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정선군의 면]] [include(틀:정선군의 읍면)] ||<-2> '''[[정선군|{{{#000000,#dddddd 정선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화암면}}}'''[br]畫岩面 | Hwaam-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정선군 화암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 || '''기초자치단체''' || 정선군 || || '''행정표준코드''' || 4291045 || || '''관할 법정리''' || 7리 || || '''하위 행정구역''' || 13행정리 49반 || || '''면적''' || 135.11㎢ || || '''인구''' || 1,582명[*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1.7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3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철규]] ,,(재선),, || ||<-2> '''강원특별자치도의원 | {{{-3 정선군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기철(1953)|김기철]] ,,(재선),, || ||<-2> '''정선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영덕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전영기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전흥표]] ,,(3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그림바위길 40 (화암리 393-1) || || [[https://www.jeongseon.go.kr/portal/jeongseongun/em_welfarecenter/hwaammyeon|화암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강원도 정선군 남/북부에 있는 면. == 상세 == 원래 '''동면'''이었다가 [[2009년]] [[5월 1일]] 이 지역의 명승인 그림바위[畵岩]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화암약수, 몰운대,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84%A0%EA%B5%B0#%EC%A1%B0%EC%84%A0_%EB%88%84%EC%B8%B5%EA%B5%B0%EA%B3%BC_%EC%84%9D%ED%9A%8C%EC%95%94_%EC%B9%B4%EB%A5%B4%EC%8A%A4%ED%8A%B8_%EC%A7%80%ED%98%95|화암동굴]] 등으로 유명한[* 이 지역의 명승 여덟 개를 모아서 ‘화암팔경’이라고 부를 정도다. 정선팔경도 아니고 화암팔경이다. 다만 화암동굴은 여기에서 빠져 있는데, 이는 화암팔경이라는 말이 먼저 생긴 다음에 화암동굴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정선군 내의 주요 기동축선에서 완전히 벗어나있다는 특징이 있다. 북평-여량-임계 축선은 강릉으로 통하고 남면-사북-고한 축선은 태백으로 통하며 신동 축선은 영월로 통하기 때문에 그나마 유동인구가 있지만 화암면은 지나칠 일도 없는 험한 산골짝 동네이다. 본래 화암면(동면)의 일개 리에 불과했던 사북과 고한이 면 중심가보다 훨씬 잘나가는 바람에 각기 읍으로 독립해버리고 만 이후로는 오지인 [[정선군|정선]] 내에서도 더한 오지가 되고 말았다. [[심양홍]]과 [[지석진]]의 출신지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선군/행정, version=122, paragraph=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