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터미널)] ||<-5> [[영동고속도로|{{{#white 영동고속도로}}}]] {{{#ffffff 직행 시외버스 정류장}}} || ||<|2> [[진부시외버스터미널|진부]] ||<|2> ← ||<|2> '''횡계''' ||<|2> → ||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 || || [[주문진버스종합터미널|주문진]] || [목차] [[파일:횡계터미널.jpg]]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대관령로 78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를 위해 한차례 리모델링을 했다. 횡계시외버스공용정류장 하차구역 '''뒤에''' 시내버스 탑승 구역이 있다. 원칼국수 식당 앞에 BIS 단말기가 누추하게 있으며, 외지인들은 헷갈리기 십상이다. 해당 식당 오른쪽에 화장실이 위치해있으니 참고. 밑에 [[강릉선 KTX]]가 지나가나 기차역이 없어 서울 및 강릉행 수요가 기차역이 있는 진부보다 더 많다. 승객 중 2/3가 횡계에서 승하차한다는 뜻. 횡계시외버스공용정류장 하차장 앞에는 작은 편의점이 있고, 도로를 건너면[* 횡단보도가 멀다.] --시내버스에 못탄 외지인들을 위한-- 평창군 택시 임시정류소가 있다. 바가지를 씌우는건 아니니 안심. 물론 예외가 있을 수는 있다. == 노선 == [[고속버스]] 노선은 없다.[* 예전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기간 중 [[중앙고속]]과 [[동부고속]]이 1일 4회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횡계 노선을 임시로 운행한 적이 있다. 현재는 당연스레 폐선.] [[시외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모든 노선은 중간 경유지가 있어 이로인해 예매나 좌석지정이 불가능했었는데, 2020년 경부터 동서울, 원주행도 예매 및 좌석지정이 가능해졌고, 현재는 중간 경유지로 가는 경우에만 현장 구매 (좌석지정 불가) 다. 노선 및 시간표가 자주 바뀌니 주의가 필요. || 권역 || 행선지 || 경유지 || 배차간격 || 비고 || ||<|2> 수도권 || [[동서울터미널|동서울]] ||<|2> [[진부공용버스정류장|진부]], [[장평버스정류장|장평]] || 1일 12회 || 휴게소 무정차[* 장평에서 5분 휴식 후 바로 출발한다.] || ||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 || 1일 8회 || [[주문진버스종합터미널|주문진]]발. 휴게소 무정차[* 장평에서 5분 휴식 후 바로 출발한다.] || ||<|4> 강원권 || [[원주시외버스터미널|원주]] || 진부, 장평, 둔내[* 일부시간대에만 경유] || 1일 18회 || 1일 3회 둔내경유 || ||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 || 무정차 || 수시운행[* 평창군 홈페이지에 [[http://tour.pc.go.kr/?r=home&c=5/37/56|실제로 그렇게]] 적혀있다! 사실 실제 터미널에는 A4용지로 시간표가 붙어 있기도 하지만, 영동고속도로의 정체 상황에 따라서 이 시간표라는게 사실상 의미가 없고(특히 주말 동서울발의 경우 1시간 이상 연착되는 경우도 허다함), 그래서 그냥 들어오는대로 손님 내리고 탄 다음 바로 출발하는 방식이라 굳이 시간표를 적지 않는 것이다. 그에 비해 원주, 서울 방면의 경우 출발 터미널로 부터의 거리가 가깝고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한 정체구간이 없기 때문에 거의 시간표 대로 운행한다.][br](20~40분) || 공식적으로는 1일 29회 || || [[주문진버스종합터미널|주문진]] || 무정차 || 1일 5회 ||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발 || === 농어촌버스 === [[진부시외버스터미널]] 소속 차량이 [[평창 버스 240|240번]]으로 횡계에 도착하여 [[평창 버스 440|440번]] (양떼목장), [[평창 버스 441|441번]] (알펜시아), [[평창 버스 442|442번]] (용평)으로 운행하고, [[평창 버스 420|420번]]으로 진부로 돌아간다. [[파일:횡계터미널_230420.jpg]] [[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터미널]][[분류:평창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