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안북도의 하위행정구역)] [[분류:평안북도]] ||
<-4><:> {{{-2 {{{#000000 '''[[파일:정부상징.svg|height=15]]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000000,#ddd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000,#ddd 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 군}}}]] '''}}}}}}[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정부상징.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000000,#ddd '''{{{+1 후창군}}}'''[br]厚昌郡[br]Huchang County {{{-2 }}}}}}}}}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후창군,너비=100%, 높이=250px)]}}} || ||<-2> {{{#fff '''광복 당시 면적'''}}} ||<-2> 2,429㎢ || ||<-2> {{{#fff '''광역시도'''}}} ||<-2> [[평안북도]] || ||<-2> {{{#fff '''광복 당시 행정구역'''}}} ||<-2> 5면 || ||<-2> {{{#fff '''시간대'''}}} ||<-2> UTC+9 || [목차][clearfix] == 개요 == [[파일:평안북도 후창군기.svg]] 명목상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한국령 평안북도]]의 군.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인 후창군을 다루고 북한에서 이곳을 관할하는 행정구역은 [[김형직군]], [[화평군]] 문서를 참조 바란다. == 역사 == ||<-2> '''후창군 행정구역 변천사''' || ||<-2> 무창현[br](茂昌縣, 1440) || ||<-2> ↓ || ||<-2> 무창군[br](茂昌郡, 1442) || || ↓ || ↓ || || 후주진[br](厚州鎭, 1664) || 무창진[br](茂昌鎭, 1683) || || ↓ || ↓ || || 후주부[br](厚州府, 1822) || 무창부[br](茂昌府, 1813) || ||<-2> ↓ || ||<-2> 후창군[br](厚昌郡, 1869) || ||<-2> ↓ || ||<-2> 평안북도 후창군[br](平安北道 厚昌郡, 1914) || [[고구려]]와 [[발해]]의 영토였다. 발해 패망 이후 외세의 지배하에 있다가, [[조선]] 초기에 수복되어 갑주만호부에 소속되었고 후에 [[갑산군]] 소속 후주(厚州), 무창(茂昌)이 되었다. 1416년에 신설된 여연군에 소속되었다가, 1440년에 무창현으로 독립되었고, 1442년에 무창군이 되었다. 4군 6진 중 하나이다. 그러나 1459년에 4군이 폐지(폐4군)되면서 무창군도 폐지되었다. 그 이후 1664년 후주진, 1683년에 무창진이 다시 설치되었다. 1813년에는 무창진이 무창부로, 1822년에는 후주진이 후주부로 바뀌었다. 1869년에 후주와 무창을 통합하여 한 글자씩 따와 후창군이라 하였다. 광복 당시 5개 면(후창면, 동신면, 동흥면, 남신면, 칠평면)이 있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파일:후창군.jpg]] 압록강 국경지대에 서쪽부터 후창면, 동신면, 동흥면이 있고, 남쪽에는 남신면, 칠평면이 있다. [[울릉군]]을 제외한 한반도 본토에서 관할 동리의 수가 가장 적은 군이다(18동). 철도는 전혀 지나지 않았으나, 이후 [[북부내륙선]]이 개통되었다. * '''후창면'''(厚昌面) * 관할 동 : __군내(郡內)__, 금창(金昌), 부흥(富興), 장흥(章興), 회(檜) * 읍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군내동이다. 철도는 [[북부내륙선]]이 지나가며 [[월탄역]], [[회양역]], [[노탄역]], [[오구비역]]이 있다. * '''남신면'''(南新面) * 관할 동 : __유화(裕和)__, 가산(佳山), 만흥(晩興), 부흥(富興) * 면소재지인 유화동은 통칭 '화평(和坪)'이라고도 불렸다. 북한 행정구역상 [[화평군]] 소재지. * '''동신면'''(東新面) * 관할 동 : __포삼(葡三)__, 두지(杜芝), 무창(茂昌) * 북한 행정구역상 김형직군 소재지. '무창'동에서 알 수 있듯이, 옛 무창군이 있던 곳이다. 철도는 [[북부내륙선]] [[포평역]], [[두지역]], [[무창역]]이 있다. * '''동흥면'''(東興面) * 관할 동 : __고읍(古邑)__, 나죽(羅竹), 쌍남(雙南) * 옛 후주부 소재지로 통칭 '후주고읍(厚州古邑)'이라 불렸다. 평안북도의 최동단 지역이다. * [[북부내륙선]] [[후주청년역|후주역]], [[나죽역]], [[대응역]]이 있다. * '''칠평면'''(七坪面) * 관할 동 : __중흥(中興)__, 대흥(大興), 소북(小北) * 가릉령을 넘어 [[장진군]]으로 도로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