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포일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78899, #141414)" [[파일:환혼 한글 로고(4).png|height=22]] '''시리즈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환혼)] ---- [include(틀:환혼: 빛과 그림자)]}}}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장욱 탄수법2.gif|width=100%]]}}} || [[tvN]] [[tvN 토일 드라마|토일 드라마]] 《[[환혼]]》,《[[환혼: 빛과 그림자]]》의 설정을 정리한 문서. == 얼음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얼음돌.jpg|width=100%]]}}} || || '''추혼향을 만들어내는 녹지 않는 얼음돌. 얼음돌의 힘으로 환혼술이 가능하며, 요기들도 만들 수 있다.'''[* 현재까지 남은 얼음돌은 하나이며 그 하나는 장욱의 품 속에 있다.] ---- '''얼음돌은 정해진 형태가 없다.''' 물이기도 불이기도 바람이기도 하며 그 크기 또한 가늠할 수 없어서 아주 작을 수도 어마어마하게 클 수도 있다고 한다. || === 속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얼음돌 속성.jpg|width=100%]]}}} || || '''환혼인의 폭주'''를 막을 수 있다. ---- 환혼술에 쓰이는 '''추혼향'''을 만들어 낸다. ---- '''환수의 경지에 이르지 않은 자'''가 환혼을 할 방도는 얼음돌 뿐이다. ---- 사술로 만들어진 위험한 물건인 '''요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얼음돌 히스토리.jpg|width=100%]]}}} || || '''얼음돌을 차지''' 하기 위한 술사들의 핏빛 싸움이 있었다. ---- 싸움을 멈추기 위해 '''서경 선생이 얼음돌을 봉인'''하였다. ---- '''누군가 얼음돌의 봉인을 풀고''' 환혼인을 세상에 다시 나오게 하였다. ---- 얼음돌의 보유자는 단주인 '''왕비'''이다. 왕비 또한 환혼인이며 본체는 최씨가문의 당골이다. || === 물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추혼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요기.jpg|width=100%]]}}} || || '''추혼향(追魂香)''' ||<#5e7b89> '''요기(妖器)''' || || {{{#000,#ddd {{{-1 '''환혼술에 쓰이는 검은 돌가루'''}}}}}} || {{{#000,#ddd {{{-1 '''사술로 만들어진 위험한 물건. 진요원에서 요기들을 보관하고 있다.'''}}}}}} || === 환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환혼.jpg|width=100%]]}}} || || '''몸과 혼을 바꿀 수 있는 금지된 술법'''이며, 이는 최고의 경지에 오른 술사만이 할 수 있다. ---- 얼음돌로 만들어진 '''추혼향'''으로 환혼이 가능하다. || || {{{#000 {{{#!folding [ 환혼술을 성공한 인물 ] ---- • [[무덕이/낙수|무덕이]] ↔ [[무덕이/낙수|낙수]] • [[진부연]] ↔ [[환혼/등장인물#언급|진설란]] • [[진무(환혼 시리즈)|진무]] ↔ [[환혼: 빛과 그림자/등장인물#서윤오|서윤오]] • [[환혼/등장인물#장강|장강]] ↔ [[환혼/등장인물#고성|고성]] • [[환혼/등장인물#서하선|서하선]] ↔ [[환혼/등장인물#기타|당골네 최씨]] • [[환혼/등장인물#김내관|김내관]] ↔ ?[*불명 밝혀지지 않음.] • [[환혼/등장인물#마의 이선생|마의 이선생]][* 마의 이선생의 경우는 환수의 경지에 이르러 환혼을 하였다.] ↔ 거지 아이 • [[환혼/등장인물#조충|조충]] ↔ ?[*불명] • [[환혼/등장인물#기타|강만천]] ↔ [[환혼/등장인물#기타|진호]] • [[환혼/등장인물#기타|한상궁]] ↔ ?[*불명] [Br]}}}}}} ||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환혼인.jpg|width=100%]]}}} || || 환혼인은 흔적으로 심장 위에 '''푸른 자국'''이 생긴다.[* 예외인 케이스로 [[환혼/등장인물#무덕이|무덕이]]만 몸이 아닌 눈에 푸른 자국이 있다.][* 19화에 내용에 따르면 왕비의 몸을 가진 당골네 최씨 역시 어깨의 "푸른 자국"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박진의 말에 의하면, 환혼 자국은 얼마든지 없앨 수 있다고 한다.] ---- 몸과 혼의 불균형으로 '''폭주''' 할 수 있다. 폭주를 하게되면 인간의 기를 빨아 먹는다.[* 다만 환수의 경지에 오른자가 환혼을 하면 폭주하지 않는다.] ---- 폭주 상태에서 기를 보충하지 않으면, 몸 속 수기가 빠져버려 '''돌처럼 굳어버린다.''' || ==== 히스토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장욱의 출생의 비밀.jpg|width=100%]]}}} || || 환혼한 왕{{{-1 (= 육체는 장강, 혼은 선왕)}}}과 도화 부인 사이에서 장욱이 태어났다. 장강이 장욱의 기문을 막아버리고 떠난 탓에, 출생의 비밀과 얽힌 소문이 늘 따라다닌다. ---- 20년전, 장강은 시체에 혼을 넣는 환혼술을 여러번 실험했다. ---- 평범한 인간의 시체에 넣은 혼도 반년 넘게 잘 붙어 있던 케이스가 있다. || == 술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술사.jpg|width=100%]]}}} || || '''세상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은 물기가 있으며, 그 물기{{{-1 (=수기)}}}를 움직이는 능력을 가진 자'''를 지칭하는 말이다. || === 술법 단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집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류수.jpg|width=100%]]}}} || || '''집수(集水)''' ||<#5e7b89> '''류수(流水)''' || || {{{#8DADC0 {{{-1 '''술법 단계 ★'''}}}}}} || {{{#5e7b89 {{{-1 '''술법 단계 ★★'''}}}}}} || || {{{#000,#ddd {{{-1 '''술법으로 쓸 수 있는 수기를 모으는 단계'''}}}}}} || {{{#000,#ddd {{{-1 '''몸 안의 수기를 밖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단계'''}}}}}} || || {{{#000 {{{#!folding [ 해당되는 술사 ] ---- {{{-1 • 송림 정진각 술사들[* 대부분의 술사들이 집수의 단계이며 그 중 뛰어난 자들만이 류수에 오른다. 그러니 단시간에 치수에 오른 송림 정진각 술사인 장욱과 서율은 대단한 천재라고 볼 수 있다.]}}} [Br]}}}}}} || {{{#000 {{{#!folding [ 해당되는 술사 ] ---- {{{-1 • [[고원(환혼 시리즈)|고원]] • [[박당구]] • [[진초연]] • [[환혼/등장인물#상호|상호]] • [[환혼/등장인물#길주|길주]] • [[환혼/등장인물#염수|염수]] • --[[환혼/등장인물#차범|차범]]--[* 얼음돌의 결계에서 술법을 사용하고 기력을 모두 잃었다.] • [[환혼/등장인물#한열|한열]] • [[환혼/등장인물#구효|구효]]}}} [B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치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환수.jpg|width=100%]]}}} || ||<#57717e> '''치수(治水)''' ||<#4d6370> '''환수(換水)''' || || {{{#57717e {{{-1 '''술법 단계 ★★★'''}}}}}} || {{{#4d6370 {{{-1 '''술법 단계 ★★★★'''}}}}}} || || {{{#000,#ddd {{{-1 '''대기 중의 수기를 다룰 수 있는 단계'''}}}}}} || {{{#000,#ddd {{{-1 '''모든 기운을 활용할 수 있는, 얼음돌 없이도 혼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인간의 경지를 뛰어넘는 신의 단계'''}}}}}} || || {{{#000 {{{#!folding [ 해당되는 술사 ] ---- {{{-1 • [[무덕이/낙수|낙수]] • [[서율(환혼 시리즈)|서율]] • [[박진(환혼 시리즈)|박진]] • [[진무(환혼 시리즈)|진무]] • [[환혼/등장인물#진호경|진호경]] • [[환혼/등장인물#장강|장강]] • [[환혼/등장인물#허염|허염]]}}} [Br]}}}}}} || {{{#000 {{{#!folding [ 해당되는 술사 ] ---- {{{-1 • [[장욱(환혼 시리즈)|장욱]][* 몸 속에 얼음돌을 품고 있으므로 단숨에 환수의 경지에 올랐다.] • [[환혼/등장인물#마의 이선생|마의 이선생]] • [[환혼/등장인물#언급|서경]][* 대호국 최초의 환수 술사이다.]}}} [Br]}}}}}} || === 기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탄수법.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기벽.png|width=100%]]}}} || || '''탄수법(彈水法)''' ||<#5e7b89> '''수기벽 (방패술)''' || || {{{#8DADC0 {{{-1 '''치수 (술법 단계 ★★★)'''[* 다만 장욱은 수기로 만들어낸 물방울이 아닌 이미 있는 물방울로 류수임에도 탄수법을 썼다.]}}}}}} || {{{#5e7b89 {{{-1 '''류수 (술법 단계 ★★)'''[*추정 밝혀지지 않음.]}}}}}} || || {{{#000,#ddd {{{-1 '''칼로 수기를 튕기는 기술'''. 최고의 경지에 달하는 술사만이 연마할 수 있는 기법으로, 한 방울로도 목숨을 잃을 수 있다.}}}}}} || {{{#000,#ddd {{{-1 수기로 만든 방패로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는 기술'''}}}}}} || || {{{#000 {{{#!folding [ 사용한 술사 ] ---- {{{-1 • [[장욱(환혼 시리즈)|장욱]] • [[무덕이/낙수|낙수]]}}} [Br]}}}}}} || {{{#000 {{{#!folding [ 사용한 술사 ] ---- {{{-1 • [[장욱(환혼 시리즈)|장욱]] • [[환혼/등장인물#한열|한열]]}}} [Br]}}}}}} || == 배경 == === 대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대호국.jpg|width=100%]]}}} || || ''''큰 호수를 가진 나라'라는 뜻으로, 《환혼》의 배경이 되는 가상의 나라'''이다. 대호국 속 큰 호수의 이름은 '경천대호'이다. ---- 현재 대한민국처럼 단어가 한자에서 비롯되었어도 문자는 한글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머리스타일도 현대식이다. 실제 역사를 무대로 삼지 않아 가능한 설정이며 역사왜곡 논란으로부터[* 판타지 드라마라 애초에 역사왜곡 논란이 있을 수가 없다.]상당한 자유를 획득하였다. || ==== 단향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단향곡.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단향곡2.jpg|width=100%]]}}} || ||<-4> '''메아리도 들어와 쉽게 나갈 수 없이 험준하다''' 하여 단향곡이라 불리운다. 어린 낙수가 이 곳에 방치되어 홀로 자랐으며, 서율과 처음 만난 장소이기도 하다. || ==== 사리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리촌.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리촌2.jpg|width=100%]]}}} || ||<-4> '''무덕이 눈먼 노파와 함께 살았던 장소'''이다. 또한 소이가 거간꾼을 죽게 하고 싶진 않았다고 회상할 정도로 그 곳 사람들에 대해 애정을 보였다. || ==== 서호성 ==== ||
'''서율의 본가로 외국과 맞닿아 있는 국경지대이며 경천대호의 서쪽 끝에 위치'''한다고 한다. 수도에서 말을 타고 2박 3일이 걸린다고 한다.[* 빠른 말을 타고도 2박 3일이 걸린다는 것을 감안하면(말의 평균시속 70km/h) 대호국의 국경이 꽤나 크다는 걸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동시에 서호성과 대호성이 매우 멀다는 의미도 주는 듯.] || ==== 개마골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개마골.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개마골2.jpg|width=100%]]}}} || ||<-4> '''무당이나 사술을 범하는 자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는 장소이다. 당골네 최씨 가문이 과거 살던 곳이기도 하다. || == 주요 기관 == 모두 '''대호국''' 수도에 위치한 기관이다. 송림, 천부관, 진요원 등의 기관이 술사연합인 만장회의 협력 아래 주도적으로 정국을 이끌고 있다. 실질적으로는 주요 기관을 세습하는 박씨, 장씨, 진씨 집안과 군벌이자 외척이기도 한 서씨 집안까지 4대 가문이 왕실과 더불어 대호국을 이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송림을 세운 이는 환수의 경지에 이른 술사로 알려진 [[환혼/등장인물#기타|서경]]이며 상단, 세죽원, 정진각을 모두 아우른다. === 송림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송림.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송림 외부.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송림 내부.jpg|width=100%]]}}} || ||<-4> [[박당구]][* 박진은 3년전 일로 총수의 자리에서 물러났다.]가 총수를 맡고있으며 박씨집안이 세습한다. 송림 안에는 상단, 의료 기관인 세죽원, 술사들의 교육 기관인 정진각과 훈련관 등이 속해 있다. ---- 송림은 금지된 사술을 행한 자를 잡아내고 처단하는 등 술사들 사이의 법도를 어긴 자에 대한 조사와 처벌을 맡고 있다. || ==== 세죽원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송림 세죽원.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세죽원 외부.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세죽원 내부.jpg|width=100%]]}}} || ||<-4> '''대호국 최고 의료 기관'''이며, 서씨 집안의 방계 혈족인 [[환혼/등장인물#허염|허염]]이 현재 원장이다. ---- 허염은 본거지가 도성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서씨 집안의 대리인 역할을 도맡고 있다. 만장회 참석 및 왕실 출입이 대리인 자격으로 추정된다. || ==== 정진각&훈련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정진각&훈련관.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교육 기관 내부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훈련관 내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밀실 내부.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교육 기관 내부'''}}} }}} ||<#5e7b89> {{{#!wiki style="margin: -3px -10px;" {{{-2 '''훈련관 내부'''}}} }}} ||<#57717e>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밀실 내부'''}}} }}} ||}}} || ||<-2> '''송림 안에 속해있는 술사들의 교육 기관 & 송림 훈련관'''이며, 정진각 지하에는 밀실이 있다. ---- 술사의 검기가 서린 칼을 송림 정진각 검방에 봉인해 놓는다.[* 하지만 예외로 [[환혼/등장인물#낙수|낙수]]의 칼은 본래 주인인 낙수가 보관하고 있으며, (송림 → 천부관 → 장욱 → 고원 → 낙수로 보관하던 기관&사람이 변경되었다.) [[환혼/등장인물#장강|장강]]의 칼은 오랫동안 정진각에 보관되어 있다가 현재는 아들 [[환혼/등장인물#장욱|장욱]]이 보관하고 있다.] ---- 밀실에는 문을 닫아 사람을 가둘 수 있는 장치가 있다. 문이 닫히는 동안에는 가만히 있어야 하며, 바닥을 잘 못 밟게되면 무너질 수가 있다. 문을 다시 열기 위해서는 문이 모두 닫힐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환혼/등장인물#장욱|장욱]]이 장치를 건드린 후 고장이 나서 추후에 자동으로 닫힌 적이 있다.--[[환혼/등장인물#박진|박진]]: 장욱!!!---] ---- 서호성에서 유학온 서율은 정진각 한켠의 숙소에 살고 있다고 언급되며, 도성에 집이 있는 술사들은 출퇴근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정진각에서 술사들을 교육하는 일을 서씨집안 서경의 뒤를 이어 서율이 도맡아 하고있다. 서율의 뜻에 따라 술사 모집의 자격 요건은 열정과 의지이며 남녀노소 누구나 지원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 === 천부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천부관.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천부관 외부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천부관 내부2.jpg|width=100%]]}}} || ||<-2> '''대호국 내 천기를 살피고 기록하는 기관'''이다.[* 천부관 안에는 비밀 통로로만 들어갈 수 있는 밀실이 있다.] ---- 관주인 장강이 관리했으나, 자리를 비우면서 부관주인 진무가 대신해 이끌고 있던 중, 장강이 사망함에 따라 진무가 관주의 자리에 올라섰다. 그러나 완결 시점에서는 관주와 부관주 모두 공석인 상태다. || ==== 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귀도.jpg|width=100%]]}}} || || '''사술을 행했던 자들을 가두는 천부관의 감옥'''이다. ---- 귀도는 진요원 초대 원장인 진설란이 만든 것으로 한 번 들어가면 쉽게 나올 수 없으며 사술사들의 귀기들이 남아있어 귀기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 === 진요원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진요원.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진요원 외부.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진요원 내부.jpg|width=100%]]}}} || ||<-4> '''신비로운 힘을 지닌 물건들이 보관되어 있는 일종의 창고'''이며, 진씨 집안이 관리한다.[* 보물들이 보관되고 있는 진요원의 문은 진씨 집안의 피를 가진 사람만이 열 수 있다.] || ==== 보물/물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귀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결박령.jpg|width=100%]]}}} || || '''귀구(鬼狗)''' ||<#5e7b89> '''결박령(結縛鈴)''' || || {{{#000,#ddd {{{-1 '''사술을 잡는 귀신 삽사리{{{-1 (개)}}}'''이며, '''진씨 집안의 보물 중 하나'''이다. 환혼을 하면 몸과 혼 사이에 틈이 생기는데, 그 사이로 빠져나오는 악한 기운을 잡아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 {{{#000,#ddd {{{-1 '''기가 제대로 돌지 못해 제멋대로 움직이는 장욱의 팔을 통제하기 위해 둘러진 것'''}}}}}}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음양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통경.jpg|width=100%]]}}} || ||<#57717e> '''음양옥(陰陽玉)''' ||<#4d6370> '''통경(通鏡)''' || || {{{#000,#ddd {{{-1 '''남녀가 음양옥으로 만든 반지를 나눠끼면 사랑하는 마음이 깊어진다 한다'''}}}}}} || {{{#000,#ddd {{{-1 '''허상을 만들어내는 거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빛과 그림자 추섭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빛과 그림자 귀서.jpg|width=100%]]}}} || ||<#485c67> '''추섭사(追躡絲)''' ||<#40525c> '''귀서(鬼鼠)''' || || {{{#000,#ddd {{{-1 '''추섭사 실패를 통해 추섭사를 매고있는 사람의 위치와 행적을 알려주는 실'''이다. 어떤 칼로도 끊을 수 없으며[* 환수의 경지에 오른 장욱은 추섭사를 끊어냈다.]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실이 점점 조여오고 이럴 경우 반 식경 안에 찾아온다고 한다. 하지만 실이 끊어지거나 실패가 부서질 경우에는 추섭사의 기능을 상실한다.}}}}}} || {{{#000,#ddd {{{-1 '''밤에 깎은 손톱을 먹어 그 손톱의 주인과 같은 모습을 하고 돌아다니는 하얀 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빛과 그림자 화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빛과 그림자 진요원 방패.jpg|width=100%]]}}} || ||<#394a52> '''화조(火鳥)'''[* [[파일:환혼 빛과 그림자 화조2.jpg|width=60%]][br]파트2 10화 막화에서 화조를 깨워 장욱이 소멸시켰다. 세상을 멸망시킬 무서운 힘을 가진 존재로 수성대에서 깨워난 후 경천대호에 있는 장욱에게 날아갔을 뿐인데 대호국 일부를 파괴하였다.] ||<#324046> '''진요원 방패(辰曜院 傍牌)''' || || {{{#000,#ddd {{{-1 '''알에서 깨어난 불의 기운이 새의 형상을 하고있어 화조라 한다. 화산에서 태어난 새'''로 화조가 알에서 깨어 나와 날아오르면 세상이 타듯이 마르고 화조를 진요원 밖으로 들고 나가면 진요원은 무너진다. 몸 안에 들어간 혈충을 쫓아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화조의 결계는 화조가 태어난 화산과 같은 기운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3만 냥 무게의 황금에서 뽑아낸 금의 기운과 같다.}}}}}} || {{{#000,#ddd {{{-1 '''진요원의 진기하고 위험한 법기들을 함부로 밖으로 내갈 수 없도록 만장회가 부여한 방패'''이며, 왕명도 거부할 수 있다.}}}}}} || == 그 외 기관 == === 왕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왕실 외부.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왕실 내부.jpg|width=100%]]}}} || ||<-4> {{{#000 '''대호국의 왕실'''이다. 완결 시점에서 왕은 고원, 왕비는 아직 없으며 세자 또한 간택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 === 취선루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취선루 외부.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취선루 내부.jpg|width=100%]]}}} || ||<-4> '''대호국의 최고급 주점이며, 주월이 객잔의 주인'''이다. 정재계 인싸들의 사교의 중심이자, 젊은 셀럽들이 자주 찾는 핫플이다. || === 나루터 객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나루터 객잔 내부.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나루터 객잔 내부2.jpg|width=100%]]}}} || ||<-4> '''대호국 상인들이 교역을 위해 주로 거래를 하는 장소'''이다. 그 외 숙박, 식당, 도박 등의 시설들도 이용할 수 있다. ||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기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영패.jpg|width=100%]]}}} || || '''기문(氣門)''' ||<#638392> '''영패(令牌)''' || || {{{#000,#ddd {{{-1 '''기가 통하는 문'''}}}}}} || {{{#000,#ddd {{{-1 '''송림의 출입을 허가받을 수 있는 패'''. 쉽게 말해, 출입증이라고 보면 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결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수기.jpg|width=100%]]}}} || ||<#5d7a88> '''결계(結界)''' ||<#56707d> '''수기(水氣)''' || || {{{#000,#ddd {{{-1 '''외부의 출입을 금지한 경계선'''[* 환수의 경지에 이른 마의 이선생은 송림 사람만 들어갈 수 있는 결계를 손짓 한 번으로 간단하게 뚫기도 하였다.]}}}}}} || {{{#000,#ddd {{{-1 '''물의 기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호흡법.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신수원.jpg|width=100%]]}}} || ||<#506774> '''호흡법(呼吸法)''' ||<#4a606b> '''신수원(身水源)''' || || {{{#000,#ddd {{{-1 '''수기는 숨을 쉬어서 돌리는 것이고, 술사마다 숨 쉬는 법이 다르다.'''}}}}}}[* 만약 억지로 다른 호흡법 쓰다가 기가 잘못 돌아 광란에 빠지면 온몸에 있는 구멍에서 피를 쏟으면서 죽게 된다고 한다.] || {{{#000,#ddd {{{-1 '''신체의 수기가 모이는 중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만장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단근초.jpg|width=100%]]}}} || ||<#40525c> '''만장회(萬長會)''' ||<#3a4b53> '''단근초(斷根茶)''' || || {{{#000,#ddd {{{-1 '''최고술사집안 수장들의 모임'''}}}}}} || {{{#000,#ddd {{{-1 '''인간의 욕망 중 색욕을 없애는 약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향낭.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비공식알쓸잡 심서.png|width=100%]]}}} || ||<#36454c> '''향낭(香囊)''' ||<#313c42> '''심서(心書)[* 심서 내용은 [[환혼/명대사#10화|환혼/명대사]] 참고]''' || || {{{#000,#ddd {{{-1 '''신분을 나타내는 향을 넣은 주머니'''}}}}}} || {{{#000,#ddd {{{-1 '''서경 선생의 심서(연서)'''. 서경이 사랑했던 눈이 보이지 않은 여인 진설란을 위해서 만든 마음으로 읽는 책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비공식 작합사전 생사등.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혈충.jpg|width=100%]]}}} || ||<#2a3338> '''생사등(生死燈)''' ||<#262e31> '''혈충(血蟲)''' || || {{{#000,#ddd {{{-1 서씨 집안은 생사등이 존재한다. '''변방의 서호성을 지키며 잦은 전쟁을 나가기 때문에 각자의 생사를 알 수 있도록 혼의 기운으로 켜지는 생사등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만약 사망한다면 생사등이 꺼져서 알아차릴 수 있다.}}}}}} || {{{#000,#ddd {{{-1 '''인간의 피를 빨아 먹는 기생충'''이다. 몸에 들어갔을 경우 사술의 기운을 계속해서 넣어주지 않으면 인간의 몸을 파먹고 결국 사망할 수 있다. 혈충이 나온 자리는 상처도 잘 아물지를 않는다고 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방술.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방울약.jpg|width=100%]]}}} || ||<#1e2225> '''환음속박술(방술령/方術鈴)''' ||<#1a1b1d> '''방울약(미혼약/迷魂藥)''' || || {{{#000,#ddd {{{-1 '''사술로 알려진 방술 중 하나로 추혼향에 방술령으로 저주의 환음을 걸어두면 그것을 사용한 혼을 조종'''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환혼인을 미쳐 날뛰어 폭주하게 만든 뒤 석화시켜 죽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 {{{#000,#ddd {{{-1 '''미혼약'''이다. 방울약을 먹으면 '''환음속박술로 인한 조종으로 방울 소리가 들리면서 미쳐 날뛰게 된다.'''[* 환음속박술로 조종하고 싶은 환혼인에게 방울약을 먹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현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금패.jpg|width=100%]]}}} || ||<#17181a> '''현무(玄武)''' ||<#141414> '''금패(金牌)''' || || {{{#000,#ddd {{{-1 '''거북이 모습을 하고 있는 물의 사신'''}}}}}} || {{{#000,#ddd {{{-1 '''제왕성을 타고난 자가 가질 수 있는 왕실의 금패'''}}}}}} || === 4대 가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진요원 가문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박씨집안 가문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서씨집안 가문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장씨집안 가문장.jpg|width=100%]]}}} || || '''진씨집안''' ||<#5e7b89> '''박씨집안''' ||<#57717e> '''서씨집안''' ||<#4d6370> '''장씨집안''' || ==== 천하사계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작합사전 천하사계.jpg|width=100%]]}}} || ||<-4> '''대호국 4대 술사 집안{{{-1 (= 진씨, 박씨, 서씨, 장씨)}}} 자제들을 부르는 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bakNfHrd5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kPdazhMeo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fBf6Ft-Bm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GwutC-3uig)]}}} || || '''[[봄|{{{#e2e2e2 봄}}}]] [[진초연|{{{#e2e2e2 진초연}}}]]''' || '''[[여름|{{{#e2e2e2 여름}}}]] [[박당구|{{{#e2e2e2 박당구}}}]]''' || '''[[가을|{{{#e2e2e2 가을}}}]] [[서율(환혼 시리즈)|{{{#e2e2e2 서율}}}]]''' || '''[[겨울|{{{#e2e2e2 겨울}}}]] [[장욱(환혼 시리즈)|{{{#e2e2e2 장욱}}}]]''' || ||<-4> {{{#000,#ddd 봄의 생기를 닮은 '''진씨 집안'''의 영애 '''진초연''' 여름의 활기가 넘치는 '''박씨 집안'''의 후계자 '''박당구''' 황금빛 가을처럼 고결한 '''서씨 집안'''의 천재 '''서율''' 겨울 눈처럼 눈이 부시도록 빛나는 '''장씨 집안'''의 '''장욱'''}}} || === 제왕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혼 제왕성.jpg|width=100%]]}}} || || 제왕성(帝王星): '''하늘의 기운을 쓰도록 허락된 사람에게 주어진 별'''이다. ---- 200년 전, 제왕성을 타고난 자는 서경이었으며, 현재는 장욱이다. ---- 제왕성의 주위에는 그를 지키는 7개의 별이 있는데 Part 2 마지막화에서 [[진부연]][* 진설란], [[서율(환혼 시리즈)|서율]], [[고원(환혼 시리즈)|고원]], [[박당구]], [[진초연]], [[환혼: 빛과 그림자/등장인물#s-5.3|상호]] 그리고 [[무덕이/낙수|조영]]으로 밝혀졌다. || [[분류:환혼 시리즈]][[분류:드라마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