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황성빈)] [목차]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성빈하이파이브.jpg|width=100%]]}}} || [[황성빈]]의 선수 경력을 다룬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iOQKg4DxfE)]}}} || || ▲ 경남대 시절 더그아웃 매거진과의 인터뷰 || 소래고 시절 통산 기록은 38경기 151타석 126타수 35안타 0홈런 9타점 39도루 21득점 타출장 0.278 0.378 0.302 을 기록했으며 [[경남대학교 야구부|경남대학교]]로 진학해 3할 후반 ~ 4할대의 고타율과 통산 85도루를 기록하는 대도로 성장했다. 경남대 시절 통산기록은 70경기 314타석 270타수 111안타 1홈런 43타점 85도루 72득점 타출장 0.411 0.479 0.541. 2019년 9월 27일 계약금 7000만 원에 계약을 마쳤다.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360|기사]] 이후 10월 [[아시아 야구 연맹]]에서 주최하는 2019 아시아 야구 선수권대회에 출전해 조별 예선에서 리드오프로 나와 3경기 12타수 5안타 (1, 2루타) 2볼넷 2도루 2타점 3득점 1삼진을 기록했고, 수비도 외야 전 포지션을 소화하며 무난한 모습을 보였다. 허나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였던 [[필리핀]]전 경기 초반에 헤드퍼스트 슬라이딩을 하다 부상을 입었는지 이후 슈퍼라운드에서는 출장하지 못한 채 벤치만 지켰다. 특히나 [[중국]]전에서 기습번트와 허슬플레이로 내야안타 2개를 기록했었기에 황성빈을 출전시킨 것만으로도 미숙한 중국의 플레이를 조금이나마 경직시킬 수 있었을 것을 생각하면 그의 슈퍼라운드 부재가 아쉬웠다는 평.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2020 ~ 2021 시즌 === 지명 당시부터 [[나경민]]과의 경쟁 상대 혹은 대체자로 뽑았을 거라는 소리가 많이 나왔으며 시즌이 끝나고 나경민이 플레잉 코치가 됨에 따라 나경민의 롤을 그대로 이어받을 것으로 보인다. 허나 엄청나게 많아진 경쟁자들과 병역 해결 문제가 시급한 대졸이라는 특성, 이 2가지 요인 때문인지는 몰라도 신인치고 굉장히 빠른 시기에 입대를 결정했다. 그것도 지명받고 단 한 시즌도 뛰지 않은 상황에서 입대라는 결정이 나온 지라 롯데 유니폼을 입은 황성빈의 모습을 보려면 2년을 더 기다려야 되는 상황.[* [[http://www.xportsnews.com/?ac=article_view&entry_id=1262901|성민규 단장이 말하길 가능성이 있는 선수라며 전역 후 2군에서 소화해야 할 구체적 역할, 경기 출장 수, 타석 수까지 계산해 놨다고한다. 당장 1, 2년 볼 선수가 아닌, 로스터 정돈 과정에서 길게 봐야할 선수였다고]]] 4월 27일에 입대했으며 전역일은 2021년 10월 31일이다. 훈련소 생활 중 [[성민규]] 롯데 단장에게 편지를 써서 보냈는데 성민규 단장이 이를 본인의 [[https://www.instagram.com/p/CAlxC6NFaYl/?igshid=kndw4olthtwu|SNS]][* 현재는 삭제]에 게시해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다. 대부분은 좋게 보는 편. 자리를 잡지 못한 상태에서 숙제를 해결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기 때문이다.[* 징병제인 한국 특성상 의무복무가 미필 남성들에게 큰 걸림돌이자 숙제로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롯데의 레전드인 [[마해영]] 역시 대학 졸업 후 롯데의 지명을 받았으나 당시 롯데 감독이던 [[강병철]]과의 상의 끝에 곧바로 상무에서 군복무 후 26세의 꽤 늦은 나이에 프로에 데뷔하여 롯데의 중심타자로 성장했다.] 이후 [[김동혁(2000)|김동혁]]도 똑같은 과정으로 입대했다. === [[황성빈/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성빈포효.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황성빈/선수 경력/2022년)] || >'''아 그리고 참고로 2022년은 제꺼입니다.''' >---- >입대 이전 인스타그램에 올린 게시물에서 [[손아섭]]을 대체할 후보들 [[추재현]], [[장두성]], [[김재유]], [[신윤후|신용수]], [[조세진]]을 제치고 튀어나온 2022년 '''롯데의 새로운 1번타자.''' 팬들의 염원을 채워주며 1군 풀타임 시즌에서 좋은 활약을 선보이며 본인 이름 석자를 각인시킨 시즌. === [[황성빈/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50417101373151_l.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황성빈/선수 경력/2023년)] || 시즌 초반엔 상당한 타격감과[* 부상전까지 무려 타율1위였다] 작년에 비해 매우 좋아진 수비와 주루 센스를 보여줬으나 손가락 부상과 발목 부상을 연이어 당하며 그 이후 완전 타격감이 바닥을 기어 [[윤동희]]와 [[김민석(타자)|김민석]]에게 주전 자리를 내어주게 되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sWAR || || 2020 ||<|4> [[롯데 자이언츠|롯데]] ||<|2><-15> 군 복무([[현역병|현역]]) || || 2021 || || 2022 || 102 || 320 || .294 || 94 || 12 || 4 || 1 || 16 || 62 || 10 || 22 || 55 || .341 || .366 || 1.23 || || 2023 || 74 || 170 || .212 || 36 || 5 || 2 || 0 || 8 || 22 || 9 || 12 || 27 || .268 || .265 || -0.61 || ||<-2> '''[[KBO 리그|KBO]]통산'''[br](2시즌) || 176 || 490 || .265 || 130 || 17 || 6 || 1 || 24 || 84 || 19 || 34 || 82 || .316 || .331 || 0.62 ||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