 버스터]]의 효과로 파괴되면서 패배했다. --역시 [[어둠의 유우기|원조 듀얼킹]]의 [[블랙 매지션|수족]]은 엑스트라가 다루면 승률이 영 안 나오는 것 같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5-09-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6-JP001 | '''[[마법사의 심판|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魔法使いの裁き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9-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P10-JP001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9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06-01-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6-EN001''' | [[마법사의 심판|STRUCTURE DECK SPELLCASTER'S JUDGME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0-08-1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WCPP-EN014 | [[유희왕 5D's 월드 챔피언십 2010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WORLD CHAMPIONSHIP 2010 CARD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07-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02-EN016 | OTS TOURNAMENT PACK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6-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6-KR001 | '''[[마법사의 심판|스트럭처 덱 - 마법사의 심판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1-08-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P10-KR001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Vol.10]]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관련 카드 == === [[블랙 매지션]] === === [[연속탄의 마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