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연쇄상구균속]] [include(틀:그람 양성균)] ||<-2> '''{{{#fff {{{+1 화농성연쇄상구균}}}[br]化膿性連鎖狀球菌 | Streptococcus pyoge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연쇄상구균.jpg|width=100%]]}}} || ||<-2> {{{-2 [[전자현미경]]으로 촬영된 화농성연쇄상구균}}} || || [[학명|{{{#000 '''학명'''}}}]] || ''' ''Streptococcus pyogenes'' '''[br]Rosenbach 1884 || ||<-2> {{{#000 '''분류'''}}} || || {{{#000 '''역'''}}} ||[[세균역]] (Bacteria) || || {{{#000 '''미분류'''}}} ||그람 양성균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후벽균문]](Firmicutes)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간균강(Bacilli)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유산균목(Lactobacillales)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연쇄상구균과(Streptococcaceae) || || [[생물 분류 단계#s-3.7|{{{#000 '''속'''}}}]] ||[[연쇄상구균속]](''Streptococcus'') || || [[생물 분류 단계#s-3.8|{{{#000 '''종'''}}}]] ||'''화농성연쇄상구균'''(''S. pyogenes'') || [목차] [clearfix] == 개요 == 화농성연쇄상구균([[化]][[膿]][[性]][[連]][[鎖]][[狀]][[球]][[菌]]), 또는 고름사슬알균은 [[연쇄상구균속]]에 속하는 세균이다. 학명의 'pyogenes'는 'pyo-'(pus, [[고름]])와 '-genes'(만든다), 즉 고름이 나오는 질병들의 원인이 된다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한국어인 '화농성' 역시 마찬가지 의미이다. == 특징 == 혈청학적인 [[란스필드 분류]](Lancefield grouping)에서는 그룹 A에 분류되며, 용혈 패턴상에서는 베타 용혈성(beta-hemolytic)으로 나타난다. 다른 연쇄상구균들과 마찬가지로 [[그람 양성]]이며, 사슬 모양을 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연쇄상구균바시트라신테스트.jpg|width=100%]]}}} || || '''바시트라신 민감성 테스트''' || 그룹 A의 연쇄상구균이므로 여러 [[항미생물 펩티드]]들 중 [[바시트라신]](bacitracin, Bac)에 민감하다. 이는 그룹 B에 속하는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는 바시트라신 저항성을 가지는 것과 대조적이다. 위 그림의 바시트라신 테스트에서 화농성연쇄상구균은 바시트라신에 의해 사멸된 구역이 있으나 아갈락티아 쪽에는 사멸된 구역이 없다. 한편, 트리메소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SXT)에 저항성을 가지며 pyrrolidonyl arylamidase(PYR) 양성이다. 이런 특성들을 이용해 균을 동정해낼 수 있다. == 독소 및 병리 == 독성 인자가 다양하며, 이들을 적절히 [[포식작용]]이나 [[옵소닌화]]에 대응하는 [[면역 회피]](immune evasion)나 직접적인 독소, 세포에 달라붙기 위한 인자 등으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독소에는 [[보체계]] 작용을 회피하고 상피세포에 달라붙기 위해 쓰이는 [[단백질 M]](M-protein)이 있다. == 질병 및 증상 == 연쇄상구균에 속하는 세균들 중 가장 중요하다고 봐도 무방한데, 이유는 당연히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병원성이 높고 위험하기 때문이다. 유발하는 질병과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 세균성 [[인두염]](bacterial pharyngitis), 세균성 [[편도염]](bacterial tonsilitis) - 세균으로 인해 발병하는 편도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괴사성근막염]] (necrotzing fascitis) - [[근막]]을 [[괴사]]시키며, [[피부]]와 [[결합조직]]을 파괴한다. * [[류마티스열]] (rheumatic fever, RF), [[성홍열]](scarlet fever). * 급성 [[사구체신염]](acute glomerulonephritis, AGN) - 가장 흔한 급성사구체신염의 원인이며,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인한 속발성 사구체신염의 경우 연쇄상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이라고 부른다. * [[화농성 관절염]] (septic arthritis), [[연조직염]] (cellulitis). * [[독성쇼크증후군]] (toxic shock syndrome) - 대개는 포도상구균 장내독소(enterotoxin)에 의해 발병하나 간혹 연쇄상구균들의 외독소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독소가 전신으로 퍼져 [[쇼크(의학)|쇼크]]를 일으키는 경우. * [[균혈증]](bacteremia)이나 [[패혈증]](sepsis) 유발. == 진단 == 고름에서 직접 [[현미경]]으로 균을 발견하는 경우, 특이 항원의 검출, 방출하는 독소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감식, 직접적으로 배양을 통해 동정하는 경우 등이 있다. 배양을 위한 검체 채취 시에는 [[타액]] 등에 의해 오염이 덜 된 표본일수록 좋다. 가령 인두염 환자의 호흡기에서 채취한 표본보다는 괴사성근막염 환자의 감염 조직에서 채취한 표본의 정확성이 더 높다. == 치료 == [[류마티스열]] 예방을 위해 [[항생제]] 처방이 거의 강제되는데, [[페니실린]]에 대한 저항성이 없기 때문에 페니실린이 가장 잘 쓰인다. 만약 환자가 페니실린에 [[알러지]] 등이 있어 처방이 불가능한 경우 대안으로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에리트로마이신 내성인 화농성연쇄상구균은 있으므로 사전 검사가 필요하다. 고름이 발생한 경우 고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