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남대총)] [[파일:황남대총 남분 유리잔1.jpg]] [[https://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559834&imageUrl=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2644_000_10%2F20150328234332385_EL3SKK6FC.jpg%2F8293e3dd-28df-49.jpg%3Ftype%3Dm935_fst_nce%26wm%3DY&mode=entry&clickArea=relatedImage&cid=46672&categoryId=46672|사진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목차] == 개요 ==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한 [[황남대총]]의 남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유리]]잔.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 내용 == [[파일:황남대총 남분 유리잔2.jpg]] [[서봉총 유리잔]], [[천마총 유리잔]]과 함께 전시된 모습.[[http://www.shilla.or.kr/gboard/bbs/board.php?bo_table=photo&wr_id=499&page=|사진 출처 : 신라문화진흥원 어린이문화유적답사]] [[황남대총]] 남분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유리잔으로, 제작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이라고 추정한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 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황남대총 발굴 당시 이 유리잔 외에도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커트장식 유리잔]] 등의 다양한 유리잔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하지만 국보나 보물 등의 국가 문화재로 지정된 다른 유리잔들과는 달리 이 남분에서 발굴된 유리잔은 문화재로 지정받지 못했다. [[파일:황남대총 남분 유리잔3.jpg]] [[http://www.dapsa.kr/blog/?p=25199|사진 출처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의 대외교류]] 신라의 능묘에서 발견되는 고대 유리용기와 유리구슬들은 [[실크로드]] 또한 [[해양]] 루트를 통해 이루어진 국제적 교류의 산물이었다. 지금으로부터 1700여년 전에 신라인들이 사용하던 유리잔으로, 당시 한국의 대외교류 및 국제관계에 대해서 연구해볼 수 있는 자료이다. [[분류:신라의 공예]] [[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분류:경주시의 문화재]] [[분류:황남대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