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2> {{{#fff '''{{{+1 당나라의 절도사[br]{{{+1 侯希逸 | 후희일}}}}}}'''}}} || || '''{{{#fff 작호}}}''' ||<(> 회양군왕(淮陽郡王) || || '''{{{#fff 성}}}''' ||<(> 후(侯) || || '''{{{#fff 이름}}}''' ||<(> 희일(希逸) || || '''{{{#fff 출생}}}''' ||<(> 720년 ~ 781년 || || '''{{{#fff 출신}}}''' ||<(> 영주(營州) || [목차] [clearfix] == 개요 == [[당나라]]의 절도사. == 생애 == 영주(營州) 출신으로 본래 [[안녹산]] 휘하의 장수였다. [[안녹산의 난]]이 발발한 뒤에는 평로군 절도사 서귀도(徐歸道)의 부하 장수로 있었지만 반역을 원하지 않았던 후희일은 안동 도호 왕현지(王玄誌)와 함께 서귀도를 습격해 살해하고 당나라에 귀순했다. 758년에 왕현지가 사망하자, 후희일과 그의 사촌인 이회옥(=[[이정기]])은 왕현지의 아들이 절도사가 될 것을 염려하여 왕현지의 아들을 죽이고 후희일을 평로군 절도사로 추대하였다. 이후 조정에서 후희일을 정식으로 평로군 절도사에 제수하였다. 당시 [[안사의 난]]이 완전히 종식되지 않은 상황이었는데, 후희일은 여러 차례 장수들을 격려하여 상윤객(向潤客)과 이회선(李懷仙) 등을 격파하였다. 하지만 구원군이 없고 [[해족]]의 침공까지 이어지자 결국 후희일은 근거지를 청주(靑州)로 옮겼고, 전신공(田神功)과 능원호(能元皓)가 연주(兗州)로 이동하여 청주가 비어있었기에 손쉽게 청주를 점령했다. 조정에서는 후희일에게 치청절도사라는 직함을 내려 후희일은 평로치청절도사가 되었다. 762년에는 [[사조의]]를 토벌하여 검교공부상서가 더해지고 실봉을 받았다. 후희일은 처음에는 좋은 명성을 얻었지만, 점점 군무에 게을러졌고 불교를 숭상했으며, 매일 사냥을 나간다. 결국 765년에 무당과 성 밖에서 숙박한 것을 계기로 이회옥을 중심으로 한 부하들이 후희일을 쫓아냈다. 후희일은 산동에서 쫓겨난 뒤인 776년 검교우복야로 임명되고 회양군왕(淮陽郡王)으로 책봉되었다. 781년에는 사공으로 임명되었지만 정식으로 임명되기 이전에 후희일이 사망하였다. 후희일은 사후 태보로 추증되었다. == 기타 == 후희일의 모친은 이회옥의 고모였으며 두 사람은 외종사촌 관계였다. 이회옥은 후희일을 쫓아낸 뒤 병사들의 추대로 평로치청 절도사가 되었고 조정으로부터 정기(正己)라는 이름을 받아 [[이정기]]가 되었다. 당나라 시기에 집필된 소설 류씨전[* [[태평광기]]에 인용되어 있다.]에서 선역으로 등장한다. [[사타리]]의 집에서 류씨를 빼돌린 허준에게 자신이 해야할 일을 허준이 해줬다면서 칭찬하고, 황제에게 상소를 올려 한익과 류씨의 일을 알리는 역할이다. [[분류:수당시대/인물]][[분류:고구려의 유민]][[분류:한국계 중국인]][[분류:720년 출생]][[분류:78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