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한국 영화, rd1=환절기(영화))] [include(틀:토막글)] == 개요 == {{{+1 [[換]][[節]][[期]]}}} change of season [[계절]]이 바뀌는 시기, 혹은 [[철]]이 바뀌는 때를 뜻한다. 간절기, 토왕지절[* [[오행]] 중 토(土)의 기운이 강한 때라고 해서 이 이름이 붙었다.], 토용[* 토왕지절의 첫날.]이라고도 한다. 환절기는 계절의 '''성격'''이 바뀌는[* 추운 계절에서 더운 계절로, 혹은 더운 계절에서 추운 계절로 바뀌는 것.] 시기이므로 겨울 → 봄, 여름 → 가을 이 두 시기, 즉 2월 말 - 4월 초와 8월 말 - 10월 초가 환절기에 해당한다.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인 5~6월이나,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시기인 11~12월은 계절이 바뀌기는 하지만 계절의 성격이 달라지지는 않기 때문에 환절기에 해당하지는 않는다. 전날까지는 반팔을 입었다가 다음날에 바로 겉옷이 필요해질 정도로 하루이틀 사이에 기온이 큰 폭으로 변하기도 하고,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클 때도 많아 면역력이 떨어지는 시기이다.[* 실제로 이땜에 [[감기]]에 자주 걸리는 주된 이유이다.]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갈 때는 낮에는 따스하다가도 밤에는 한겨울처럼 추울 때가 있고,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갈 때는 낮에는 덥다가도 밤에는 선선하다 못해 싸늘해지기도 한다. 이 때문에 단순히 추운 날의 연속인[* 추운 날이 지속되면 추위 때문에 괴로울 수는 있지만 몸이 계속되는 추위에 적응해서 생각보다 면역력이 크게 떨어지지는 않는다.] 한겨울보다 오히려 [[감기]]에 걸리기 쉬울 수도 있어 복장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한겨울조차도 기온 변동이 심할 때가 있다. 대표적으로 2021년 1월. 이 해에는 한파와 고온이 공존하여 월교차가 '''30도'''에 달하는 등 변동이 매우 컸다.] 그 외에도 피부 발진이나 비염과 같은 만성적 질환의 증상이 심해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 역시 심한 일교차로 인한 면역력 저하 때문. 또한 큰 일교차에 의해 몸이 쉽게 피로해지고 졸음이 몰려오는 경우가 많은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운전을 할 때에는 졸음운전을 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쉽게 피곤해지는 만큼이나 다른때 보다 더 쉽게 코피가 터지기도 한다. [[춘곤증]]이 이때 찾아온다. [[분류:계절]] == 증상 == [[https://www.kdca.go.kr/gallery.es?mid=a20509000000&bid=0007&act=view&list_no=139353|재채기, 기침, 미열, 두통]]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지만 대개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저절로 치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