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공주]][[분류:1522년 출생]][[분류:1538년 사망]][[분류:출산 중 죽은 인물]] [include(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중종의 왕녀[br]{{{+1 효순공주 | 孝順公主}}}'''}}}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효순공주묘.jpg|width=100%]]}}} || ||<-2> {{{#ffd400 {{{-2 효순공주·구사안 합장묘 전경}}}}}} || || '''출생''' ||[[1522년]]^^([[중종(조선)|중종]] 17년)^^ [[4월 27일]] || || '''사망''' ||[[1538년]]^^([[중종(조선)|중종]] 33년)^^ [br](향년 17세) || ||<|2> '''능묘''' ||효순공주·구사안 합장묘 || ||[[강원도]] [[춘천시]] [[남면(춘천)|남면]] 추곡리 243-10[* 원래 양주 군장리(楊州 群場里)에 위치했지만 지금 위치로 이장되었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옥련(玉蓮)[* 선원록 출처]/옥린(玉麟)[* 효순공주 태지석 출처] || || '''부왕''' ||[[중종(조선)|중종]] || || '''모후''' ||[[문정왕후]] || || '''부군''' ||능원군 구사안 (綾原君 具思顔, {{{-3 1523 ~ 1562}}})[* 본관은 [[능성 구씨|능성]], 자는 중우(仲愚)이다. ][* [[인조]]의 어머니 [[인헌왕후]]의 큰아버지가 된다. 또한 [[구인회]]의 13대조인 구사민의 큰형이다.] || || '''자녀''' ||'''친자녀 없음(+ 양자 1남)''' 양자 - 구횡(具宖, {{{-3 1562 ~ ?}}})[* 구사안의 남동생 [[구사맹]]의 차남.] || || '''봉호''' ||'''효순공주(孝順公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종(조선)|중종]]의 적3녀. 어머니 [[문정왕후]]의 차녀로 [[명종(조선)|명종]]의 [[동복형제|동복]] 누나가 된다. 자의에 의해서든 타의에 의해서든 각종 사건 사고를 달고 다녔던 [[의혜공주]], [[경현공주]]에 비하면 별다른 이야기가 없는데, 이는 요절한 탓으로 보인다. == 생애 == 1533년(중종 28) 11세의 나이로 동갑이었던 감찰 구순의 아들 구사안을 부마로 맞이하였다. 구사안의 증조부인 구수영은 [[영응대군]]의 사위였으며, 중종반정을 도운 정국공신이고 또한, 구사안의 어머니 전주 이씨는 의신군 이징원의 딸이었는데, 모계 쪽으로 효령대군의 후손이었던 점 또한 부마 간택에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만가보》에 따르면, [[효령대군|효령대군 이보]](孝寧大君 李補)→(효령대군의 3남) 보성군 이합(寶城君 李㝓)→(보성군의 4남)평성군 이위(枰城君 李緯)→(평성군의 5남)의신군 이징원(義新君 李澄源)으로 이어진다. ] 이 때문인지 공주의 집을 지을 때 효령대군 옛 집의 목재와 돌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고, 중종은 사용할 수 있는 목재와 돌은 사용하라고 승낙한 일이 있다.[* 중종실록 72권, 중종 27년 2월 2일 신사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ka_12702002_001|#]] ] 1538년(중종 33) 공주는 17세의 나이에 [[난산]]으로 사망하였다. 한편 부마는 재혼할 수 없고, 첩을 둘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효순공주가 세상을 떠나자 구사안은 첩을 두고 3남 2녀의 자식을 보았다. 이로 인하여 구사안은 부마의 직첩을 빼앗겼다. == 가족 관계 == * 부 : [[중종(조선)|중종]](中宗, 1488 ~ 1544) * 모 : [[문정왕후]] [[파평 윤씨|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 ~ 1565) * 언니 : [[의혜공주]] 이옥혜(懿惠公主 李玉惠, 1521~1564) * 동생 : [[경현공주]] 이옥현(敬顯公主 李玉賢, 1530 ~ 1584) * 동생 : [[명종(조선)|명종]](明宗, 1534 ~ 1567) * 동생 : [[인순공주]](仁順公主, 1542 ~ 1545) * 시증조부 : 구수영(具壽永,具壽永, 1456 ~ 1523) * 시증조모 : 길안현주 이억천(吉安縣主 李億千, 1457 ~ 1519) - [[영응대군]]의 장녀 * 시조부 : 구희경(具希璟, 1488 ~ ?) * 시조모 : [[거창 신씨]](居昌 愼氏) - 신수겸[* [[신승선]]의 차남, [[폐비 신씨]]의 오빠](愼守謙)의 딸 * 시부 : 증 영의정 구순(贈 領議政 具淳) * 시모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의신군 이징원[* [[효령대군]]의 증손자, [[효령대군]] → 보성군 → 평성군 → 의신군](義新君 李澄源)의 딸 * 시누이 : 구진옥(具眞玉, 1524 ~ ?) * 시누이 : 구애옥(具愛玉, 1527 ~ ?) * 시동생 : 구사증(具思曾, 1528 ~ ?) * 시누이 : 구소옥(具小玉, 1530 ~ ?) * 시동생 : 능안부원군 [[구사맹]](綾安府院君 具思孟, 1531 ~ 1604) * 시조카 : [[인헌왕후]](仁獻王后) - 추존왕 [[원종(조선)|원종]]의 정비 * 시누이 : 구계향(具桂香, 1534 ~ ?) * 시동생 : 구사중(具思仲, 1535 ~ ?) * 시누이 : 구옥순(具玉純, 1539 ~ ?) * 시동생 : 구사민(具思閔, 1542 ~ ? * 부마 : 능원군 구사안(綾原尉 具思顔) * 임신(1538) : 난산으로 사망 * 양자 : 구횡(具宖, 1562 ~ ?) - [[구사맹]](具思孟)의 차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