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춘추전국시대)의 8대 국군이자 3대 왕, rd1=조효성왕)] [include(틀:역대 신라 국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FBE673 '''효성왕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신라의 왕자/태종 무열왕 ~ 경순왕)] ---- [include(틀:역대 신라 태자)]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0%,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신라 제34대 국왕[br]{{{+1 효성왕 | 孝成王}}}'''}}}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효성왕 가릉.jpg|width=100%]]}}} || ||<-2> {{{-2 {{{#fbe673 효성왕 가릉 전경.}}} }}} || ||<|2> '''출생[br]{{{-3 (음력)}}}''' ||[[721년]] ~ [[722년]] 추정[* 이유는 후술] || ||[[통일신라|신라]] [[서라벌|금성]] || ||<|2> '''사망[br]{{{-3 (음력)}}}''' ||[[742년]] [[5월]] (향년 20~21세 추정) || ||[[통일신라|신라]] [[서라벌|금성]] || || '''능묘''' ||효성왕릉 (가릉) || ||<|4> '''재위기간[br]{{{-3 (음력)}}}''' ||'''{{{#fbe673 신라 왕태자}}}''' || ||[[724년]] [[12월]] ~ [[737년]] [[2월]] {{{-2 (22년)}}} || ||'''{{{#fbe673 신라 제34대 국왕}}}''' || ||[[737년]] [[2월]] ~ [[742년]] [[5월]] {{{-2 (5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경주 김씨]] || || '''휘''' ||승경(承慶) || || '''부모''' ||부왕 [[성덕왕]][br]모후 [[소덕왕후]] || || '''형제자매''' ||형 [[김중경]][br]동생 [[경덕왕|김헌영]] || || '''왕후''' ||왕비 박씨, [[혜명부인]][* 효성왕의 모후 [[소덕왕후]]와 자매간으로 효성왕에게는 이모가 된다.], 김정종의 딸 || || '''종교''' ||[[불교]] || || '''시호''' ||'''효성대왕(孝成大王)''' || || '''골품''' ||[[진골]](真骨) ||}}}}}}}}}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라]]의 제34대 군주. [[성덕왕]]의 차남. 어머니는 성덕왕의 계비인 소덕왕후(炤德王后), [[왕비]]는 739년 맞이한 [[이찬]](伊飡) 김순원(金順元)의 딸 혜명부인(惠明夫人). 738년 [[당나라]]로부터 책봉된 왕비가 1명 더 있는데 《[[삼국유사]]》 <왕력편>에 나오는 [[김정종]]의 딸과 동일 인물로 보인다. == 생애 == 성덕왕의 둘째 아들로 배다른 형이었던 [[김교각|중경이 717년 죽었으므로]][* 죽은 것이 아니라 정쟁에 질려버려서 [[태자]]를 포기하고 [[중국]]으로 건너가 [[승려]]가 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지장보살]]의 화신 혹은 지장보살과 거의 동격으로 여겨질 정도로 위대한 승려로 존경받는다. 다만 기록에 있는 것은 아니고 '신라의 [[왕자]]였다'는 김교각에 대한 기록에 근거하여 추정한 김교각의 정체에 대한 유력한 설 중 하나이다.] 724년에 태자로 책봉되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생년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추정이 가능한데 소덕왕후는 720년 3월 성덕왕과 [[혼인]]하여 724년 12월에 죽었다. 이로 미루어보면 721년~724년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동생인 [[경덕왕]]이 있으므로 721년~722년 사이에 출생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리고는 재위 5년만에 승하했으니 22세를 넘기지 못하고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즉위 직후 성덕왕 때 보낸 사자의 답신으로 738년 당나라로부터 '개부의동삼사 신라 왕'(開府儀同三司 新羅王)에 책봉되고 《[[도덕경]]》을 받았다.[* 당나라 농서 이씨 황실이 [[노자]] 이이를 시조로 숭배했으므로 국교가 [[도교]]였다.] 739년 동복 아우인 김헌영 즉 경덕왕을 [[파진찬]][* 4등위 관위로 [[해양]] 업무와 교역을 관장하는 [[벼슬]].]으로 삼았다. 김헌영이 바로 훗날 경덕왕이다. 그런데 효성왕이 739년 3월 혼인을 했는데 739년 5월 파진찬으로 임명한 [[경덕왕|동생 김헌영]]을 [[왕태제]]로 책봉한다. 혼인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던데다가 효성왕의 [[나이]]가 혈기왕성한 [[청년]]기였으므로 [[후계자]]를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한 나이였는데도 지나치게 빨리 동생을 후계자로 책봉한 것은 좀 석연치 않은 부분. [[정치]]적 문제가 있었을 수도 있겠지만 [[수명]]이 짧았던 것을 보아 효성왕이 병약했기 때문이거나 [[생식]] 능력에 문제가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아무튼 [[진실은 저 너머에]]. 740년 파진찬 [[영종]]의 [[반란]]이 있었는데[* 파진찬이 여럿이거나 영종이 뒤를 이은 듯하다.] 반란의 원인은 영종의 딸이 효성왕의 [[후궁]]이 되어 왕의 총애를 받았는데 왕비 [[혜명부인]]이 이를 시기하여 그의 족당과 함께 후궁을 모살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단순히 투기 싸움에 의한 반란으로 치부될 수 있으나 이 때부터 [[태종 무열왕]]계가 이룩한 전제 [[왕권]]이 약화되기 시작했다는 연구 경향이 있다.[* 특기할 점은 효성왕의 비 [[혜명부인]]은 효성왕의 생모 [[소덕왕후]]의 여동생으로 효성왕의 이모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소덕왕후]]와 [[혜명부인]]은 모두 당대의 권신이었던 김순원의 딸이다. 이는 [[고려]] 전기의 제17대 [[인종(고려)|인종]]이 두 이모와 혼인한 것과 비슷하다. 그렇다면 효성왕이 즉위 이전이나 초년에 김순원을 견제하다가 오히려 김순원에게 압박받아 739년 [[혜명부인|이모]]와 혼인을 하고, 만약을 위해서 [[경덕왕|동생]]을 후계로 세운 것으로 보인다. 이후 자신의 편인 영종을 통하여 김순원의 세력을 꺾으려고 하였으나 실패하면서 2년간 [[허수아비]] 신세가 된 것으로 보인다.] 742년 왕이 젊은 나이에 죽자 유언에 따라 유해를 법류사 남쪽에서 화장하여 [[동해]]에 뿌렸다. == 여담 == * [[바둑]]과 관련된 기록들이 제법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관련 기록이 등장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738년 2월에 [[현종(당)|당 현종]]이 [[성덕왕]]의 사망 소식을 듣고 좌찬선 대부(左贊善大夫) 형도(邢璹)라는 인물을 신라로 파견했다. 이때 당 현종이 "신라인들은 바둑을 잘 둔다던데?"라며 형도에게 양계응(楊季膺)이라는 사람을 딸려 보냈는데 신라의 바둑 고수들이 모두 그에게 상대가 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나라는 기대소(棋待詔)라는 전문바둑선수 양성소를 국가가 운영했던 나라이기에, 현대 이전까지 바둑을 개개인이 게임으로서 즐기는 레벨이던 한국과 비교하면 이런 결과는 당연했던 건지도 모른다. >황제는 또한 우리 백성들이 바둑을 잘 둔다고 하여, 솔부병조참군(率府兵曹叅軍) 양계응(楊季膺)에게 조서를 내려 부관으로 같이 가게 하였는데, 우리나라의 바둑 고수들이 모두 그의 아래였다. >---- >'''《삼국사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704&categoryId=49615&cid=49615|제9권 <신라본기> 제9 -효성왕-]]''' * 《삼국유사》에는 효성왕이 [[태자]] 시절 바둑을 둔 [[에피소드]]가 남아 있다. 효성왕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신충(信忠)이라는 선비와 대궐 뜰 잣나무 아래에서 두었다고 한다. 이 때 효성왕이 >"내가 그대를 잊어버린다면 저 잣나무가 증거가 될 것이다." 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이후 효성왕이 왕위에 올랐을 때 공신들에게 상을 나눠주다 깜빡하고 신충의 이름을 빼먹게 된다. 그러자 신충은 잣나무에 신세 한탄하는 [[노래]]를 써서 붙였는데 잣나무가 갑자기 말라버렸다. 효성왕은 잣나무가 말라 비틀어진걸 보고 "무슨 일 있는지 조사해보라."고 하고 그 곳에 보낸 사람이 신충이 써붙인 노래를 가져오니 그제서야 효성왕이 "아차, 일이 바빠 그의 이름은 잊어버렸구나."라며 신충을 불러 벼슬을 주었다고 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효성왕 3년에 중시 의충이 죽고 난 이후 아찬 신충을 중시로 삼았다.] 그 때 지은 <원가>(怨歌)는 10구체 [[향가]]로 추정되나 마지막 2구를 제외한 8구만이 전해지고 있다. || 원문 || 해독 || 해석 || ||物叱好支栢史 秋察尸不冬爾屋支墮米 汝於多支行齊敎因隱 仰頓隱面矣改衣賜乎隱冬矣也 月羅理影支古理因淵之叱 行尸浪阿叱沙矣以支如支 貌史沙叱望阿乃 世理都之叱逸烏隱第也||갓 됴히 자시 ᄀᆞᅀᆞᆯ 안ᄃᆞᆯ 이우리 디매 너 엇뎨 니저 이신 울월던 ᄂᆞᄎᆡ 가ᄉᆡ시온 ᄃᆞ의여 ᄃᆞ라리 그르메 ᄂᆞ린 못ᄀᆞᆺ 녈 믌겨랏 몰의로디 다디 즈ᅀᅵᅀᅡᆺ ᄇᆞ라나 누리 모ᄃᆞᆫ갓 여ᄒᆡ온 ᄃᆡ여||질 좋은 잣나무가 가을에도 시들지 않듯이, 너를 어찌 잊으랴 하시던 우러르던 낯이 변하셨도다. 달 그림자 비친 연못 가에 지나가는 물결의 모래와 같이, 임의 모습 바라보지만 세상의 모든 것 잃어버린 처지로다.|| ||<-3>'''《[[삼국유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688&categoryId=49616&cid=49616|제5권 피은 제8 - 신충이 벼슬을 버리다]]''' || == 효성왕릉 == [[파일:효성왕 가릉.jpg]] 2017년 경주 황복사지 인근인 구황동 96번지 발굴 조사 결과 효성왕의 가릉[* 가짜 무덤.]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굴되었다. 효성왕 재위 시절에 사후를 대비해 왕릉을 조성하다가, 효성왕이 유언으로 화장을 요구하자 기존에 조성했던 왕릉을 폐기하고 화장했다는 것. == 《[[삼국사기]]》 기록 == [include(틀:삼국사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704&cid=62145&categoryId=62226|《삼국사기》 <효성왕 본기>]]''' 一年春二月 효성왕이 즉위하다 一年春二月 죄수를 사면하다 一年春三月 사정부의 승을 좌로 바꾸다 一年春三月 정종을 상대등으로 삼고 김의충을 중시로 삼다 一年夏五月 지진이 일어나다 一年秋九月 유성이 태미에 들어가다 一年冬十月 당에 갔던 사신 사찬 포질이 돌아오다 一年冬十二月 당에 사신을 보내다 二年春二月 당 현종이 성덕왕의 죽음을 조문하는 사신을 보내고 관작을 추증하다 二年春二月 당 현종이 사신 형숙을 보내 효성왕을 책봉하다 二年春二月 당 현종이 양계응을 부사로 삼아 신라에 보내다 二年春二月 효성왕이 당의 사신 형숙 등에게 보물과 약품을 주다 二年春二月 당에서 사신을 보내 왕비 박씨를 책봉하다 二年春三月 사신 김원현을 당에 보내 새해를 축하하다 二年夏四月 당의 사신 형숙이 《도덕경》 등의 책을 왕에게 바치다 二年夏四月 흰무지개가 나타나고 강물이 핏빛으로 변하다 三年春一月 효성왕이 사당에 참배하다 三年春一月 신충을 중시로 삼다 三年春一月 선천궁이 완성되다 三年春一月 당 사신 형숙에게 선물을 주다 三年春二月 김헌영을 파진찬으로 삼다 三年春三月 김순원의 딸 혜명을 효성왕비로 삼다 三年夏五月 김헌영을 태자로 책봉하다 三年秋九月 완산주에서 흰까치를 바치다 三年秋九月 여우가 월성 궁안에서 울다 四年春三月 당에서 사신을 보내 왕비를 책봉하다 四年夏五月 진성이 헌원대성을 침범하다 四年秋七月 여인이 정치를 비방하다가 사라지다 四年秋八月 파진찬 영종이 반역을 꾀하다 죽임을 당하다 五年夏四月 정종과 사인이 노병을 사열하다 六年春二月 동북쪽에 지진이 일어나다 六年夏五月 유성이 삼대를 침범하다 一年夏五月 효성왕이 죽다 효성왕부터 《삼국사기》 9권이 시작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신라 왕실)] [[분류:신라 국왕]][[분류:742년 사망]][[분류:경주 김씨]][[분류:경주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