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양천구 갑|{{{#cfa547 양천구 갑}}}]])'''}}} || || 제19대[br][[길정우]] || → || '''제20-22대[br]황희''' || → || ''현직'' || || {{{#fff '''황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문화체육관광부장관)]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 }}} || ||<-2> '''[[문화체육관광부장관|{{{#fff 대한민국 제5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2> '''대한민국 제20-22대 국회의원[br]{{{+1 황희}}}[br] 黃熙 | Hwang Hee''' || ||<-2> [[파일:황희의원.jpg|width=100%]] || ||<|2> '''출생''' ||[[1967년]] [[7월 28일]] ([age(1967-07-28)]세) || ||[[전라남도]] [[목포시]] || || '''거주지'''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울)|목동]] [[목동신시가지아파트]] 6단지 || || '''현직''' ||[[제22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양천구 갑]] 지역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국제위원회 위원장 || ||<|2> '''재임기간''' ||제5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2021년]] [[2월 11일]] ~ [[2022년]] [[5월 13일]] || || '''링크''' ||[[https://blog.naver.com/hwanghee67|[[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yAaEPNKA40nIgQJkRal0X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facebook.com/sebhwa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녀''' ||슬하 1녀 || || '''학력''' ||황지국민학교 {{{-2 ([[전학]])}}}[br][[서울목동초등학교|서울목동국민학교]] {{{-2 ([[졸업]])}}}[br]장훈중학교 {{{-2 (졸업)}}}[br][[강서고등학교]] {{{-2 (졸업)}}}[br][[숭실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r][[연세대학교/대학원|연세대학교 대학원]] {{{-2 ([[도시공학]] / [[박사]][* [[석박사 통합과정]]. [[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5111852|#]]])}}} || || '''병역'''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일병]] 복무만료[* [[소집해제]]] {{{-2 (독자)}}}[br]{{{-2 ([[1988년]] [[4월 18일]] ~ [[1988년]] [[10월 17일]])}}} || || '''신체''' ||179cm || ||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세바스티아노]])}}}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지역구''' ||[[서울특별시|서울]] [[양천구 갑]]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제22대 국회의원|'''22''']] || || '''소속 위원회''' ||[[국방위원회]] || || '''경력'''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 비서[br][[노무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행정관[br][[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실 행정관 {{{-2 ([[참여정부]])}}}[br][[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행정관 {{{-2 (참여정부)}}}[br][[민주당(2008년)|민주당]] 상근부대변인[br][[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노무현재단]] 기획위원[br][[박원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선대위 정책특보[br][[강원특별자치도지사|강원도지사]] 정무특보 {{{-2 ([[최문순|최문순 도정]])}}}[br][[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뉴파티위원회 위원[br][[제20대 국회의원]] {{{-2 ([[양천구 갑|서울 양천구 갑]]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주거복지특별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홍보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br][[제21대 국회의원]] {{{-2 (서울 양천구 갑 / [[더불어민주당]])}}}[br]제5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2 ([[문재인 정부]])}}}[br][[제22대 국회의원]] {{{-2 (서울 양천구 갑 / [[더불어민주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제5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자 제21대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특별시]] [[양천구 갑]])이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부동산, 도시 분야의 전문가로 손꼽힌다. == 생애 == [[1967년]] [[7월 28일]],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강원도]] [[삼척군]] [[황지동|황지읍]](현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황지동]])으로 이주하여 황지초등학교에 입학했고, 3학년 때까지 [[https://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3462|다녔다]]. 이후 [[서울특별시]] [[양천구]][* 당시는 강서구였다.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에서 [[양천구]]가 분구된 것은 1988년이었다.]로 이주하여 [[서울목동초등학교]], 장훈중학교, [[강서고등학교]], [[숭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에서 [[석박사 통합과정]]을 통해 [[도시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숭실대학교]] 재학 중이던 1988년 4월 18일 [[대한민국 육군|육군]]에 [[독자]] 사유로 인한 [[방위병]]으로 입대하여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에서 [[소총수]]로 복무하였으며, 1988년 10월 17일 [[일병]]으로 [[소집해제]]되어 병역을 마쳤다. === 정치 경력 ===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의 비서로 정치계에 입문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행정관을 지냈으며, [[참여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 정무, 홍보 수석실 행정관으로 근무했다. 이후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총선]]에서 [[경기도|경기]] [[안산시 단원구 을]]에 예비후보에 등록 하고 경선에 진출 했지만 현역 [[제종길]]에게 밀려 탈락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민주당(2008년)|민주당]] 중앙당 상근 부대변인을 지냈고,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박원순]] 당시 [[서울시장]] 선대위 정책특보를 맡아 활동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총선]]에서는 [[경기도|경기]] [[안산시 단원구 을]]에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경선에 진출했지만 경기도의원 출신이자 [[천정배]]계인 [[부좌현]]에게 밀려 탈락 하였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18대 대선]]에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대선 선대위 민주캠프 기획조정팀장으로 [[문재인]] 캠프에 참여했다. 2015년에는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 제20-21대 국회의원 ====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누리당]] [[이기재(1968)|이기재]] 후보[* 과거 양천구 갑 국회의원이었던 [[원희룡]] 전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의 측근. 이후 [[원희룡]]을 따라 [[바른정당]]-[[바른미래당]]으로 당적을 옮겼으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에서 [[양천구청장]]으로 당선되었다.]를 꺾고 당선되었다. 양천구 갑 선거구의 황희 후보의 당선은 특히나 화제가 되었는데, 그동안 선거에 출마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는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양천구 갑 지역에는 민주당계 의원으로는 '''1988년 이후 최초로'''[*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소속의 [[양성우(시인)|양성우]]가 당선된 이후 [[민주당계 정당]]은 양천구 갑에서 '''28년 동안'''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당선됐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하던 목동 [[행복주택]] 사업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반감을 산 데다, 본인이 양천 토박이 + 도시공학 박사 출신이라면서 지역 현안인 [[재건축]] 문제 해결의 적임자임을 어필했던 것이 승리의 원인으로 보인다.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후 대미 특사단에 [[홍석현]] 전 [[주미대사]]와 함께 포함되었다. [[박원순]] 당시 [[서울시장]]을 10여 차례 찾아가 설득한 끝에, 2020년 1월에 목동아파트 1~3단지를 2종 일반주거구역에서 3종 일반주거구역으로 변경해 용적률 200%→250% 상향을 이끌어냈다.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2001016138i|#]] 2020년 3월 27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내 강남, 서초, 송파, 용산, 분당 지역 출마자들과 같이 1세대 1주택자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인하를 주장하기도 했다.[[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34503.html|#]] 그러나 종부세 인하 주장을 한 수도권 민주당 11명 후보들 중 당선된 사람은 본인과 [[성남시 분당구 을]]의 [[김병욱(1965)|김병욱]] 단 둘뿐이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양천구 갑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지역의 정치 성향이 보수적인 데다가 [[문재인 정부]]의 [[문재인 정부/평가/경제/부동산 정책|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만이 많았지만, 의사 + 검사 출신으로 자객공천된 [[송한섭]] [[미래통합당]] 후보의 지역 연고가 없었고, 본인이 재건축을 비롯한 지역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4년간 열심히 뛴 것이 지역 주민들에 인정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국방위에서 여당 간사를 맡고 있다. 2020년 6월 12일, 자신의 지역구에서 호재가 터졌다. [[목동신시가지아파트|목동아파트]] 6단지가 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재건축]]에 착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612151051003|#]] 그러나 2020년 10월, 목동아파트 9단지가 재건축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못했다. 그리고 재보선을 앞둔 2021년 3월에는 11단지도 안전진단에서 최종 탈락했다. 재보선 전까지 안전진단을 최종 통과한 곳은 6단지 1곳뿐이었다. 안전진단 여파와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부동산 투기 사건|LH 사태]] 등이 함께 맞물리면서,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자신의 지역구인 [[양천구]]의 모든 동에서 압승을 거뒀다. 재건축에 진전이 없다면 3선은 쉽지 않을 것이다.[* 지역구인 양천구 갑에 한정하면 [[오세훈]]이 무려 61.54%를 득표했다.] 2022년 3월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윤석열]] 후보가 [[양천구]]에서 접전 끝에 승리하였다.[* [[이재명]] 46.39 vs '''[[윤석열]] 50.13'''] 특히 지역구인 양천구 갑은 [[양천구 을|옆 동네]]와 달리 [[윤석열]] 후보가 넉넉한 표차로 낙승하여[* [[이재명]] 42.06 vs '''[[윤석열]] 54.69'''] 사실상 작년 재보궐선거와 비슷한 표심으로 이어졌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역시 양천구 갑에서 [[국민의힘]] 소속 [[오세훈]] [[서울시장]]이 '''62.80%''', [[이기재(1968)|이기재]] 양천구청장 후보가 '''59.33%'''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리고 지역구 시의원 선거도 전부 [[국민의힘]]이 석권하였고, 특히 진보세가 더 강한 양천구 을을 낀 양천구 전체로 놓고 봐도 시의회 비례대표 선거는 국민의힘이 승리하였다.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2021년 1월 20일,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 내정되었다. 후술된 논란으로 인해 청문회에서 큰 비판을 받았으나, 2월 10일 당시 야당인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단독으로 보고서가 통과되어 야당의 동의 없이로는 29번째로 임명되었다. 이후 2월 10일,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안을 재가하면서 11일부터 임기가 시작됐다.[[https://www.news1.kr/articles/?4209641|#]] [[2020 도쿄 올림픽]] 및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하였다. 2022년 석가탄신일에 [[조계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67319|축사를 대독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양천 갑에 공천을 확정지으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인 [[구자룡(변호사)]] 후보와 맞붙게 되었다. 문체부 장관에 재선 의원을 지낸 황 후보의 우세가 예측되었으나, 본선에서는 치열한 접전이 펼쳐졌다. 57 대 42 정도로, 지난 21대 총선과 비슷한 정도로 우세를 점할 것이라 예측한 출구조사 결과와는 달리 실제 개표 상황은 좋지 않았다. 개표 중후반까지 구자룡 후보가 앞서가다가 표 차이가 좁혀지더니 오전 12시 반쯤 개표율이 84% 정도 되었을 때 표차는 60여 표까지 줄었다. 하지만 표 차이는 다시 증가하여 6~700여 표까지 늘어났다.[* 이런 상황에 서울 서부에선 영등포 을과 마포 갑에 이어서 양천 갑 이렇게 3곳이 국민의힘 지역구 1위 지역이었다. 그리고 새벽 1시경, 약 88% 정도 개표가 진행되었을 때, 개표 방송과 네이버 선거 현황에서 모두 이 이후로 상황이 업데이트 되지 않았고, 새벽 2시경에 [[https://m.nocutnews.co.kr/news/6127478|노컷뉴스 기사]]로 황희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결국 후반에 황희 후보가 역전하며 최종 2000여 표 차이로 당선되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황희(정치인)/논란 및 사건 사고)] == 저서 == || [[파일:external/bookthumb.phinf.naver.net/06245563.jpg|width=100%]] || || [[노무현|님]]은 갔지만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참여정부]] 출신 인원들과 공저.]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245563|네이버 북]] || == 여담 == * 이름이 [[조선]]시대 명재상인 [[황희(조선)|황희]]와 [[동명이인]]이라 선거에 출마했을 때부터 화제가 되었다.[* 단, 황희 정승은 기쁠 희(喜)자고, 본 문서의 황희는 빛날 희(熙)자다.] 후보 스스로도 이름 덕에 고령층에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을 정도. 그리고 그 [[이름값]]을 못한다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비리를 일으키지 않게 조심하면서 열심히 지역구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https://m.mk.co.kr/news/culture/view/2016/08/564387/|#]] 그러나 문체부장관으로 내정된 이후 각종 의혹이 제기되면서 황희 정승과는 결이 달라보인다는 비판이 제기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48&aid=0000318391|#]] 이름 말고도 어릴 때부터 정치에 관련된 사건들을 눈으로 직접 목격하다 보니 자연히 정치에 관심이 생겼다고 한다. [[http://www.thevoiceofus.co.kr/mobile/article.html?no=2359|#]] * 국민학교 저학년 때 잠시 [[강원도]] [[태백시]]에서 산 적이 있다. 다시 [[서울]]로 돌아와서 목동초등학교(3회), 장훈중학교[* 현재는 폐교되었다. 하지만 같은 재단 산하의 [[장훈고등학교]]는 2021년 현재도 존속하고 있다.](29회), [[강서고등학교]](1회)를 졸업했다. * 모교인 [[강서고등학교]]에서 초빙 강연을 하며 [[청와대]]에서 근무할 당시 일화를 학생들에게 소개한 적이 있다. 황희가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할 때 이야기인데, [[2007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육로 방북 과정에서 노 전 대통령에게 [[군사분계선]]을 차량이 아닌 도보로 건널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분단 이후로 처음으로 한국 대통령이 육로로 방북 한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보니 차량이 아니라 직접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어가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것 같아 그랬다고. 실제로 이 건의는 받아들여졌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차에서 내려 영부인 [[권양숙]] 여사와 함께 [[군사분계선]]을 도보로 건넜다. 이후 이를 추진한 실무진들은 포상을 받았지만, 정작 이를 제안했던 자신은 [[청와대]]에서 나온 이후라서 아무것도 못 받았다고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아쉬워하기도 했다. * 한때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선거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http://m.kukinews.com/m/m_article.html?no=527767|관련 기사]] *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자신의 출마지를 두고 여러 선택지를 놓고 물색할 때 그를 비판하면서도 반겼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696763|"당선 가능성이 있는 험지를 고른다는 것은 뜨거운 아이스 커피 같은 소리"]][[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1081855363921|"황교안, 정치에서는 나보다 한참 후배지만 25년간 경험을 쏟아부어 최선을 다해 상대해 드릴게"]] 험지 중 험지에 가겠다는 [[황교안]]의 말과 달리 [[양천구 갑]]은 상술했듯 보수 정당의 험지라고 볼 수는 없는 곳이다. * 본인이 도시공학과 박사 출신인 데다가 실제로 자신의 지역구에 [[목동신시가지아파트|목동아파트]]가 있는 관계로, [[친노]]+[[친문]] 계열임에도 [[부동산]] 현안 관련 입장은 정부 여당의 기조와 차이가 크다. 지역의 주요 화두인 [[재건축]]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인하에도 찬성하는 입장이다. 또 집값을 잡기 위해 '''[[서울]]에서 80층짜리 아파트가 들어서야 한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아파트 층수를 35층으로 규제하고 있다.]고 인터뷰하기도 했으며, 그러면서도 공공임대주택 의무(10~20%)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부분은 정부의 기조와 큰 차이가 없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1/41864/|#]] * 문체부 장관 재직 중 [[김규철(공공기관장)|김규철]]을 게임물관리위원회장으로 임명하였다. [[대한민국 게임계 검열 집단민원 사태|대한민국 게임계 검열 집단민원 사태]] 게임 질병화 세력 중 하나인 중독상담학회장도 위원 자리에 위임되어 있다. * 20,21,22대 국회 임기 때 모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이름을 가나다로 나열할 시 가장 마지막 의원이 되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3> 서울 [[양천구 갑|양천 갑]]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66,945 (52.12%)''' ||<|3> '''당선 (1위)''' || '''초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78,196 (51.85%)''' || '''재선'''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71,285 (49.78%)''' || '''3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황희 20총.jpg|width=100%]] || [[파일:황희 21총.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0대 총선}}}]] [[양천구 갑|{{{#000,#fff (서울 양천구 갑)}}}]]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1대 총선}}}]] [[양천구 갑|{{{#000,#fff (서울 양천구 갑)}}}]]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2대 총선}}}]] [[양천구 갑|{{{#000,#fff (서울 양천구 갑)}}}]] ||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7 - 2000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2008 || 탈당[*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복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현재 || 당명 변경 || == 둘러보기 == [include(틀: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목포시 출신 인물]][[분류:1967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제22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강서고등학교 출신]][[분류:숭실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문화체육관광부장관]][[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육군본부 직할부대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