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화성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s340-1-ac.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SC00843-1.jpg|width=100%]]}}} || || 340-1번 || 340-2번 || [목차] == 노선 정보 == >'''__밑줄 처리된 구간__'''은 두 노선 상에서 차이가 나는 구간입니다. ||<-6>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34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340-1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상신리(상신리) ||<-2> 종점 ||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금정역) || ||<|2> 종점행 || 첫차 || 05:15 ||<|2> 기점행 || 첫차 || 06:25 || || 막차 || 22:30 || 막차 || 23:30 || ||<-2> 배차간격 ||<-4> 30~60분 (1일 20회) || ||<-2> 운수사명 || [[제부여객]] ||<-2> 인가대수 || 5대 || ||<-2> 노선 ||<-4> 상신리 - 향남주공18단지 - 부영7단지 - 방축리 - '''__향남중.고교__''' - 화성중앙병원 - 장짐교차로 - 팔탄행정센터 - 구장삼거리 - 창곡리 - 청요사거리 - [[39번 국도|{{{#aaa 39번 국도}}}]] - 송라리 - [[47번 국도|{{{#aaa 47번 국도}}}]] - 대야미삼거리 - [[군포역]] - [[금정역]] || ||<-6>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340-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340-2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상신리(상신리) ||<-2> 종점 ||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금정역)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15 || || 막차 || 22:00 || 막차 || 23:00 || ||<-2> 배차간격 ||<-4> 30~60분 (1일 20회) || ||<-2> 운수사명 || [[제부여객]] ||<-2> 인가대수 || 5대 || ||<-2> 노선 ||<-4> 상신리 - 향남주공18단지 - 부영7단지 - 방축리 - '''__향일고교__''' - 화성중앙병원 - 장짐교차로 - 팔탄행정센터 - 구장삼거리 - 창곡리 - 청요사거리 - [[39번 국도|{{{#aaa 39번 국도}}}]] - 송라리 - [[47번 국도|{{{#aaa 47번 국도}}}]] - 대야미삼거리 - [[군포역]] - [[금정역]] || == 개요 ==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340-1&routeId=233000117|340-1번]],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340-2&routeId=233000320|340-2번]]) == 역사 == * 2010년 2월 27일에 일반좌석버스로 개통했다. 원래는 2007년 7월에 신설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계획된 노선은 340번과 똑같이 가되 반월역까지만 다니는 340번과는 달리 금정역까지 다니는 것으로 계획됐다.], 연기됐다. * 2010년 5월 17일에 2대에서 4대로 증차됐다. * 2016년 6월 중순에 '도이초교.향토박물관 - 향남중.고교' 구간이 '향남터미널 - 상록.대방아파트 - 향남중.고교'로 변경됐다. * 일자 미상 송라리를 경유하게 됐다. * 2020년 2월 26일에 '향남터미널 - 향남고 - 행정초 - 신명스카이뷰 - 화성소방서 - 화성중앙병원' 구간이 '향남18단지 - 부영7단지 - 방축리 - 행정초 - 향남고 - 화성중앙병원'으로 향남 2지구로 연장되어 더 이상 터미널로 들어가지 않게 됐으며, 향남18단지에서 출발해 향남고 대신 향일고를 경유하는 340-2번이 분리신설됐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09464|관련 게시물]] 차량은 340-1번은 7대에서 5대로 감차됐으며, 340-2번은 340-1번 출신 차량 2대+신차 3대로 총 5대로 운행한다. * 2023년 4월 7일에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됐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98713|#]][[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00528|안내문]] * 일자 미상 기점이 상신리로 연장됐다. == 특징 == * 1일 4회 배차간격으로 다니는 [[화성 버스 H340|H340번]]의 직행 + 금정역 연장 노선이다. 가장 큰 특징은 '''39번 국도 직행구간'''[* 예전에는 39번 국도를 완전히 무정차했으나, 시기미상 송라리를 경유한다. [[화성 버스 330|330번]]이 다니는 [[푸른들판로]]쪽 정류소가 아닌 [[39번 국도]]([[서해로]])쪽 정류소를 말한다.]과 수요에 비해 나름 준수한 배차간격.[* 개통 초기에는 1시간 간격으로 다녔으나 현재는 20~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 향남에서 군포, 안양 및 서울방면 전철로 연계해주는 노선이며, 이 노선을 제외하면 다른 지역으로 나가는 노선이 없는 팔탄에서는 주요 교통수단이다. * 향남에서 수도권 서부 지역, 예시로 영등포, 구로, 가산, 부천, 고양, 일산(킨텍스 제외) 등의 지역으로 갈때는 [[화성 버스 8155|8155번]]을 타고 [[사당역]]으로 가는 것보다 이 노선을 타고 [[금정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비슷하거나 더 빠르다. * 또한 향남에서 안산으로 가는 경우 이 노선을 타고 대야미삼거리에서 내려서 대야미역까지 도보 후 4호선으로 환승해서 갈 수 있다.[* 예전에는 [[시외버스 8427|R8427번]] 시외버스 아니면 이 노선을 타서 대야미역을 이용하는 것 말고는 적당한 경로가 없었으나,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선]]이 개통되어 [[수원 버스 35|35]]번을 타서 [[오목천역]]을 이용하는 방법이 생겼으며, R8427번이 폐선된 현재는 [[대야미역]]이나 [[오목천역]]에서 환승을 해야한다. 또는 시간이 맞는다면 [[시외버스 8415|R8415]]번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F/L]] 차량으로 운행한다.[* 좌석버스 시절에는 [[현대 유니시티]] 41인승, [[현대 유니버스]] 49인승 차량으로도 운행했다.] * 과거에는 [[수원서부공영차고지|호매실동 용남고속 본사]]에서 향남 및 [[금정역]]으로 공차회송 후 운행을 시작했으며, 평시에는 향남18단지 아래쪽의 [[화성 버스 8156|8156번]]이 주박하는 부지[* 현 상신리(37875, 37876) 정류소]에서 휴식했다. 이후 운행이 종료되면 향남 및 금정역에서 호매실동 용남고속 본사로 다시 공차회송.[* 향남2지구 연장 전에는 평시에는 향남터미널에서 휴식했다.] 2023년 03월 06일부터는 금정역행 공차회송을 없애고 향남18단지 아래쪽 부지에서 완전히 주박하는 걸로 바뀌었으나 얼마 못가고 5월부터 다시 용남고속 본사에서 주박하는 중이다. * 교통정체로 인해 배차가 꼬여 뒷차가 금방 오거나 배차가 매우 벌어져 승객이 몰려서 앞문까지 꽉 채웠을 경우, 혹은 기사가 귀찮아서(!) 39번 국도변의 송라리 정류소를 무시하고 가는 경우가 간혹 목격됐으니 송라리 정류소 이용자는 주의하자.[* 송라리 정류소를 정차하려면 39번 국도에서 교차로를 통해 잠시 빠져나와야 하는데, 빠져나오지 않고 국도를 그대로 타는 경우가 있다.] 만약 송라리 정류소에서 승차할 경우 경기버스정보앱의 승차벨 서비스 사용을 권장한다. * 2020년 2월에 향남2지구로 노선이 연장됨과 동시에 향남1지구 구간이 분할됐는데, 동호인들과 일부 주민들은 향남2지구로 연장한 것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으나 향남1지구 구간을 분할한 것에 대해서는 별로라는 의견이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09464|#]] 향남1지구가 노선을 분할시켜 운행할 만큼 큰 지역도 아니고, 향남1지구 거주민의 경우 노선 이용시 340-1과 340-2 중 어느 버스가 먼저 오는지 시간표나 지도앱으로 확인한 다음 해당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소로 이동해야 한다.[* 이는 향남 윗동네에서 운행하는 [[수원 버스 30, 30-1|30, 30-1]]번의 봉담구간의 문제점과 유사하다.] 또한 향남홈플러스 정류소가 2개로 분할됐는데,[* 340-1은 홈플러스 위쪽 정류소인 55151, 55252 정류소에, 340-2는 기존에 정차하던 37903, 37991 정류소에 정차한다.] 향남홈플러스는 승하차인원이 많은 주요 거점이다. 이 정류소를 분할하게 되어 시간표나 지도앱을 매번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을 만들었다. 외국인, 노인들이 많은 노선인 것을 생각하면 더더욱 문제가 크다. * 또 다른 문제점으로, 노선 연장 및 분할 이후 카카오맵 등에서는 배차간격이 대략 60분 정도로 표기된다는 점이 있다. 시간표를 확인하지 않으면 1시간에 1대만 다니는 이용이 매우 어려운 노선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 340-1이 기점에서 출발하면 30분 뒤에 340-2가 출발하고, 다시 30분 뒤에 340-1이 출발한다. 즉 340-1과 340-2를 따로 본다면 대략 60분 배차인 것은 맞으며, 실질적으로는 '''통합 약 30분 배차'''로 운행한다. 하단의 시간표 참조. 그러니 먼저 오는 노선을 이용하자. 향남1지구 구간을 제외하면 노선이 동일하다. * 2020년 2월에 노선을 연장 및 분할하면서 새로 붙인 후면 행선판에 발안삼거리를 발'''암'''삼거리로, 구장삼거리를 구'''정'''삼거리로 오타를 냈다. 또한 측면 행선판에도 팔탄면을 팔'''타'''면이라고 표기되어 있었다. 현재는 구장삼거리를 오타낸 것을 제외하면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 향남18단지 아래쪽에 휴식지가 있는데, 말을 따로 하면 승하차가 가능했었다. 2023년 07월 기준 상신리 정류소로 등록되어 있음이 확인됐다. * 좌석버스 시절에 예비차량으로 입석형 차량이 운행한 적이 있었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459506|#]] 원래는 좌석형 예비차량이 운행돼야 하는데, 차량이 2대 이상 고장나서 급하게 입석형 차량을 운행한 것. '''당연히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이고 심지어 요금도 '''좌석 요금''' 그대로 다 받았다고 한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460456|#]] [[부산 버스 1009]]나 [[대구 버스 급행6]]의 사례처럼 별도의 전산상 임시노선번호를 부여하여 입석버스 노선으로 운행해야 법규위반 소지가 없다.[* 1009번이나 급행6번 좌석버스 노선에 입석차량을 넣는 것은 위법이지만 109번이나 급행6-1번 입석버스 노선에 입석버스 차량을 넣는 것은 위법이 아니다.] === 시간표 === 2023년 03월 27일 기준이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598014|#]] 다만 차량고장 등의 이유로 340-1번 시간에 -2번 노선으로 운행하거나 결행되는 경우도 있으며, 인력이 부족해[[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21841|#]] 시간표에 맞지 않게 운행할 때가 있으니 주의. 경기버스정보[* 모바일 웹 및 앱 기준 출발지점 정류소를 선택한 후 과거운행기록을 확인하면 대략적인 출발시간을 알 수 있다.]나 카카오맵 등의 지도앱을 확인하는 것을 권장한다. [[파일:화성 버스 340-1&2 시간표(2023.03.27).png]]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군포역]], [[금정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대야미역]][* 대야미삼거리 정류장에서 하차해서 역 방향으로 걸어가야 한다.], 금정역 [[분류:화성시의 시내버스]][[분류:201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군포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