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image/003/2008/01/23/NISI20080123_0005982733_web.jpg]] (이 사진에는 시로가 없다.) 공식 홈페이지 시즌 1 - [[http://www.champtv.com/program/program_detail.asp?program_id=0000000C64&L_MENU=1&M_MENU=1|하늘을 나는 집]] 시즌 2 - [[http://program.kbs.co.kr/2tv/culture/hutos/pc/index.html|잃어버린 숲]] 시즌 3 - 미니미니 (홈페이지는 현재 삭제된 상태이다.) [목차] == 개요 == 후토스는 [[KBS 2TV]]에서 제작한 어린이 대상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레이션 성우는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성우. 시즌 2에선 여성 성우로 바뀌었다. == 스토리 == 총 4명의 동물탈을 쓴 아이들이 후토스섬에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재미를 주고 있고, 이후 시즌 2부터는 옛날에 살던 후토스 섬을 떠나 미래로 왔지만 거기에 한 숲이 보였는데 그곳에서 도착을 하고 아이들은 이젠 여기서 살겠다고 하지만 그 숲속에서 혼자 살고있는 스컹크와 고슴도치처럼 보이는 탈을 쓴 시로라는 남자아이가 있었는데, 시로는 후토스 친구들이 좀 마음에 들지 않았다. 이후 조금 좋아진다.이후 시즌3에는 후토스친구들은 후토스 숲을 하늘을 나는 집으로 은하수마을이라는 별에 도착했다. 그곳은 생각보다 너무 커서 그런지 후토스 친구들은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마음에 드는 듯하다. === 시즌 1 === '하늘을 나는 집을 타고 어떤한섬에 도착한 주인공들이 문물을 접하며 벌어지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그린 프로그램'이라는 게 시즌 1의 설정이었다. 촬영장소는 함평군 자연생태공원. 작품 종영된지 오래됐지만 당시 세트를 아직도 재단장하며 깔끔하게 꾸며놨다. 여담으로 이상한 게, 처음에 나오는 "하늘을 나는 집" 애니메이션에서는 캐릭터들이 말을 많이 하는 반면에 뒤에 나오는 다른 애니메이션(여러가지 물건들을 활용)에서는 말을 별로 안 한다. 말은 아주 조금만 하고 구호소리나 웃는소리등만 낸다. === 시즌 2 === 이때 시즌 1에 설명된 아포칼립스적인 설정이 붙었다. 촬영장소는 봉화군 후토스동산[* 현재 계약기간이 끝나서 철거되었다.]. 시즌 1의 인형탈 형태 버전과 시즌 3의 3D 애니메이션 버전이 모두 제작되었다.[* 다만 이름만 같고 내용이 다르다.] 시즌 2부터는 설명에 나오다시피 시로가 합류한다. || 후토스 섬을 떠나 미래로 떠난 후토스 친구들. 하지만 창밖으로 본 지구의 모습은 잿빛 폐허다. 마침내 녹음으로 둘러싸인 숲을 찾은 아라 모야 조아 나도 숲의 이곳저곳, 탐험을 시작하는데... 이들 앞에 나타난 검정 고슴도치 친구 시로. 부끄럼 많고 까칠한 새 친구에게 말을 건네보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싫어 싫어”뿐이다. 아라 모야 나도 조아와 시로는 어떻게 친해질 수 있을까. 미래 지구를 찾은 후토스 친구들과 이곳의 마지막 생존자 시로. 지구 최후의 숲에서 이들의 유쾌한 모험이 시작된다. || === 시즌 3 === 시즌 1과는 다르게 3D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며 사실상 [[스핀오프]] 형태로 제작되었다. 어린이들의 큰 사랑을 받은 '후토스'가 시즌 3 '후토스 미니미니'로 돌아왔다. '후토스 미니미니'는 시즌 1 '후토스-하늘을 나는 집', 시즌 2 '후토스-잃어버린 숲'과 달리 실사 배경과 3D 애니메이션을 혼합해 실제 우리가 살고 있는 시공간에서 10cm 정도로 작아진 후토스 친구들의 신나는 모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기서는 다른 시즌들의 뒤에 나오는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모든 에피소드마다 등장인물 5명이 모두 등장한다. 역시 [[2010년대]] 초반에 나온 작품이다 보니 말수도 좀 더 많아졌다. == 등장인물 == * 모야 [[파일:모야모야.png]] 색상은 파란색. 남자아이이다. 뭔가 딱 봐도 제일 주인공스럽다. 호기심이 많고 나도의 형이다. 대표 멘트로는 '모야(뭐야)'가 있다. 모티브는 곰이며 성우는 김기양 분. 또, 모야만 믿어!라는 말도 자주 쓴다.[* [[1박 2일]]에서 [[김주혁]]이 이 캐릭터의 코스튬을 완전히 갖춰 입고 머리탈까지 쓴 채로 등장하기도 했다. ~~김주혁은 아시다시피...~~] 애니메이션에서의 성우는 [[문남숙]]. [* 하지만 목소리가 시즌마다 달라서...] * 나도 [[파일:나도할래.png]] 색상은 연두색. 남자아이이다. 모야의 남동생으로 상당히 나이가 적은 티가 난다. 대표 멘트는 '나도, 나도 할래'이며, 다른 캐릭터들이 어떠한 행동을 하면 대표 멘트를 외치며 따라 한다. 모티브는 병아리며 성우는 이응순 분. 시즌 2 부터는 방귀를 잘 뀌는 설정으로 나온다.[* 정작 스컹크는 시로다.] 애니메이션에서의 성우는 [[전숙경]]. 시로와 함께 유이하게 테마곡을 직접 부르지 않았고, 대신 여자 아이들 합창단이 불렀다. 역시 제일 어리다 보니까..? * 아라 [[파일:나는 다알지.png]] 색상은 노란색. 여자아이이며 이름처럼 아는 게 많지만, 이러한 특징 때문에 분량이 별로 없는 날은 설명 한 문장만 하고 계속 졸졸 따라다니기만 한다. 대표 멘트는 '아라는 다 알아', 모티브는 호랑이이며 성우는 정해숙 분. 애니메이션에서의 성우는 [[김희영]](김지선). * 조아 [[파일:후토스 아라.png]] 색상은 분홍색. 여자아이이다. 긍정적이고, 명랑하며 항상 웃고 있다. 예쁜 것을 좋아하고, 상냥하고 착한 성격을 가졌다. 대표 멘트는 '조아는 다 좋아'이다. 모티브는 무당벌레이며 성우는 김지선 분. 애니메이션에서의 성우는 [[김지혜(성우)|김지혜]]. * 시로 [[파일:싫어.png]] 색상은 회색. 뭐든 다 싫은 츤데레 끼가 다분한 미래인. [[츤데레|까칠하고 무뚝뚝하지만 따뜻한 성격.]] 대표 멘트는 조아와 정 반대인 '싫어, 시로는 다 싫어' 이며[* 뉴클리어 아포칼립스로 모든 것을 잃고 혼자만 살아남았으니 부정적인 성격일수밖에 없긴 하다.], 모티브는 스컹크와 고슴도치를 적절히 섞은 상상 속 동물.[* 하지만 정작 스컹크는 아시다시피 나도. 방귀를 뀌는 장면이 많다. 아무래도 제일 어리다 보니까? 여담이지만, 시로도 딱 한 번 "명탐정 아라"편에서 방귀를 뀌었다. 다른 등장인물들이 방귀를 뀌는 "날 따라 해봐요"에서는 하지 않았다. 물론 힘은 썼지만 나도를 제외한 다른 애들이 피하는 바람에... ~~설마 Poop으로 생각했나...?~~] 성우는 정라영 분. 후드를 쓴 다른 친구들과 다르게 유일하게 바이저 형태의 천을 쓰고 있다. 미래인이라는 설정 탓인 것 같다. 애니메이션에서의 성우는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시즌 1에서 나레이션을 맡았다.] 나도와 함께 유이하게 테마곡을 직접 부르지 않았고, 대신 여자 아이들 합창단이 불렀다. 부정적인 성격 때문에..? == 여담 == 각각 제작비는 40억(하늘을 나는 집), 30억(잃어버린 숲)이다. 이 캐릭터를 사용한 농협의 어린이 [[통장]]이 있다. [[분류:한국방송공사]][[분류:아동용 TV 프로그램]][[분류:미완성 작품/애니메이션]][[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실사와 애니메이션이 혼합된 작품]][[분류:포스트 아포칼립스#blur]] [include(틀:포크됨2, title=후토스, d=2022-07-11 17:5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