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교과]] * 상위 문서 : [[화학Ⅱ]], [[교과 관련 정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7차 교육과정(2006년~2010년 고교 입학생) 화학Ⅱ, rd1=화학Ⅱ(7차))]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9 개정 교육과정(2011~2017년 고교 입학생) 화학Ⅱ, rd1=화학Ⅱ(2009))] [include(틀: 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 나무위키 교과·수능 프로젝트)] [include(틀: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목차] == 개요 == 2015 개정 교육과정 개편안에 의해 2018학년도에 고등학교 입학생이 배우는 과목으로 주로 고등학교 3학년 때 이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예전 교육 과정 [[화학Ⅱ]]와 비교했을 때, 변한 게 거의 없지만 열화학 및 화학 평형 단원의 기초 내용을 [[화학Ⅰ]]으로 쫓아내고, 한 단원으로 통합하였다. 그리고 '''[[반응 속도론]]''' 관련 내용과 '''전기화학''' 파트를 강화하였다. --Ⅰ과목보다 못한 Ⅱ과목-- 안 그래도 내용이 적었는데 [[엔트로피]]와 자유 에너지 변화, 깁스 관련 내용을 탈락시키고 5단원 전체를 삭제 및 이동시켜 아예 한 학기 분량으로 쪼그라들어 버렸다. 그래도 전 교육과정이 공대스러웠다면 이번 교육과정은 자연과학스럽게 바뀌었다. 전체적인 학습양이 줄은 것으로 보이며, 과도한 연산을 요하는 문제를 출제할 것으로 예상됨.[* 물론 원래의 화학Ⅱ도 그러하기는 했다만 더 심할 것으로 보임.] == 교과 내용 == [[화학Ⅰ]]을 배우지 않으면, 건들지도 못하게 만든 것이 마치 예전 교육 과정이랑 똑같고, 오히려 더 심해졌다. === Ⅰ. 물질의 세 가지 상태와 용액 === ==== 기체 ==== * '''주요 개념''' : 보일 법칙, 샤를 법칙, 이상 기체 방정식, 분자량, 몰 분율, 분압, 분자 간 상호 작용, 끓는점 ==== 액체와 고체 ==== * '''주요 개념''' : 수소 결합, 물의 밀도, 열용량, 표면 장력, 화학 결합, 결정 구조 ==== 농도 ==== * '''주요 개념''' : 퍼센트 농도, ppm, 몰랄 농도,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 현상, 삼투압, 묽은 용액의 총괄성 === Ⅱ. 반응 엔탈피와 화학 평형 === 기존 [[화학Ⅱ]](2009)의 일부 내용이 [[화학Ⅰ(2015)]]로 이동하였고, 2단원과 3단원이 통합되었다. ==== 열화학 반응식과 엔탈피 ==== * '''주요 개념''' : 엔탈피, 열화학 반응식, 헤스 법칙, 가역 반응 ==== 화학 평형 ==== * '''주요 개념''' : 화학 평형, 르샤를리에 원리, 상평형 그림, 이온화 상수, 염의 가수 분해, 완충 용액 === Ⅲ. 반응 속도와 촉매 === ==== 반응 속도론 ==== * '''주요 개념''' : 1차 반응 속도, 반응 속도식 ==== 촉매 ==== * '''주요 개념''' : 효소, 활성화 에너지, 반감기 농도에 따른 반응 속도, 온도에 따른 반응 속도, 촉매에 따른 반응 속도, 산업 현장과 생명 현상에서의 촉매의 역할 === Ⅳ. 전기 화학과 이용 === ==== 화학 전지 ==== * '''주요 개념''' : 화학 전지, 전기 분해, 물의 광분해, 수소 연료 전지 == 여담 == * 안 그래도 적은 양을 심각할 정도로 줄여버렸다.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때 시험범위가 제대로 나올려나-- [[분류: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