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2작전사령관)] ||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제8군단장)] [include(틀:제51보병사단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52775, #2e3192 20%, #2e3192 80%, #252775)" '''[[제2작전사령관|{{{#FFF 대한민국 제43대 제2작전사령관}}}]][br]{{{#fff {{{+1 황인권}}}[br]黃仁權 | Hwang In-kwo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황인권 2작전사령관.jpg|width=100%]]}}} || ||<|2> {{{#fff '''출생'''}}} ||<(> 1963년 || ||<(> [[전라남도]] 보성군 || ||<|2> {{{#fff '''복무'''}}} ||<#f5f5f5,#1f2023><(> [[대한민국 육군]] || ||<(> 1983년 ~ 2020년 || ||<|2> {{{#fff '''재임기간'''}}} ||<#f5f5f5,#1f2023>제43대 [[제2작전사령관]] || ||<(> 2018년 10월 5일 ~ 2020년 9월 23일 || ||||<:><#FFF,#2d2f34>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fff '''배우자'''}}} ||<(> 강현숙 || || {{{#fff '''자녀'''}}} ||<(> 슬하 2남 || || {{{#fff '''학력'''}}} ||<(> [[광주석산고등학교]] {{{-2 (8회 / 졸업)}}}[br][[호남대학교]] {{{-2 (졸업)}}}[br][[충남대학교/대학원|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 (안보학[* 국가안보정책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83d417fd294251af&keyword=%EB%8F%99%EB%B6%81%EC%95%84%EC%A7%80%EC%97%AD%20%EA%B5%B0%EC%82%AC%ED%98%91%EB%A0%A5%EA%B4%80%EA%B3%84%EC%99%80%20%ED%95%9C%EB%B0%98%EB%8F%84|동북아지역 군사협력관계와 한반도]] (2003. 02.)])}}} || || {{{#fff '''소속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 '''임관'''}}} ||<(> [[육군3사관학교]] {{{-2 (20기)}}} || || {{{#fff '''최종계급'''}}} ||<(> [[대장(계급)|대장]] || || {{{#fff '''최종보직'''}}} ||<(> [[제2작전사령관]] || || {{{#fff '''주요보직'''}}} ||<(> [[제8군단장]][br][[제51보병사단]]장[br][[육군3사관학교]] [[생도대장]][br][[제8군단]] [[참모장]][br][[수도군단]] [[작전참모]][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연습훈련계획과장[br][[제3야전군사령부]] 검열과장[br][[제8기동사단|제8보병사단]] 제10보병[[연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최종 계급은 대장이며 [[제2작전사령관]]직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국방안보특별위원장이다. == 생애 == [[전남]] [[보성군]] 회천면 출신으로 [[광주석산고등학교]](8회)와 [[호남대학교]] 법률실무학과(81학번)를 거쳐 [[육군3사관학교]]를 20기[* 동기생 중 가장 유명한 이가 절절포로 유명한 [[서정열]] 前[[육군3사관학교|3사관학교]]장이었다. 참고로 서정열 장군은 동기생들 중 진급이 가장 빨랐고 소장 진급 전까진 황인권 장군보다 서정열 장군이 더 빨랐다. 하지만 중장 이후 입장이 뒤바뀌어서 서정열은 끝내 중장 진급이 좌절되어 소장으로 전역했고 황인권 본인은 대장으로 진급했다. 서정열 소장은 포병 출신이라 진급이 힘들었다.]로 졸업하고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대령]] 시절 [[제8기동사단|제8보병사단]] 10[[연대장]], [[제3야전군사령부]] 감찰참모부 검열과장,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연습훈련계획과장, [[수도군단]] [[작전참모]]를 역임했고, [[준장]] 시절에는 [[육군3사관학교]] [[생도대장]]과 [[제8군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소장(계급)|소장]]으로 무려 5차에 진급한 후 [[제51보병사단]]장,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8군단]]장을 역임했다. 2018년 10월 1일,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으로 자리를 옮긴 [[박한기]] 대장의 뒤를 이어 [[제2작전사령관]]에 임명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2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황인권 중장을 대장으로 진급시키고 육군 [[제2작전사령관]]에 임명했다. 전임자인 박한기 장군만큼은 아니지만, 지역방위사단장을 역임했던 만큼 후방 작전을 담당하는 제2작전사령관으로서의 자격은 충분하다는 평가. [[학생군사교육단|학군사관후보생]] 출신 박한기 대장에 이어 3사 출신의 황인권 장군을 제2작전사령관으로 임명하면서, 국방개혁 동력의 강화를 위해 기존 기득권 세력인 [[육군사관학교|육사]] 출신들의 영향력(입김)을 줄이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의지가 재확인되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youtube(czSjnnVV2p0)] 2018년 10월 5일 제43대 육군2작전사령관으로 취임했다. 2018년 10월 11일 청와대에서 대장 진급 신고를 하였다. 이날 박한기 합참의장의 보직변경 신고도 같이 실시하였다. --8군단장 정모--[* 황인권 대장 전임 8군단장이 박한기 대장이었으며, 8군단장 다음 보직이 제2작전사령관인 것까지 똑같다. 사실 이건 8군단장과 2작사령관이 둘 다 구색 맞추기로 진급한 비육사들을 자주 보임시키는 비주류 보직이기 때문이다. 육사 출신 중에서도 작전통 선두주자는 중장은 1•5군단장과 수방사령관, 대장은 3군사령관과 연합사부사령관이다.] 2020년 10월 초에 [[박한기]] 합참의장과 함께 임기가 만료된다. 육사 - 비육사 출신에 관계없이 기회 균등을 표방하는 [[문재인 정부]]에서 첫 비 [[육군사관학교]] 출신 육군참모총장의 탄생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참모총장 경쟁자인 [[남영신]] [[지상작전사령관]]은 2019년 [[삼척항 목선 귀순 사건]] 발생으로 국방부로부터 엄중경고를 받았고, [[북한이탈주민 강화도 경유 월북 사건]]까지 터지는 바람에 감점 요소가 있다. 황인권 대장 본인도 2작사 예하 [[제32보병사단]]에서 발생한 [[태안 보트 밀입국 사건]]이 마이너스 요소다. 2020년 8월 28일 [[서욱]] 육군참모총장의 국방부 장관, 같은 달 31일 [[원인철]] [[공군참모총장]]의 [[합동참모의장]] 지명되면서 육군 대장 보직 4석[* [[육군참모총장]], [[지상작전사령관]], [[제2작전사령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 모두 새 얼굴로 채워지며[* 해군은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이 2020년 봄에 임명되었다. 해병대는 군인사법 개정으로 [[이승도]]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의 대장 진급의 길은 열렸으나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육사 42기[* [[김승겸]]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안영호]]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참]] 작전본부장, [[김정수(육군)|김정수]]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김성일(육군)|김성일]] [[국방대학교]] 총장, [[정진경]] [[육군사관학교]]장 등. 육사 42기와 동기급인 3사 21기와 학군 24기에서는 중장이 없다.]의 대장 진급 및 보직이동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2020년 9월 21일, 후임 제2작전사령관에 전 지작사 참모장이었던 [[김정수(육군)|김정수]] 중장이 영전, 임명되었으며, 이틀 후인 9월 23일, [[제2작전사령관]] 이취임식 및 축하연 후 전역하였다. === 전역 이후 === 2021년 2월 19일, 3사관학교 58기 입학식 당일 모교인 육군3사관학교 석좌교수로 임용되었다. 역시 모교인 호남대학교 초빙교수로도 임용됐다.[[http://www.ihop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026|#]] 2021년 9월 10일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대선 예비후보]]인 [[경기도지사]] [[이재명]]의 [[열린캠프]]에 합류하였다.[[https://www.facebook.com/photo/?fbid=6095301723844939&set=a.157686954273142|#]] [[열린캠프]] 스마트강군위원회 소속으로 위원회에는 [[박종진(군인)|박종진]], [[김운용(군인)|김운용]], [[황인권]](이상 [[대장(계급)|대장]])[* 세 명은 [[열린캠프]] 스마트강군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 [[최현국]], [[모종화]], [[고현수]], [[정항래]], [[김성일(육군)|김성일]](이상 [[중장]]) 등 장성급 인사들이 대거 들어왔다. 국방부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한 김정섭, 여석주 전 국방부 정책실장 등 국방부에 몸담은 사람들도 참여하고 있다. 2023년 5월 4일 [[더불어민주당]] 국방안보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같은 4성 장군 출신인 [[김병주]] 의원과 [[이철휘]] 전 [[제2작전사령관]]과 함께 공동위원장에 임명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921428?sid=100|#]] == 경력 == * '''대령''' * [[제8기동사단|제8보병사단]] 제10보병연대장 * [[제3야전군사령부]] 감찰실 검열과장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연습훈련부 연습훈련계획과장 * [[수도군단]] [[작전참모]] * '''준장''' * [[제8군단]] [[참모장]] * [[육군3사관학교]] [[생도대장]] * '''소장''' {{{-2 2015년 10월 5차 진급}}} * [[제51보병사단]]장 {{{-2 (2015.10 ~ 2017.09)}}} * '''중장''' {{{-2 2017년 9월 2차 진급}}} * [[제8군단]]장 {{{-2 (2017.09 ~ 2018.10)}}} * '''대장''' {{{-2 2018년 10월 1차 진급}}} * [[제2작전사령관]] {{{-2 (2018.10 ~ 2020.09)}}}[* 전임자 [[박한기]], 후임자 [[김정수(육군)|김정수]]] == 여담 == * 독서를 상당히 강조하는 편으로 51사단장 재임 시절 '讀한 부대'라는 캠페인을 열었다.[* 15년 6월군번 51사단 예하 화성-평택 경계부대를 기준으로 매주 1회 이상의 독서 활동을 진행하도록 하였으며(보통 정신교육 훈련 일정이 있는 수요일이나 탄낱발실셈과 정비 일정이 있는 금요일에 했었다), 경계부대 각 소초에 진중문고 개선 및 설치, 인접 도서관에서 도서 대여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후감 5권 작성시 짧은 일수의 포상휴가를 지급하고 부정기적으로 사단 내 다독왕을 선발해서 4박 5일 사단장 포상을 지급했는데 66개 작성으로 입상권에 들어가지도 못할 정도로 경쟁이 꽤 심했다.][* 독서 이외에도 군 내부에서 공부하는 것을 매우 장려하였는지, 사단 내 2017 수능 도전자 7명에게 전부 수능 격려 포상으로 4박 5일씩을 붙여주기도 했다.] 독서에 대한 강조는 2작전사령관 취임 이후에도 마찬가지인지 취임하자마자 2작사 직할부대를 대상으로 오후 13시부터 13시 20분까지 전 장병이 열외없이 독서를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 회의 시에 농담을 하며 편안한 분위기로 회의를 이끌어가는 편이지만, 보고 시에는 확실한 이유가 있는 것을 좋아한다. 참모가 이유를 대지 못하면 보좌관순으로 내려가면서 이유를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다. * 훈련은 FM대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단장 시절 사령부 간부 모두가 위장을 하지 않을 때 사단장 본인이 위장을 먼저함으로써 사령부 간부 전체를 당황하게 만들기도 했다. ~~자신은 위장 안 해도 될 거라고 좋아하던 사단장 무전병도 같이 위장했다.~~ * 51사단장으로 재직중이던 2017년 2월 전역자부터는 신교대 기수별로 전역자들을 사단 신병교육대에 소집하여 전역자 집체교육 후 사단장에게 전역 신고를 하도록 하였는데[* 전역 전날 자대에서 전역신고를 한 뒤 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집체교육 후 전역 당일 사단장에게 한번 더 전역신고 및 환송식을 하였다.] 같은해 9월 중장 진급 및 [[제8군단장]]으로 영전하면서 2017년 11월 전역자부터는 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집체교육을 하지 않고 자대에서 전역신고를 하였다. * [[제51보병사단]]장과 [[제8군단]]장을 역임할 적에는 임기 중에 진급하여 이임식 없이 임기를 마쳤는데, [[제2작전사령관]]에 와서야 마지막 이임식을 하고 전역하였다. * [[제51보병사단]]장으로서는 15대 [[권태오]] 사단장(3사 13기) 이후 오래간만의 중장 진급자이며, 10대 이희원 사단장(육사 27기) 이후 오래간만의 대장 진급자이다.[* 이희원 사단장에서 권태오 사단장 사이의 문영환(육사 28기), 조영래(육사 29기), 권용원(육사 31기), 명충식(3사 9기) 사단장과 권태오 사단장 이후의 배봉원(육사 37기), [[장광현]](육사 39기), [[김일수(군인)|김일수]](육사 41기) 사단장, 그리고 본인 이후의 [[김만기(군인)|김만기]] 사단장 직무대리와 [[김인건]] 사단장은 소장 전역하였다.] * [[서욱]] 장군(육사 41기)보다 대장 진급을 먼저 했음에도, 서욱 장군이 [[육군참모총장]]에 보임되어 족보가 꼬였다. 상호간 존중해주는 걸로 보인다. 임관년도상으로는 [[박한기]] 합동참모의장과 임관동기지만 육군3사관학교 1998년 이전 임관자의 경우 소위 임관 후 2년간 학사학위 [[위탁교육]]을 받았기에 사실상 육사 41기, 학군 23기와 임관동기로 간주된다.[* 본인의 3사 선배이자 중장시절 직속상관이었던 [[박종진(군인)|박종진]] 장군(3사 17기) 역시 함께 진급한 [[김용우(1961)|김용우]] 장군(육사 39기)보다 임관년도(1980년)나 기수(학사학위 위탁교육으로 육사 38기, 학군 20기와 동기)상으로 선배이지만 김용우 장군이 [[육군참모총장]]에 보임되고 본인은 [[제1야전군사령관]]에 보임되면서 족보가 꼬이고, 1년 후 역시 같이 진급한 [[박한기]] [[제2작전사령관]](학군 21기, 육사 39기와 임관동기이다.)이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하면서 또한번 족보가 꼬이게 되어 결국 그해 12월 31일 [[제1야전군사령부]]의 해체와 함께 전역하였다.] [[분류:제2작전사령관]][[분류:1963년 출생]][[분류:보성군 출신 인물]][[분류:광주석산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3사관학교 출신]][[분류:충남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장수 황씨]][[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