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양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2> '''{{{#000,#fff {{{+1 황열병바이러스}}}[br]Yellow fever vir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병명''' ||'''황열병, 황색기[* 황색기(yellow jack, 황열병 환자 수송 배를 말함.)], 황역'''|| ||<-2> '''분류''' || || {{{#000 '''미분류'''}}} ||[[바이러스]]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문 이름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강 이름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목 이름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플라비바이러스과(Flavivi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황열병바이러스 || ||<-2> '''특징''' || || '''분포 지역''' ||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 || '''숙주''' ||사람 || || '''백신''' ||'''약독화 생바이러스 백신''' || [목차] [clearfix] == 개요 == 황열병바이러스는 플라비바이러스과(Flviviridae)에 속하는 양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다. 최초로 발견된 사람 바이러스이고, 게놈 분석을 해보니 약 11,00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였다. 1개의 다단백질로 10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할 수 있다. == 역사 == 16세기 이전에는 [[황열병]]은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풍토병]]에 지나지 않았다. 어릴 때부터 황열병바이러스에 노출되어서 많은 사람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있었다. 17세기 [[노예 무역]]이 성행하면서 황열병바이러스는 [[동아프리카]]에서 [[서아프리카]]로 이동했다가 [[남아메리카]]로 넘어가 나중에는 [[북아메리카]]까지 번졌다. 황열병은 노예 무역을 더욱 부추겼다. 미국의 신개척 지대에는 황열병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노동자가 필요했어서 이 지역에서는 동아프리카 출신의 노예만 있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20세기 초반까지 황열병 유행을 수차례 겪었다. 세균학자 월터 리드는 황열병바이러스가 [[모기]]에서 감염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황열병바이러스는 최초로 보고된 모기 매개 바이러스(mosquito-borne virus)였다. 1905년 이후 북아메리카에서는 황열병은 없어졌지만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를 포함한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황열병은 매년 3만 명의 생명을 앗아가는 전염병이다. == 증상 ==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은 단기간 이주 경미한 [[독감]] 유사 증상을 경험한다. 감염자의 15%는 2차 감염기를 겪는데 치사율이 매우 높다. 2차 감염기에는 다시 열이 오르면서 [[복통]]이 일어나고 심각한 간 손상으로 인해 [[황달]](jaundice, yellow skin)이 발생한다. 황열이라는 이름도 황달의 특성을 따서 붙은 것이다. 중증일 때 치사율은 50%까지 치솟는다. == 감염 경로 == 황열병바이러스는 [[이집트숲모기]](황열모기)와 [[흰줄숲모기]]를 통해 감염된다. 그리고 이 바이러스에는 도시 주기와 숲 주기가 있는데, 도시 주기에서는 모기와 사람 사이에서 감염을 일으키지만, 숲 주기에서는 모기와 사람 외의 [[영장류]] 사이에서 감염을 일으켜 바이러스를 근절시킬 수 없다. == 백신 == 1937년 황열병 예방을 위한 약독화 생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되어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널리 사용되었다. 2006년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대대적인 백신접종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에볼라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며 차질을 빚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