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 rd1=홍현석/2023-24 시즌)] [include(틀:KAA 헨트/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ng7(23-24).webp |width=100%]]}}} || ||<-2> '''{{{#ffffff KAA 헨트 No. 7 }}}''' || ||<-2> {{{#0050a0 '''{{{+1 홍현석}}}[br]Hong Hyun-seok'''}}} || ||<|2> '''출생''' ||[[1999년]] [[6월 16일]] ([age(1999-06-16)]세)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동]]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키(신체)|키]] 177cm / [[체중]] 69kg || || '''포지션''' ||[[미드필더]][* 전 지역이 가능하며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윙어]], [[세컨드 스트라이커]], [[풀백(축구)|레프트백]] || || '''주발''' ||왼발[* 왼발에 집중하는 편이지만, 오른발 사용 또한 준수하다.] || || '''학력''' ||[[서울신정초등학교]] {{{-2 (졸업)}}}[br]현대중학교 {{{-2 (졸업)}}}[br][[현대고등학교 축구부|현대고등학교]] {{{-2 (졸업)}}} || || '''소속 구단''' ||[[울산 현대]] (2018~2020) [br]→ {{{-1 [[SpVgg 운터하힝]] (2018~2019 / ^^임대^^)}}} [br]→ {{{-1 [[FC 유니오즈 OÖ]] (2019~2020 / ^^임대^^)}}}[br] '''[[LASK]] (2020~2022)''' [br]→ {{{-1 [[FC 유니오즈 OÖ]] (2020~2021 / ^^임대^^)}}}[br] '''[[KAA 헨트]] (2022~ )''' || || '''병역''' ||<-2>[[예술체육요원]][br]{{{-2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축구 부문 {{{#FFD700 '''금메달'''}}})}}} || || '''국가대표''' ||11경기 3골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 2022~2023)^^[br]4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2023~ )^^ || || '''에이전시''' ||HK스포츠매니지먼트[* [[오현규]], [[정우영(1999)|정우영]], [[이현주(축구선수)|이현주]] 등 현재 대한민국의 해외파 유망주들을 맡고 있다.] || || '''링크''' ||[[https://instagram.com/hong_i_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국적의 [[KAA 헨트]]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현석/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2022년 3월,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동계 훈련 명단에 포함됐다. ====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 2022년 5월 17일,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AFC U-23 아시안컵]] 본선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2차전 베트남전 후반 15분 교체 투입하여 투입되자마자 조영욱의 선취골을 어시스트했다. 3차전 태국전에서도 이강인과 중원 조합을 맞추며 거의 풀타임을 소화했다. 결과적으로 조별리그에서부터 전술의 의문을 품게 만들면서 결국 대회 사상 첫 8강에서 탈락한 황선홍호에서 그나마 가장 두각을 보이는 선수 중 하나였다. ==== [[황선홍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include(틀: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예상대로 최종 엔트리에 발탁됐다. 홍현석 입장에서는 정말 '''마지막 기회'''로 이번 대회에서 병역 특례를 획득하지 못하면 꼼짝없이 K리그 구단으로 복귀해 [[김천 상무 FC]]에 입대해야만 한다. 물론 향후 와일드 카드라는 변수가 있긴 하지만 최근 축협 행보나 본인 나이를 생각하면 선수 본인에게 향후 기회는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다. 결국 이번 대회에서 무조건 금메달을 따 병역 특례를 따야 하는 실정이다. 조별리그 2차전 태국전에서 고영준의 측면에서 올린 크로스를 받아 머리로 골문으로 돌려 넣으며 대한민국의 선취 골을 넣었다. 16강 키르기스스탄전에서는 왼쪽에서 송민규가 볼을 달고 박스안까지 올라갔다. 그리고 안재준에게 연결, 안재준의 컷백이 수비수와 골키퍼 맞고 흐르자 홍현석이 마무리하며 좋은 집중력으로 골을 만들어내며 스코어 5-1을 만들었다. 8강 중국전에서 전반 18분 왼발 프리킥으로 그림같은 결승 선제골을 넣으며 팀을 준결승으로 이끌었다. 4강 우즈베키스탄전에서는 86분을 소화하고 교체 아웃되었다. 결승에는 벤치에서 대기했으며 62분 정우영을 대체해 들어가 힘을 보태 2:1 리드를 지켰다. 병역 특례 또한 자연스레 따라와 해외 커리어를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게 됐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714Zl4X0AAV7aW.jpg|width=100%]]}}} || 소속 구단인 헨트 또한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축하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 [[클린스만호]] ==== ===== [[클린스만호/2023년|2023년]] ===== 2023년 2월 부임 이후로 국내에 거주하는 클린스만 감독은 2023년 4월에 해외파 선수들을 점검하기 위해 유럽으로 떠났다. 15일 [[손흥민]](프리미어 리그 31라운드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 vs [[AFC 본머스|본머스]]), 16일 [[오현규]](스코티시 프리미어십 32라운드 [[킬마녹 FC|킬마녹]] vs '''[[셀틱 FC|셀틱]]'''), 18일 [[김민재]](UEFA 챔피언스 리그 8강 2차전 '''[[SSC 나폴리|나폴리]]''' vs [[AC 밀란|밀란]]), 22일 [[이재성]](분데스리가 29라운드 '''[[1. FSV 마인츠 05|마인츠]]''' vs [[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23일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정우영]](분데스리가 29라운드 '''[[SC 프라이부르크|프라이부르크]]''' vs [[FC 샬케 04|샬케]]) 순으로 직관 계획이 잡혀있다. 홍현석은 클린스만 감독이 직접 경기를 관전하지 않지만, [[안드레아스 헤어초크]] 수석코치가 13일에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8강 1차전 '''[[KAA 헨트|헨트]]''' vs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웨스트햄]] 경기를 직관하였다. 위에 소개된 더 큰 무대로 나가 부딪혀보라는 발언은 이 시기에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등장하였다. 헨트에서 꾸준히 출전 기회를 받으면서 공격 포인트를 쌓는 활약을 하고 있는 홍현석은 클린스만호 코칭스태프가 경기를 관전하며 주시하고 있는 만큼 국가대표팀 승선은 시간 문제일 것이다. 예상대로 2022-23 시즌 종료 직후에 '''[[클린스만호]]의 2023년 6월 평가전 소집 명단에 발탁됐다.'''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간 것이다.[[https://youtu.be/4vnFYqgdHcY|#]] 6월 16일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와의 경기에서 데뷔했다. 홍현석의 생일이었으나 팀은 0:1로 패배했다. 10월 13일 튀니지와의 평가전에서 황인범을 대신해 중앙미드필더로 나섰다. 엄청난 영역을 커버하는 활동량에다가 필요한 공간에 적절히 맞춰 들어가는 탁월한 위치 선정을 보이며[* 해설이 [[홍길동]]이라고 칭찬할 정도였다.] 대표팀에 한층 더 적응한 모습을 보였다. 80분에 이순민과 교체되었다. 11월에도 발탁 받았으나 16일 피로 골절로 조기 하차했다. 전북의 [[박진섭(1995)|박진섭]]이 대체 승선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안 게임 축구|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2022]][*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1년 연기된 2023년 개최.] == 플레이 스타일 == 전반적으로 부족한 능력치가 없이 2-3선을 오가며 공수에 영향을 끼치는 육각형 미드필더이다. 오스트리아 시절에는 주로 3-4-3의 8번 역할의 [[박스 투 박스|박투박]] 중앙 미드필더로 출전했고 이는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황인범]]과 비슷한 플레이 스타일이었다. 왼발잡이지만 오른발도 수준급으로 양발로 스루패스와 크로스에 모두 능하고 플레이가 간결해 팀의 공격 리듬에 도움을 주며 경기당 11~12km씩 뛰는 하드워커. 벨기에 입성 후에는 주로 2선에 기용되며 [[공격형 미드필더]]로 자리잡았다. 이 자리에서는 공격적인 부분이 주로 돋보이나 수비적인 측면에서도 박수 받을 만 한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다. 벨기에 무대에서는 특히 공격 작업에서 테크니컬한 모습을 보이며 넓은 시야와 함께 상대 미드필더진의 압박을 자연스레 벗어나 볼을 몰고 가거나 소유한 뒤 양질의 패스를 공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컨디션이 최상인 날에는 이니에스타를 떠올린만한 번뜩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으론 수비적으로 왕성한 모습을 보여주어 중원 장악력에서 발군의 모습을 선보이며 팀에 기여하고 있다. 왼발킥이 좋아 소속팀및 국가대표팀에서 코너킥, 프리킥 처리를 담당한다. 이런 플레이 스타일에서 나타나듯 잘풀리는 날에는 키패스와 크로스, 태클, 리커버리, 경합 지표가 모두 높아 중원에서 필요한 모든 플레이를 보여준다.[* 벨기에 주필러리그 22-23 30라운드 KAS 외펜전에서 패스 성공률 90%, 키패스 5회, 슈팅 2회, 크로스 3회 성공, 롱 패스 3회 성공, 태클 3회 성공, 리커버리 2회, 지상 경합 5회 성공, 공중 경합 2회 성공, 피파울 1회로 중원에서 홍현석의 장점이 모두 드러났다.] 또한 좋은 축구지능, 활동량, 키핑능력, 운반능력, 수비력으로 센터백과 스트라이커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 또한 소화하는 멀티성도 있다. 굳이 약점이 있다면, 키가 크지 않고 점프력도 좋지 않아 공중볼에는 약하다.[* 많이 나오는 그림은 아니나, 헤더 시도를 아예 안하는 건 아니다.] 주력도 빠른 편은 아니다. 현재 한국 선수 중에서 가장 스타일이 비슷한 선수는 [[이재성]]. 중앙 미드필더와 2선 중앙, 양 측면을 모두 오간다는 점과 많은 활동량을 기반으로 한 수비 가담, 넓은 시야를 기반으로 한 공격적인 킬패스와 준수한 탈압박 등이 닮았다. 때문에 A 대표팀에 소집된다면 이제 30세가 넘어가는 그의 후계자로 등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넓은 시야 덕분에 테크니컬하면서도 성실하게 수비가담을 해주기에 황인범뿐만 아니라 여러 선수들과 좋은 파트너쉽을 구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황선홍호에서 이강인과 중원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10월 A매치에서도 선발 출전 직전 경미한 허벅지 부상이 발생한 [[황인범]]을 대신해 투입되었음에도 [[이재성]], [[이강인]]과 좋은 호흡을 보여준 적이 있다.] == 여담 == * 한국인으로서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본선에 '''최다 출전'''과 '''최다 득점''' 기록을 가지고 있다. 2021-22시즌에 [[LASK]] 소속으로 8경기 1득점 2도움을 기록했고, 2022-23시즌에 [[KAA 헨트]] 소속으로 11경기 1득점 3도움을 기록했다. 컨퍼런스 리그가 출범한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통산 19경기 2득점으로 한국인으로서 최다 출전과 득점 기록 1위를 가져왔다. * 한국 선수 중에는 [[박지성]]과 [[황인범]], 외국 선수 중에는 [[프렝키 더용]]이 우상이라고 한다. 박지성은 홍현석에게 [[폴 스콜스]]가 생각나는 플레이를 한다고 극찬했다. * [[이강인]]이나 [[작우영]] 등 유럽 빅리그 유망주들에 비해 대중적으로 크게 주목을 못 받아왔지만, 이미 현대고 시절부터 대형 유망주로 평가받았으며 해외에서도 오스트리아 리그 1골 10도움이라는 꽤 좋은 기록과 멀티 플레이어라는 현대 축구에 알맞은 플레이 스타일까지 갖추고 있어 축구인들 사이에선 꽤 관심을 받던 유망주였다. 벨기에 리그 입성 후 미드필더임에도 상당한 득점 페이스를 이어가며, 벨기에 리그에서 부침을 겪었던 공격수 [[이승우]]의 기록을 데뷔 시즌만에 가뿐히 넘어서면서 잠재력을 드러내고 있다. * 가장 친한 선수는 독일 출신이자 나이지리아 대표팀 소속 [[조던 토루나리가]] 선수인 듯하다.[* 홍현석은 독일어권 국가인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 5년을 거주했다. 이후 헨트로 이적하여 처음으로 비 독일어권 국가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소속팀이 네덜란드어권 벨기에 지역이라 독일어를 쓸 기회가 많지 않은데 토루나리가가 독일어 원어민이라 그런 듯 하다.] 영상을 보면 [[https://www.youtube.com/watch?v=W-p8A6kSX5s|시니컬한 성격인 모양인데,]] 해당 영상에서 벨기에 현지에서는 '''홍기(Hongi)'''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듯하다. * 국가대표 선배인 [[손흥민]]과 외모가 매우 흡사하다. ~~박지성이랑 손흥민을 믹스한 느낌이다~~ * [[억울이]]와 닮았다는 말이 있다. * 초등학생 때는 바둑반에서 활동하였다. 축구는 방과 후 수업으로 처음 접했는데, 오히려 여기서 자신의 재능을 발견했다고 한다.[[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00099_36199.html|#]] == 관련 문서 == * [[축구 해외파 선수들]] == 둘러보기 == [include(틀:KAA 헨트)] [include(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현역 한국인 축구 유럽파 선수)] [include(틀: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include(틀: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분류:1999년 출생]][[분류:강서구(서울) 출신 인물]][[분류:서울신정초등학교 출신]][[분류:현대고등학교(울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중앙 미드필더]][[분류:윙어]][[분류:세컨드 스트라이커]][[분류:레프트백]][[분류:2018년 데뷔]][[분류:울산 HD FC/은퇴, 이적]][[분류:SpVgg 운터하힝/은퇴, 이적]][[분류:FC 유니오즈 OÖ/은퇴, 이적]][[분류:LASK/은퇴, 이적]][[분류:KAA 헨트/현역]][[분류: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병역특례자/축구]]