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후주청년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41.4627 127.4956,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Huju Chŏngnyŏn || || [[한자]] ||<-2><|2> 厚州青年 || || [[간체자]] || || [[일본어]] ||<-2> - || ||<-3> '''주소''' || ||<-3> [[량강도]] [[김형직군]] 고읍로동자구 || ||<-3> '''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북부내륙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3> '''개업일''' || || [[혜산만포청년선]] ||<-2> 1987년 11월 27일 || ||<-3> '''철도거리표''' || || [[만포청년역|{{{#585858 {{{#!html
만포청년 방면
}}}}}}]][[대응역|대 응]][br]← 10.2 ㎞ || '''[[북부내륙선]]'''[br]후주청년 || [[혜산청년역|{{{#585858 {{{#!html
혜산청년 방면
}}}}}}]][[송전역|송 전]][br] 12.7 ㎞ → || {{{+1 厚州靑年驛 / Huju Chŏngnyŏn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부내륙선]]의 [[철도역]]. [[량강도]] [[김형직군]] 고읍로동자구 소재. 후주군이 있을때는 이곳이 군 중심지였다. 무창군과 통합하며 1869년 군청이 [[월탄역]]부근으로 옮겨갔다. 이때 옛 군청이 있었다하여 고읍동(古邑洞)이라 하고 후주고읍이라고 불렀다. 다른 [[북부내륙선]]의 역과는 차원을 달리하고 있다. 일단 역사(驛舍)와 번듯한 승강장을 가진 역이라는 것을 북부내륙선에서 찾기가 매우 힘든 것이 사실이며, 중국과의 교류 때문인지 마을의 크기도 가로 1.5km, 세로 300m 정도로 매우 크며(이 정도면 [[종성역]] 인근의 1/3 수준이며 [[사북역]] 역세권의 '''두 배''' 정도 되는 수준이다), 중국과의 사이에 다리가 두 개나 놓여 있을 정도. 즉, 중국과 맞닿아 있으면서 인근에 철도가 있고 마을의 규모도 꽤 되는, 발전가능성이 꽤나 높은 역이라는 것이다. 물론 한계는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이 [[김형직군]] 및 그 인근의 행정구역이 도대체가 별 볼 일 없는 행정구역들이라는 문제. == 역 정보 == 인입선 포함 1면 3선에 불과하지만 제대로 된 시설을 갖추고 있는 역이다. 단, [[송전역]]에서 이 역까지 이르는 선로의 상태는 '''매우''' 불량하다. 그냥 정도도 아니고 아주 심각한 정도인데, 물론 대부분의 [[북한의 철도 환경]]상 선로 상태가 [[시망]]이라지만 이건 정도가 지나칠 정도가 아닌가 싶을 정도. 울퉁불퉁한 건 둘째치고 문자 그대로 낡은 게 훤히 보인다. 이 역과 [[송전역]] 사이에 지류가 하나 합류하는 곳이 있는데, 그것이 후주천. 이 후주천을 따라 임산철도도 부설되어 있다. 다만 역에서 직접 분기하지는 않고 그냥 화물철도로 상당히 긴 구간을 연결해 놓은 듯하다. 후주청년역에서 분기하는 선로가 하나 있기는 하지만 문자 그대로 노면전차 수준이라 의미가 없고 그나마도 직결되지도 않는다. 게다가 이 역과 송전역 사이에 분기하는 지점도 없고 그나마도 죄다 산지이다. 아무래도 그냥 화물용 선로를 따로 하나 깔아둔 듯. 중국과 마주 보고 있는 지점에 목재야적장도 보인다. == 기타 == 이 역에 진입하기 직전의 선로를 보면 ㅅ자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쉽게 말하면 직선거리가 아니라 강을 따라 삥 돌아가는 형태의 선로인데, 아무래도 직접 뚫기는 좀 애매했던 모양. [[만포청년역]] 기점 166.0km [[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