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등장인물의 덱]]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후지키 유사쿠)][include(틀:후지키 유사쿠 덱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덱)] [[유희왕 VRAINS]]의 주인공 [[후지키 유사쿠]]가 사용한 카드를 정리한 문서. 특수 소환에 특화된 사이버스족 몬스터들과 사이버스족을 지원하는 마법 & 함정으로 구축된 굿스터프 덱. 카드의 효과를 적절히 활용해 몬스터를 연속해서 전개하고 이를 링크 소환으로 잇는, 5D's 주인공 [[후도 유세이]]를 떠오르게 하는 전술을 자주 사용한다. OCG에서는 [[사이버스 링크]], [[파워코드 링크]], [[스타터 덱 2017]]까지만 해도 필드 장악력이나 견제력은 부족한 덱으로 평가받았으나, [[스타터 덱 2018]]과 [[마스터 링크]]가 발매된 이후로는 손쉽게 엑스트라 링크를 만들 수 있게 되었고 강력한 카운터 함정인 사이바넷 컨플릭트까지 얻어 현실 대회에서도 종종 보일 정도로 괜찮은 수준의 덱이 되었다. 64화에서 묘사된 쿠사나기 쇼이치와의 첫 만남 당시의 유사쿠는 사이버스 덱을 사용하기 이전이었다고 한다. [[스타터 덱 2017]] 및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수록된 카드 포함 다양한 카드들[* [[이그자리온 유니버스]], [[선봉 대장]], [[포톤 스래셔]], [[전영의 기사 가이아세이버]], [[금지된 성창]]+[[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을 섞어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65화에서 유사쿠가 사이버스 덱을 얻게 된 일화가 공개된 걸 보면, 현재는 사이버스 덱의 카드만을 주로 사용하는 것 같다. 아이와의 마지막 결전에 따르면, 아이는 일부러 유사쿠와 쇼이치에게 사이버스에 대한 정보를 흘러 그들이 카드를 얻게 만들었다고 한다. 즉, 아이의 본래 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이의 덱 [[@이그니스터]]는 정황상 2기 이후 아이가 유사쿠를 떠나면서 동료들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 만들었다.] 상대를 견제하는 데에 특화된 [[코가미 료켄|리볼버]]의 [[바렛(유희왕/카드군)|바렛]], 우수한 전개능력으로 [[트로이메어]] 엑스트라 링크를 쉽게 전개할 수 있는 [[오니즈카 고|GO 오니즈카]]의 [[강귀]], 메타비트+번을 활용하며 히로인 덱 최초의 티어에 올랐던 [[자이젠 아오이|블루 엔젤]]의 [[트릭스터(유희왕)|트릭스터]], 강력한 함정 중심 덱인 [[벳쇼 에마|고스트 걸]]의 [[얼터가이스트]]와는 달리 유사쿠의 덱은 카드군 중심이 아닌 종족 중심으로 묶인 굿 스터프인데다가 링크 소환에 특화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명확한 컨셉이 없다. 현실에서는 엑스트라 링크를 목표로 한다는 컨셉이 있으나 애니메이션에서 엑스트라 링크 하나만 보고 가기엔 듀얼 내용이 너무 지루해지기 때문에 이 컨셉이 표현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대신 애니메이션에서는 덱 자체의 컨셉에 의존하기보다는 사용자인 유사쿠의 플레이 능력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방식으로 상대의 전략을 무너뜨리는 덱이 되었는데, 이는 작품 속에서 보여주는 캐릭터들의 듀얼 스타일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상대가 자신이 사용하는 카드군의 특성을 살린 정석적인 플레이를 하는 반면, 유사쿠는 주어진 패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해 상대의 빌드를 뚫는 유동적인 플레이를 한다. 게다가 상대의 덱이 어떤지, 듀얼 스타일이 어떤지에 따라 빌드를 뚫는 방식도 천차만별이다.[* 예를 들면 효과 데미지를 통해 상대의 라이프를 빠르게 깎아내면서 뛰어난 서치력으로 어드밴티지를 유지하는 블루 엔젤의 트릭스터 덱을 상대할 때는 그녀의 전략을 역이용해 스킬 스톰 엑세스를 발동할 트리거로 삼았다.] 이런 유사쿠의 듀얼 스타일은 자신과 상대를 모두 고려해야 하며 운은 물론이고 그때그때 즉석에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뛰어난 듀얼 실력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기 때문에 안정적이지 못하다. 이런 면은 역대 주인공들 중에서도 가장 [[어둠의 유우기|오리지널]]에 가깝다. 이 때문에 애니메이션과 현실에서의 운영 방식이 크게 다른 덱이기도 한데, 보통 사이버스족은 [[공아단|패에서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형식]]으로 전개하는데 이런 방식은 어드밴티지 소모가 극심해 조금만 전개해도 패가 말라버린다. 유사쿠는 이를 뛰어난 임기응변으로 해결하지만 현실에서 이를 재현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카드군처럼 사이바넷 코덱이나 마이크로 코더 등의 고성능 서치 카드를 복수 사용해 이를 보완하는 방식을 취한다. 2기 최종전을 보면 이 두 플레이 방식의 차이를 잘 알 수 있는데, 사이바넷 코덱을 이용한 솔리테어 플레이가 현실, 다양한 소환법/전개를 이용한 빌드 돌파 플레이가 애니메이션의 플레이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리볼버가 역대 라이벌 중 가장 많은 공격력 3000의 에이스 몬스터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유사쿠 또한 역대 주인공 중에서도 가장 많은 에이스 몬스터를 가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본편을 포함 CM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슈팅코드 토커]]를 제외한 모든 애니 출신 [[코드 토커]]들이 공식적으로 에이스라고 언급된 바 있으며, 펜듈럼을 제외한 각 소환법별 공격력 2500 몬스터들([[파이어월 드래곤]], [[사이버스 매지션]],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 [[사이버스 퀀텀 드래곤]], [[파이어월 X 드래곤]])이 전원 에이스라고 공언되었다. OCG 최초의 사이버스족 링크 5 몬스터인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 또한 [[카오스 임팩트]] 홍보 페이지에서 공식적으로 에이스의 칭호를 받았다. 링크 소환이 주력인 만큼 토큰을 이용한 전개를 자주 보여준다. 대량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서 에이스 몬스터를 부르는 건 5D's부터 있던 전통이지만 토큰을 이렇게 자주, 그리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주인공은 유사쿠가 최초다.[* 그나마 [[유우키 쥬다이]]가 [[댄디라이언]]의 플러피 토큰으로 수비를 하거나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어드밴스 소환 소재로 사용했다.] [[사카키 유우야|전작의 주인공]]처럼 애니메이션 방영 도중에 금지 카드가 나온 주인공이다. 그나마도 유우야는 수많은 EM 카드 중 하나인 [[EM 멍키보드]]가 금지당했지만, 이번에는 '''하필 [[파이어월 드래곤|에이스 중 하나]]가 금지먹었다...''' 물론 그 이후 또 다른 파이어월인 엑시즈 몬스터 [[파이어월 X 드래곤]]이 나왔고 파이어월 드래곤의 상위 개체로 보이는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가 나와 파이어월의 이름을 이었다. 이후 파이어월 본체도 에라타를 거쳐 금지에서 해제되었다. == 과거 덱 == 'Unknown'으로 활동하던 시절 사용하던 덱. === 메인 덱 몬스터 === * 효과 몬스터 * [[선봉 대장]] * [[이그자리온 유니버스]] * [[포톤 스래셔]]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 링크 몬스터 * [[전영의 기사 가이아세이버]] === 마법 카드 === * [[금지된 성창]] *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 == Playmaker 덱 == [[사이버스족]] 카드들을 입수하면서 사용하게 된 덱. === OCG화된 카드 === ==== 메인 덱 몬스터 ==== * [[일반 몬스터]] * [[비트론(사이버스)#s-2|비트론]] ×2 * [[비트론(사이버스)#s-3|디지트론]] * [[비트론(사이버스)#s-4|프로트론]] * 효과 몬스터 * [[드라코넷]] * [[링크슬레이어]] * [[RAM 클라우더#s-1|RAM 클라우더]] * [[사이버스 위저드]] * [[백업 세크레터리]] * [[스택 리바이버]] * [[샐비전트 드라이버]] * [[디펙트 컴파일러]] * [[콘덴서 데스스토커]] * [[인터럽트 레지스탕스]] * [[도트스케이퍼]] * [[밸런서로드]] * [[플릭 크라운]] * [[듀얼 어셈블룸]] * [[사이버스 가제트]] * [[가드너#s-2.10|록아웃 가드너]] * [[스트라이핑 파트너]] * [[비트론(사이버스)#s-5|비트루퍼]] * [[링크(유희왕)#s-2.1.1.2|링크 인플라이어]] * [[RAM 클라우더#s-2|ROM 클라우디아]] * [[부트 스태거드]] * [[RAM 클라우더#s-4|SIMM 태블라스]] * [[클러스터 펜듈럼#s-2|클러스터 컨제스터]] * [[디그레네이드 버스터]] * [[레이텐시]] * [[스와프리스트]] * [[데프콘버드]] * [[클락 와이반]] * [[프레임 버팔로]] * [[캬시 이브 L2]] * [[사이버스#사이버스 화이트햇|사이버스 화이트햇]] * [[위제트 키드]] * [[스톰사이퍼]] * [[런처 커맨더]] * [[파이어월 가디언]] * [[그리드 스위퍼]] * [[레스큐 인터레이서]] * [[크로스 디버거]] * [[스레숄드 보그]] * [[마이크로 코더]] * [[코드 토커#코드 제너레이터|코드 제너레이터]] * [[가비지컬렉터]] * [[씨아카이버]] * [[포맷 스킵퍼]] * [[패러렐엑시드]] ×2 *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몬스터]] * [[사이버스 싱크론]] * [[의식 소환|의식 몬스터]] * [[사이버스 매지션]]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 [[링크 소환|링크 몬스터]] * [[링크 스파이더]] * [[허니봇]] * [[언더클락테이커]] * [[프레임 어드미니스터]] * [[리커버리 소서러]] * [[시큐어 가드너]] * [[스페이스 인슐레이터]] * [[링크 디사이플]] * [[링크 디보티]] * [[바이널 소서리스]] * [[토크백 랜서]] * [[시큐리티 드래곤]] * [[레스토레이션 포인트가드]] * [[링크리보]] * [[엘페이즈]] * [[사이버스 위치]] * [[업데이트재머]] * [[데터네이트 딜리터]] * [[펜테스태그]] * [[클락 리저드]] * [[바이널 블레이더]] * [[프로토콜 가드너]] * [[사이버스 위키드]] * [[코드 토커#코드 토커|코드 토커]] *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 * [[링크로스]] * [[프록시 F 매지션]] * [[스플래시 메이지]] * '''[[액세스코드 토커]]''' * "스톰 액세스"로 얻은 링크 몬스터 * '''[[파이어월 드래곤]]''' (10화 VS [[코가미 료켄|리볼버]]) * [[코드 토커]] 몬스터들 * '''[[디코드 토커]]''' (2화 VS [[하노이의 기사|하노이의 기사단원]]) → [[디코드 토커 익스텐드]] * [[인코드 토커]] (7화 VS [[자이젠 아오이|블루 엔젤]]) * [[엑스코드 토커]] (15화 VS [[벳쇼 에마|고스트 걸]]) * [[파워코드 토커]] (28화 VS [[파우스트(유희왕)|파우스트]]) * [[트랜스코드 토커]] (42화 VS [[코가미 료켄|리볼버]]) * [[슈팅코드 토커]] (48화 VS [[보맨]]) * [[링크 범퍼]] (5화[* 이 듀얼에서는 스톰 액세스로 얻은 카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65화에서 사이버스 덱을 얻을 때 허니봇이 이미 포함되어 있던 것으로 미루어 링크 범퍼를 얻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VS [[오니즈카 고|GO 오니즈카]]) * [[벡터 스케어 데몬]] (17화 VS [[유희왕 VRAINS/등장인물|AI 듀얼리스트 프로토타입 A]]) * [[클락 스파르토이]] (54화 VS [[도쥰 켄고|블러드 셰퍼드]]) * [[융합 소환|융합 몬스터]] *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 * [[바렐로드 F 드래곤]][* 리볼버가 양도.] * [[싱크로 소환|싱크로 몬스터]] * [[사이버스 퀀텀 드래곤]] *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 * [[파이어월 X 드래곤]] ==== 마법 카드 ==== * [[사이바넷#s-2.1|사이바넷 유니버스]] * [[사이바넷#s-2.2|사이바넷 백도어]] * [[사이바넷#s-2.3|사이바넷 스톰]] * [[사이바넷 옵티마이즈]] * [[사이바넷 코덱]] * [[사이바넷 퓨전]] * [[사이바넷 리츄얼]] * [[사이바넷 마이닝]] * [[싸이크론#s-2.8|사이버설 싸이크론]] * [[시큐리티 블록]] * [[링케이지 홀]] * [[제로 엑스트라링크]] * [[링크(유희왕)#s-4.2|바운드링크]] * [[원타임 패스코드]] * [[스풀 코드]] * [[링크(유희왕)#s-4.5|링크 백]] * [[그리드 로드]] * [[디코드 엔드]] * [[드라스틱 드로우]] ==== 함정 카드 ==== * [[방어막(유희왕)#쓰리스트라이크 베리어|쓰리스트라이크 베리어]] * [[사이버스#s-5.1|사이버스 비콘]] * [[링크(유희왕)#s-2.4.1|링크 리스타트]] * [[사이바넷#s-2.2.1|사이바넷 리프레시]] * [[리코디드 얼라이브]] * [[패러렐포트 아머]] * [[코드 토커#리미트 코드|리미트 코드]] * [[실드 핸들러]] * [[링크(유희왕)#s-2.4.2|패킷링크]] * [[드로우 디스차지]] * [[트랜잭션 롤백]] * [[코드 핵]]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메인 덱 몬스터 ==== * 효과 몬스터 * [[스캔돌]] * [[폴트트리랜서]] * [[프로텍션 위저드]] * [[트래시 해커]] * [[포이즈닝 블로커]] * [[오버 플로터]] * [[메탈 몰-포제]] * [[L2 캣슈발리에]]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 [[링크 소환|링크 몬스터]] * [[멀티 슬렛지 해머]] * [[좀비 프로세이버]] * [[엑슬레이어]] ==== 마법 카드 ==== * [[이펙트 카울]] * [[사이버스#s-6.1.1|사이버스 어나일레이션]] * [[전선교란]] * [[사이버스#s-6.1.2|사이버스 캐시]] * [[배틀 버퍼]] * [[사이바넷#s-3.0.1|사이바넷 디프래그]] * [[얼러트 랜서]] * [[링크(유희왕)#s-3.1.1|링크 프로세싱 페일어]] * [[링크(유희왕)#s-3.1.2|링크 아트로시티]] * [[마커즈 차지]] * [[디스커넥트 링커]] * [[스팸 메일(유희왕)|스팸 메일]] * [[사이버스 브릿지]] * [[디멘션 링케이지]] * [[링크(유희왕)#s-3.1.3|링크 드라이브]] * [[리줌 메이스]] * [[서스펜드 완드]] * [[링크(유희왕)#s-3.1.4|링크 새틀라이트]] * [[사이버스#s-6.1.4|사이버스 프라이드]] * [[사이바넷#s-3.0.1|사이바넷 클로저]] * [[링크(유희왕)|링크 프레셔]] ==== 함정 카드 ==== * [[사이버스#사이버스 셔터|사이버스 셔터]] * [[도플러 페이즈 코팅]] * [[링크(유희왕)#아젠트 링크|아젠트 링크]] * [[오버로드 앵커]] * [[링크(유희왕)#링크 서지 카운터|링크 서지 카운터]] * [[드롭 프레임 웨지]] * [[브레이크 앤드 리버스]] * [[큐어 컨버전]] * [[익세스 레서 링커]] * [[마커즈 브레이크]] * [[링크(유희왕)#링크 레이션|링크 레이션]] * [[링크(유희왕)#링크 러시|링크 러시]] * [[링크(유희왕)#링크 캔슬|링크 캔슬]] * [[리턴 리스크 리저버]] == 위장용 덱에 있던 카드[* 이 카드들은 2013년 일본에서 있었던 하프 덱 프레젠트 캠페인의 빛덱에 포함되어 있는 카드들이다.] == * [[마법 검사 네오]] * [[슈퍼 스타]] * [[고블린의 비약]] * [[검은 펜던트]] * [[지원군(유희왕)|지원군]] * [[함정 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