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무 분류)] [목차] == 개요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508d93ed10b44fbba743a6fb5af8ea63|활엽-수(闊葉樹)]] >1. {{{#999999 식물}}} 잎이 넓은 나무의 종류. 떡갈나무, 뽕나무, 상수리나무, 오동나무 따위가 있다. ≒광엽수ㆍ넓은잎나무. broad-leaved tree 평평하고 넓은 [[잎]]이 달리는 [[나무]]를 말한다. 속씨식물 중에서 쌍떡잎식물류에 속한다. 하지만 잎이 넓더라도 겉씨식물인 [[은행나무]], [[네타]], 카우리소나무 등이나 외떡잎식물인 야자나무(야자수, 바나나) 등은 활엽수에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속씨식물 등에서도 [[위성류]], 목마황 같은 나무는 비늘잎을 갖는다. 침엽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후가 따뜻한 곳에 자란다. 그리고 상록활엽수와 낙엽활엽수로 나뉘는데, 상록활엽수는 낙엽활엽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따뜻한 곳에 자란다. 한국에서 상록활엽수는 [[제주도]], [[울릉도]], [[남해]]안 등지에 주로 자라는데, [[동백나무]]가 대표적이다. 예외로 [[강원도]]처럼 상당히 북쪽에도 분포하는 상록활엽수인 [[회양목]] 같은 것도 있다. 상록활엽수는 다시 조엽수(照葉樹)와 경엽수(硬葉樹)로 나뉜다. 전자는 동백나무처럼 잎이 크고 광택이 있는 것이며, 후자는 [[올리브]]처럼 잎이 작고 단단한 것을 가리킨다. 대륙 동안에는 조엽수가, 대륙 서안(지중해권)에는 경엽수가 흔하다. 또한 호주에 사는 [[유칼립투스]]는 대부분이 경엽수이다. 활엽수로 만든 목재는 일반적으로 침엽수로 만든 목재보다 단단해서 'hardwood' 라고 한다. 이와 상대적으로 침엽수는 'softwood' 라고 한다. 활엽수 목재는 단단하고 잘 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공구]]의 자루, 수레바퀴의 살과 같이 반복적인 충격이나 진동, 하중 등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는 활엽수 목재를 많이 사용한다. 반면 목재 구조상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방부처리가 잘 되기 때문에, 목재가 썩기 쉬운 환경에서 목재를 사용해야 할 때는 방부처리한 침엽수 목재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방부처리하지 않은 천연 상태의 목재는 오히려 활엽수가 침엽수보다 덜 썩기 때문에 방부처리가 여의치 않을 때는 활엽수재를 쓰기도 한다. 일본어로는 [[闊]]이 [[상용한자표]]에 없기 때문에[* 한국도 마찬가지로 교육용 한자에 수록되지 않는 고급 한자다. 어문회 1급에 배정.] 대신 [[広]](廣, 넓을 광)을 써서 広葉樹(こうようじゅ, '광엽수')라고도 한다. 闊葉樹(かつようじゅ)도 [[일본어 위키백과]]에 실려는 있지만 입력시 IME에서 한자 변환은 되지 않는다. 한국어 사전에도 일단 '광엽수'라는 말이 등재는 되어있다. == 활엽수인 나무 == * [[감나무]] * [[개다래나무]] * [[개암나무]] * [[느릅나무]] * [[느티나무]] * [[단풍나무]] * [[동백나무]] * [[미루나무]] * [[박달나무]] * [[배나무]] * [[버드나무]] * [[아까시나무]] * [[아카시아]] * [[옻나무]] * [[자작나무]] * [[참나무]] * [[회양목]] == 관련 항목 == * [[낙엽수]] * [[상록수]] * [[숲]] * [[잎]] * [[침엽수]] == 유행어 == 과거 인터넷의 유행어 중 하나로, 생활의 활력소를 생활의 활엽수라고 하기도 하였다. [[병욱대첩|어떤 사람이 실수로 잘못 친 게 대유행한 것.]] [[산소드립]]과 비슷하다. [[분류: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