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자동차, rd1=람보르기니 우라칸)] [include(틀:룬의 아이들/설정)] [목차] == 개요 == [[전민희]] 작가의 작품인 [[아룬드 연대기]] 및 [[룬의 아이들]]에 등장한 캐릭터 및 설정. 명칭이 같은 것이 우연인지, 혹은 작가가 만든 [[늙은이의 우물|의도적인 설정]]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현실에는 스페인어에 [[허리케인]]이라는 뜻을 가진 [[우라칸]](huracán)이라는 단어가 존재한다.[* [[람보르기니]]가 출시한 동명의 슈퍼카 덕분에 대중들에게도 어느정도 익숙한 이름이다.] 하지만 룬의 아이들 속의 후라칸은 가나폴리의 작위명이기도 하다는 언급이 있으며, 그 가나폴리의 언어는 '''그리스어'''에 대응하기에 맞다고 할수는 없다. 여러모로 의문투성이의 떡밥. == [[아룬드 연대기]]의 설정 == [[세월의 돌]]에서는 [[검은 예언자]] 가운데 최고의 무인으로, '그림자 없는 검' 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 [[파비안 크리스차넨]]은 이 인물에게 배운 검술이 있었기에 강적들을 이길 수 있었다. == [[룬의 아이들]] 시리즈의 설정 == [[룬의 아이들]]에서는 '예비하는 자, 후라칸' 이라는 칭호로, 작중 [[보리스 진네만]]이 [[실버스컬]]에 출전하여 우승하여 [[달의 섬]]에 돌아온 뒤 받은 두 번째 이름이다. 그 뜻은 '''때를 기다리는 바람'''.[* 룬의 아이들에서는, 특히 가나폴리의 문명에서는, '이름'이 곧 운명을 결정하게 된다. 무엇을 위해 때를 기다리는지 생각해보면 꽤 해석이 갈리는데, 가문에 얽힌 갈등을 풀 때, 혹은 보리스가 한 명의 전사로 홀로 설 때를 의미한다면 훗날의 성장을 암시할 뿐이지만, 골모답의 마지막 말 "내 살을 뜯어 삼키고 나의 세계로 넘어오렴"과 연계시키면 섬뜩한 분위기를 품게 된다. 그리고 모티브로 보이는 그리스 신화의 예언은 '''이런 식으로 양면적인 해석으로 사람을 낚는다'''.] 섬 사람들은 가문의 성이 없고 오직 태어나 받은 이름만을 사용하는데, 이렇듯 받게 되는 칭호는 두 번째 이름으로써 매우 [[명예]]로운 것. 본래 순례자의 3대 미덕은 '복원, 유지, 예비'로, 옛 왕궁의 것을 되살리거나, 지금까지 남아있는 전통을 그대로 이어가거나, 돌아올 옛 왕국을 위해 기다리는 것. 그리고 각각 그를 상징하는 칭호가 하나씩 존재한다. 원래는 [[가나폴리|옛 왕국]]의 작위 중 하나였다고 하며, 세 번째로 주어져야 할 칭호라고 한다.[* 첫 번째 구속자의 칭호는 보리스 이전에 섬 출신자 중 실버스컬에서 우승한 유일한 인물인 [[일리오스]] 사제가 받은 '복원하는 자, 벨칸다르'이다.] 왜 두 번째가 생략되고 세 번째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일리오스가 복원한 것이 옛 왕국의 '명예'가 아닌, 옛 왕국과 섬에 얽힌 '진실' 그 자체였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분류:룬의 아이들/설정]][[분류:아룬드 연대기/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