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파일:화악산_210405.jpg|width=100%]] || || 명지산 정상에서 본 화악산과 주변 능선. 가장 높게 솟아올라 보이는 봉우리가 중봉이고, 중봉과 바로 붙어 보이는 최고봉 신선봉은 원근법 때문에 좀 더 낮아보인다.[* 정상에 군사시설이 있어서 쉽게 식별 가능하다.] 중봉 우측으로 뻗은 능선이 살짝 솟은 봉우리가 애기봉, 좌측으로 뻗은 능선이 살짝 솟아오른 곳이 해발 1,150m의 석룡산이다. 중봉과 신선봉 너머로 멀리 보이는 봉우리가 응봉이며, 응봉에서 우측으로 뻗은 능선이 1,125m의 촉대봉으로 솟아오른다. || || [[파일:7689741342_d0d2531533_o.jpg|width=100%]] || || 화악산 정상 표지석. 화악산 정상은 공군 레이더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따라서 군부대 관계자 및 영내에 위치한 방송 송신소 관계자만 접근 가능하다. || 華岳山 [[경기도]] [[가평군]]과 [[강원도]] [[화천군]]에 걸쳐 있는 경기도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최고봉인 신선봉 기준으로 높이 1,468m. 예로부터 [[운악산]], [[관악산]], [[송악산]], [[감악산]]과 함께 경기 5악이라 불려왔다. == 소개 == 정상인 신선봉에는 군부대가 있어서 민간인이 못가기 때문에, 옆에 두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중봉이 일반 등산객들에게 정상 역할을 하고 있다. 중봉까지 등산 코스는 크게 화악터널 코스와 건들레·왕소나무 코스가 있는데 화악터널[* 경기도 중에서 난이도가 가장 높은 고개로 소문이 나 있어 수도권 자덕들이 자전거로 많이 찾는다.]은 해발 900m나 되는 고개 정상에 있어서 화악터널 코스로 가면 중봉까지 어렵지 않게 갈 수 있다.[* 참고로 화악터널 코스는 택시 외의 대중교통으로는 올 수 없다.] 하지만 건들레·왕소나무 코스는 해발 300m부터 시작하여 순수 고도차만 1,100m가 넘기 때문에 경기도에서 빡세기로 소문난 명지산, 용문산 저리가라 할 정도의 끝판왕 난이도를 보여준다. 후술하다시피 방송용 송신소나 군 부대가 곳곳에 있어 신선봉이나 동쪽에 위치한 응봉 및 일부 지역은 출입이나 사진 촬영이 제한되거나 금지되며, (해당 산을 이루는) 삼형제 봉들 중 산행이 가능한 [[봉우리]]는 정상 남서쪽 1km 지점에 위치한 중봉(1,446m) 뿐이다. 물론 거기에서도 중요 시설이 보이고 인근에 [[초병]]도 있기에 이들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다거나 이를 공개된 장소에 올릴 경우 경우에 따라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중봉에도 봉우리임을 나타내는 비석이 있는데 이 비석에서 아주 가까운 거리에 초병이 위치하여 등산객들에게 군사시설의 사진을 찍지 말라고 당부한다. 중봉이 최고봉은 아니지만 정상에 서면 중서부 지역의 많은 산들이 보이는 조망이 펼쳐진다. 중봉에서 애기봉을 거쳐 수덕산까지 남쪽으로 약 10km에 걸쳐 능선이 펼쳐지는 데 경관이 매우 수려하다. 이 능선 양쪽에는 [[가평천]]과 화악천이 흐르며, 이 하천들의 발원지 역할을 하고 있다. 중봉 남서쪽으로 큰골계곡, 작은골계곡이 있고 남동쪽에는 오림골계곡, 서쪽에는 조무락골계곡이 있다. 이 계곡들에는 [[폭포]]와 소가 많아 경관이 좋다. 아쉽게도 별다른 [[절(불교)|사찰]]이나 유원지는 없다. 자동차로는 [[391번 지방도]]로 접근 가능하며, [[화악터널]]이 있다. 육군 [[제27보병사단]]은 어지간한 훈련들을 매번 이쪽에서 행한다. [[고지|근방에서 제일 높아]] 사실상 거점인데다 산지라 민원 염려도 적다. 춘천시 구봉산, 삼악산, [[소양강]] 스카이워크 부근과 소양강 1길 장학리 부근, 그리고 춘천시내 곳곳에서 날씨가 좋으면 화악산을 볼수있다.[* 언뜻보면 신기루 비슷하게 보인다. 눈이 정말 좋은 사람은 춘천시내에서 정상 군사시설을 희미하게 볼 수 있다. 사실 야간에 어느정도 날씨만 좋으면 춘천 시내에서도 북서쪽 산꼭대기에서 홀로 빛나고 있는 것을 누구나 볼 수 있다. 반대로 부대 주둔 장병들도 인근의 철원, 화천, 가평, 춘천 시내의 야경을 구경할 수 있다.] 정상인 신선봉에는 [[KBS춘천방송총국]], [[춘천MBC]], [[G1]]의 송신소가 있으며 강원 영서 지역과 경기도 가평 지역으로 TV와 FM 전파를 송신한다. 또한 신선봉에는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기 때문에 민간인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방송국은 모두 [[춘천시]] 소속이지만 송신소 주소는 경기도 가평군 북면 화악리로 되어 있다. 송신소가 가평에 있어서 직접 가청권에 드는 가평 뿐만 아니라 경기 북부 일부([[남양주시]],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서부 일부([[광명시]], [[부천시]])와 [[서울특별시]]에서도 춘천방송국을 청취할 수 있다. 특히 [[KBS]] 춘천FM은 소형라디오도 스테레오로 깨끗하게 들릴 정도. 그리고 심지어 [[충청남도]] 북부 지역과 [[경상북도]] [[영주시]]에서도 약하지만 잡힌다고 한다. 애초에 화악산보다 해발고도가 높은 산이 남쪽으로는 강원 남동부와 경북 북동부 경계에 이르러야 나타나고, 38선 이북 및 휴전선 이남 지역은 화악산보다 전부 낮다. 그러니 그런 광역 가청권이 가능한 것이다. 휴전선 넘어서야 금강산을 비롯하여, 화악산보다 높은 산들이 즐비하다. 또한 [[공군방공관제사령부]] [[제315방공관제대대|예하 대대]]의 [[레이더 사이트|사이트]] 및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포대가 있어 일부 지역은 [[민간인]] 출입 금지며, 상기한 대로 높은 고도로 인해 격오지로 분류되었기에 해당 부대원들은 (여느 격오지 인원들처럼 휴가/외박 측면에서) 혜택이 더해진다. 이기자부대가 화천군 쪽에 있다면, 공군부대는 가평군 쪽에 있는데, 같은 화악산을 기반으로 한 부대인데도 행정구역이 다르다. 동쪽 응봉에도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어 민간인 출입이 금지되어 있고, 더군다나 이 응봉 일대에는 '''[[지뢰]]가 대량으로 매설되어 있다'''. 주민 증언에 의하면 [[한국전쟁]] 직후 미군이 항공기로 살포했다고 했는데, 그로부터 한참 시간이 지났기에 주둔 부대에서 몇 차례 지뢰제거를 실시했더라도 토사나 나무 뿌리 밑에 파묻혀 있는 것들도 있기에 가급적 이쪽 방면, 특히 길 이외의 지역은 출입하지 말아야 하고, 지뢰 및 기타 (당시 전쟁이나 부대에서 쓰였던) 수류탄이나 포탄 등으로 추정되는 의심물을 발견시 옆을 지나가거나 만질 생각 말고 군부대나 경찰서에 신고하자.([[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974262|관련기사]]) == 관련 문서 == * [[한반도의 산/고개 목록]] [[분류:경기도의 산]][[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